본문내용
1. 서론
이번 호흡기 내과 실습에서는 다양한 호흡기 질환 환자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이라는 질환에 주목하게 되었다. 결핵, 폐 감염 등의 문제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흉막 삼출은 실제로 흉관을 삽입하고 있는 환자를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결핵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이미 자세히 배운 기억이 있어서 이번 기회에 흉막 삼출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해보고자 하는 생각에서 이를 선택하였다. 이를 통해 책에 나와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간호중재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고, 대상자의 검사 결과 분석 및 약물, 용어, 질병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 습득의 기회가 되었다."
2. 문헌고찰
2.1. 흉막 삼출 정의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은 폐의 흉막에서 체액 성분이 스며나오는 삼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흉막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허파용량을 감소시켜 호흡곤란과 가슴막성 흉통이 나타난다. 때로는 2~3L의 물이 고이는 경우도 있다. 이는 심부전, 결핵, 폐감염, 신부전, 결체조직질환, 폐색전증, 진균성 폐감염, 흉벽감염, 흉부외상, 종양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흉막 삼출은 가슴막성 흉통과 호흡곤란의 증상을 일으키며, 타진 시 탁음이 들리고 호흡음이 감소 또는 소실되는 등의 특징적인 신체 검진 소견을 나타낸다.
2.2. 흉막 삼출 병태생리
흉막 삼출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흉막 삼출은 일반적으로 심부전, 결핵, 폐렴, 폐감염, 콩팥기능상실, 결체조직질환, 폐색전증, 진균성 폐감염, 흉벽감염, 흉부외상, 종양질환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감염이 원인이 되어 배출되는 고농도 단백질 삼출물은 혼탁액의 양상을 보이고, 기저질환, 즉 심부전, 간경화증, 콩팥기능상실, 저알부민혈증을 유발하는 내과질환이 있을 때는 맑은 저농도 단백질 삼출물이 보인다.
가슴막액(흉막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허파 용량을 감소시킨다. 흔한 증상으로 가슴막성 흉통과 호흡곘란이 있다. 또한 기관지 자극으로 기침 반사가 일어나 객담없는 마른기침을 하게 된다. 삼출액이 있는 부위는 타진 시 탁음이 들리며, 호흡음이 감소되거나 소실된다. 또한 에고포니 (egophony: 폐경화일 때 청진으로 들을 수 있는 염소울음과 비슷한 소리)가 들린다.
가슴막액이 300ml 정도 고일 때까지 X-선(chest PA)상에는 잘 보이지 않으나, 흉부 측와위 촬영에서는 가슴막액의 이동으로 50mL 이하의 가슴막액도 발견할 수 있다. 그 외 CT, 초음파검사,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서 흉강천자를 시행한다. 가슴막액으로 세균학적 배양검사와 적혈구, 백혈구 검사, 화학적 검사, PH검사 및 세포검사를 할 수 있다.
3. 대상자 사정
3.1. 개인력
성명: 신○○
성별: M
연령: 75세
결혼상태: 기혼
교육수준: 고졸
직업: 무직
종교: 무교
경제적 수준(평균 월수입): 중
신○○ 씨는 75세 남자 환자로, 고졸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무직 상태이다. 종교는 없으며 경제적 수준은 중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된다. 그는 기혼 상태이며 가족으로는 배우자와 1남 1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건강력
이 대상자의 건강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20XX년부터 ESRD(End-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질환)를 진단받았고, 이에 따라 월-수-금 요일마다 혈액투석(Hemodialysis, HD) 치료를 받고 있다. 혈액투석 시행 후에는 경구약을 복용하며 외래로 추적 관찰 중이다. 또한 20XX년에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을 진단받아 투석하지 않는 날에는 Tresiba, Apidra 등 혈당강하제를 투여 중이다. 이 외에도 고혈압(Hypertension), 백내장 등 여러 가지 기저 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XX년에는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진단을 받고, 본원에서 LAVH(Laparoscopic-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복강경 보조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후 경구 약물 치료를 하며 외래로 추적 관찰 중이다. 또한 20XX년 4월에는 폐-심장 부종으로 입원 치료를 받았던 경험이 있다.
이처럼 대상자는 ESRD, DM, 고혈압, 자궁경부암 등 다양한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복합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상태이다.
3.3. 간호력 및 신체사정
대상자의 간호력 및 신체사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환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