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하루만에 꿰뚫는 기독교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독교 역사의 전개
1.1. 초대교회 시대
1.1.1. 로마제국의 기독교 박해
1.1.2. 기독교의 성장과 박해에 대한 반응
1.2. 콘스탄티누스와 밀라노 칙령
1.2.1. 콘스탄티누스의 등장
1.2.2. 밀라노 칙령의 내용과 영향
1.3. 콘스탄티누스 이후 기독교의 변화
1.3.1. 긍정적 변화
1.3.2. 부정적 변화
1.4. 기독교 공인의 의미 - 축복인가 재앙인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독교 역사의 전개
1.1. 초대교회 시대
1.1.1. 로마제국의 기독교 박해
로마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네로 황제 때부터 시작된 기독교 박해는 250년 가까이 지속되었다. 네로 황제는 AD 64년 로마 대화재의 주범을 기독교인들에게 씌우며 그들에 대한 박해를 시작했다. 이후 도미티안 시대에 기독교 박해는 더욱 극심해졌다. 네로 때의 박해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수준이었다. 2세기에 접어들면서 기독교인 박해는 고발되는 경우에만 행해졌으며 지엽적이고 간헐적이며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박해의 위협은 항상 존재했다.
250년, 데시우스 황제가 들어서면서 기독교 박해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데시우스는 전 제국의 모든 거주민들에게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도록 하는 칙령을 내렸다. 황제를 숭배하지 않는 이들은 투옥, 고문, 심지어 사형에 처해졌다. 이처럼 데시우스의 박해는 이전과 다른 양상을 띠었다. 로마시의 기독교 박해를 로마제국 전체로 확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박해 속에서도 교회는 점점 더 성장할 수 있었다. 순교자들의 피로 인해 기독교가 더욱 견고해졌고, 박해의 위협 속에서도 성도들은 담담히 십자가만을 내세웠다. 그들은 세상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담대한 신앙을 지녔던 것이다. 이처럼 로마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교회는 그 속에서 더욱 단단해질 수 있었다.
1.1.2. 기독교의 성장과 박해에 대한 반응
초대교회 시대에 기독교는 엄청난 박해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순교자들의 피로 인해 신앙이 더욱 견고해졌고, 기독교의 독특한 교리와 가치관이 당시 세상 문화와 달랐기 때문이다.
기독교인들은 박해 속에서 결코 물리적인 저항으로 대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고난을 담담히 받아들이며 십자가의 길을 걸었다. 이러한 순교 정신과 도덕적 장렬함이 오히려 당시 세상 사람들에게 큰 감동으로 다가갔다. 그들은 지하 카타콤에 숨어 살면서도 행복을 누릴 수 있었고, 결국 "세상이 감당치...
참고 자료
Justo L. Gonzalez, The Story Of Christianity, 「초대교회사」. 엄성옥 역. 서울: 은성출판사, 2010
Timothy Jones, CHRISTIAN HISTORY MADE EASY, 「하루만에 꿰뚫는 기독교 역사」. 배응준 역. 서울:규장문화사, 2007
박경수. 「교회사 클래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박용규. 「초대교회사」.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1995.
이영표. “주후 313년 교회 변화와 현대 한국교회 비교 연구: 교회 세속화 과정 중심.” 신학석사논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5.
박대원. “콘스탄티누스의 밀라노 칙령이 중세교회에 미친 영향.” 신학석사논문, 성경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