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의 이해
1.1. 다문화 학생의 현황
최근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 뚜렷하게 나타나는 변화 모습 중 하나가 바로 다문화 가정의 비율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도 우리나라 다문화 가구원은 전년 대비 4만 5천명 늘어난 100만 9천명으로 다문화 가구원이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서게 되었다. 이는 총인구의 2%를 차지하는 숫자로 대한민국에서 만나는 100명중 2명은 다문화 가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초중고교 교실의 모습은 어떨까? 교육부가 작년에 내놓은 '2019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2018 초중등 다문화 학생 수는 13만 7천 225명으로 전체 학생의 2.5%를 차지한다. 다문화 학생 수는 교육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이래 꾸준히 늘어 초등학교는 10만 3천 881명으로 전년 대비 1만 854명(11.7%) 증가했으며 중학교는 2만 1천 693명으로 전년 보다 3천 65명(20.1%) 폭증했다. 고등학교의 다문화 학생 수는 1만 1천 234명으로 전년 대비 546명(5.1%) 증가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가 심각해지는 대한민국의 경향과는 달리 다문화 가족의 출산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전체 출생 수에서 다문화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2017년 기준 5.2%까지 늘게 되었다. 이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초중고교에 재학하게 될 다문화 학생의 수와 비율이 점점 증가하게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1.2. 다문화 학생의 유형
다문화 학생의 유형은 크게 국제결혼가정과 외국인가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제결혼가정의 자녀 유형은 자녀가 어디에서 출생했는지에 따라 국내출생과 중도입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제결혼가정의 자녀 유형은 A형(한국 출신 母 + 외국 출신 父의 자녀), B형(한국출신 父 + 외국 출신 母의 자녀), C형(외국출신 母 홀로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D형(전처 소생의 한국출신 자녀), E형(외국 출생 후 한국에 입국(귀화)한 자녀), 외국인 이주 노동자 가정의 F형(외국 출생 자녀), G형(한국 출생 자녀(무국적 자녀)), 난민 가정의 H형(난민 가정 자녀)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문화가정의 자녀 유형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으며, 각자 다른 특성을 가진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초중고교 교실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우리는 다문화 정책의 주 대상인 기존 국제결혼가정 자녀와 더불어 다양한 유형에 따른 다문화가정 자녀를 별도의 지도방안을 마련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3. 다문화 학생의 특성
다문화 학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구사능력 부족이다. 다문화 학생들은 한국어 실력이 미숙하여 언어 구사와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수업 시간에 내용을 잘 따라가지 못하고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정체성 혼란을 겪는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자신이 어느 문화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셋째, 외모와 신체적 특징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이다. 다문화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과 다른 외모와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또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넷째, 기초 학력 부진을 보인다. 언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기초적인 국어, 수학 능력이 또래에 비해 낮은 편이다. 다섯째, 심리적 불안감을 느낀다. 새로운 환경과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겪는다. 여섯째, 교우 관계의 어려움이다.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또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2.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의 실제적 사례
2.1. B 유형 학생의 사례
B 유형 학생의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면, B 유형 학생은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로, 가정환경, 학습적 측면, 정서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였다.""
가정환경 측면에서 석○○ 학생의 경우, 가부장적인 아버지와 베트남인 어머니 사이에서 교육을 받아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고, 어머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장○○ 학생의 경우, 아버지가 바쁘고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 능력이 부족하여 13살 누나가 교육을 담당하고 있었다.""
학습적 측면에서 석○○ 학생은 한국어 구사 능력이 일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