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발달 특성을 고려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교육
1.1.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1.1.1. 영아기 발달 특성
1.1.2. 유아기 발달 특성
1.2. 발달별 영유아 언어교육 방법
1.2.1. 영아기 언어교육 방법
1.2.2. 유아기 언어교육 방법
1.3. 영유아기 수학적 발달과 교육
1.3.1. 영유아의 수학적 발달 특성
1.3.2. 발달에 따른 수학교육 활동 계획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교육
1.1.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1.1.1. 영아기 발달 특성
영아기는 발달의 양적, 질적인 변화가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시기이다. 영아기의 일반적인 경향으로는 분산적이고 전체 반사운동으로 시작한 영아의 행동은 2~3개월 후부터 외부 환경에 대하여 지적 능력이 발달한다. 환경의 자극을 수용하고 반응하며 이해한다. 시각적인 인지 발달은 지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지능 발달은 인간의 감각발달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감각과 운동의 협응을 통한 지적행위를 되풀이하며 감각운동적 지능이 이 시기에 해당된다. 따라서 울음, 옹알이 등의 의사전달이나 언어의 연습 형식이 나타난다.
언어발달의 경우, 영아가 언어 대신 표현하는 몸짓은 언어표현이 되지 않는 영아에게 있어 아주 중요한 의사소통이라 할 수 있다. 울음은 영아기의 언어발달의 첫 단계이다. 옹알이는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상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자기 스스로가 낸 소리를 반복함으로써 자기 소리 모방을 시작한다. 옹알이를 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자기 발성에 자극 되어 말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듯 주변 세계와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영아는 자라면서 다양한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언어발달이 급격히 증진될 수 있다. 언어적 발달 특징에는 울음, 웃음, 소리내기 등과 같이 몸짓으로 표현하는 과정 이후 한 단어기, 두 단어기, 문장 사용기 순으로 발달한다. 생후 10~13개월쯤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18개월부터 급속도로 사물의 이름에 관심을 가지면서 어휘 확장이 일어난다.
1.1.2. 유아기 발달 특성
유아기는 영아기보다 신체적 속도가 느린 편이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낸다. 키는 2세 이후 매년 5~7cm 정도씩 성장하고, 5세에는 출생했을 때보다 2배 정도의 성장을 기록할 수 있다. 체중은 2세경에 출생 시의 약 3.7배, 5세 경에는 출생 시의 5.5배 정도의 증가를 기록한다.
유아기에는 대뇌와 신경계의 발달이 영아기 만큼은 아니지만, 뇌의 유아기에도 계속해서 성장한다. 특히 유아기의 운동기능은 이동 운동, 조작 운동, 감각 운동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에서 이동 운동이 가장 먼저 발달한다. 3~4세경에는 직선 위를 걸을 수 있으며, 5세 전후로 평균대를 지날 수 있고, 빨리 잘 달리고 방향을 바꾸어 달릴 수 있다. 6세가 되면 두발자전거를 탈 수 있으며 사다리, 정글짐과 같은 오르기 놀이 등을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이르면 소근육도 발달되어 색종이에 곡선을 그리며 가위로 선을 따라 오릴 수 있다. 또 블록을 능숙하게 쌓을 수 있을 ...
참고 자료
『언어지도 교안』, 패스원
네이버 검색 키워드 ‘영유아 언어발달’
『언어지도』 고문숙, 권도하 외 3명, 양서원, 2014
사고과정을 중심으로 한 유아 수 과학 교육. 윤예의, 김온기, 이혜경. (창지사. 2002년)
성미영,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5.
강순희 외, 영유아발달, 창지사, 2017.
이기숙 외, 유아발달, 양서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