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면역계의 기능과 과민반응
1.1.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계는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가 관여하며, 크게 B-림프구, T-림프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대식세포로 구성된다.
B-림프구는 항체중개성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로, 골수에서 발생하여 성숙한 후 림프조직으로 이동한다. B-림프구는 항원에 감작되어 항체를 생성하며, 이 항체는 이종 단백질을 중화, 제거, 파괴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박테리아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림프구는 세포매개성 면역을 담당한다. T-림프구에는 helper/inducer T-cell, suppressor T-cell, cytotoxic/cytolytic T-cell 등이 있다. Helper/inducer T-cell은 다른 백혈구의 활동을 조절하는 조직자로서 역할을 하며, suppressor T-cell은 자가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Cytotoxic/cytolytic T-cell은 감염된 자기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파괴한다.
자연살해세포(NK-cell)는 항원감작 없이도 비자기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을 통해 미생물이나 이물질을 포식, 제거한다. 또한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는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며, 항원 제시 기능을 통해 T-림프구를 활성화시킨다.
이처럼 면역계는 다양한 세포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있다."
1.2. 과민반응의 4가지 유형과 사례
과민반응의 4가지 유형과 사례는 다음과 같다.
제1형 즉시형 과민반응은 비만세포에 존재하는 IgE 항체와 항원이 결합하면서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화학 매개물질이 방출되어 나타나는 반응이다. 이러한 반응은 고초열, 알레르기성 천식 및 비염, 벌독, 땅콩, 요오드, 조개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등에서 볼 수 있다.
제2형 세포독성 과민반응은 숙주의 세포막에 흡수된 항원이나 숙주의 세포막에 대한 IgG 항체의 반응으로 나타난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 질환으로는 자가면역용혈성 빈혈, 태아적혈구증, 근무력증, 용혈성 수혈반응 등이 있다.
제3형 면역복합체 과민반응은 항원과 항체의 면역복합체가 형성되어 혈관벽에 침착되고, 보체 활성화와 염증을 유발하는 반응이다. 이러한 기전으로 발생하는 대표적 질환에는 전신성 홍반성 낭창, 다발성 동맥염, 류마티스관절염, 류마티스열 등이 있다.
제4형 지연형 과민반응은 항원에 감작된 T세포가 림프okine을 분비하여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일어나는 반응이다. 이러한 기전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에는 접촉성 피부염, 옻나무에 의한 피부발진, 곤충의 독에 대한 국소적 반응, 이식거부반응, 결핵, 유육종증 등이 있다.
2.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특성 비교
2.1. 성장속도 및 침윤성
양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서서히 자라고 일정한 크기로 자라면 성장을 멈추지만, 악성종양은 빨리 자라면서 성장의 정지가 없이 계속 자란다. 양성종양은 확장성(팽창성)을 가지며 주변과의 경계가 명확하지만, 악성종양은 침윤성 성장을 하는 특징이 있다. 즉,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