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의 차이를 구분하고 명목/서열/등간/비율척도를 예를 들어 비교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료의 특성
2.1. 질적 자료
2.2. 양적 자료
2.3.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의 차이
3. 자료의 척도
3.1. 명목척도
3.2. 서열척도
3.3. 등간척도
3.4. 비율척도
4. 척도의 비교
4.1. 측정 수준 비교
4.2. 질적 척도와 양적 척도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척도(Scale)는 특정한 대상의 속성에 단위를 활용하여 정량화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g이나 kg, t과 같은 무게의 단위 혹은 mm, cm, m와 같은 길이의 단위, 개수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다양한 이론과 측정을 통해 확인된 개념들을 현실적으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여러 자료와 연결해 주는 과정인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를 뜻한다. 자료(Data)는 거리와 무게를 측정하거나 특정한 대상이나 서비스 등과 관련한 만족도 등의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로 나눌 수 있으며, 대상의 다양한 특성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척도를 활용하면 사건이나 현상, 사물 등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척도는 자료의 특성에 맞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척도는 일반적으로 명목척도와 서열척도, 등간척도와 비율척도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의 차이를 구분하고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를 예를 들어 비교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2. 자료의 특성
2.1. 질적 자료
질적 자료는 특성, 품질, 속성, 물리적 특징 등을 나타내는 비수치적인 정보로, 텍스트, 설문 응답, 인터뷰 내용, 이미지, 오디오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질적 자료는 주로 명목척도(범주 간에 순서 없음)나 서열척도(범주 간에 순서 있음)로 측정되며, 주제나 패턴을 이해하고 주관적인 해석, 텍스트 분석, 내용 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된다. 성별, 색상, 감정 상태, 브랜드 선호도 등이 질적 자료의 예시이다.
2.2. 양적 자료
양적 자료는 수치로 나타내는 정보로, 양, 크기, 갯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양적 자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자료는 숫자, 통계, 길이, 무게, 시간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둘째, 양적 자료는 일반적으로 등간척도(범주 간에 일정한 간격이 있음)나 비율척도(절대적인 제로 포인트가 있음)로...
참고 자료
강상욱 외(2014), 「EXCEL, SPSS, R로 배우는 통계학입문」, 자유아카데미.
성태제(2020), 「연구방법론」, 학지사.
이지현(2010), 「경영통계학」, 한올출판사.
김호정(2007), 「순서화 로짓모형(Ordered Logit Model) : 설문조사에 적용되는 척도의 종류」, 국토 통권310호, pp.94-102.
https://tv.naver.com/v/606741 - EBS 5분사탐 사회문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
윤인진, 양적 통계 자료의 사회과학적 이용, 1996
위더스 경영통계학 교안 p.21~23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
위더스 경영통계학 교안 p.26~28 명목자료, 서열자료, 등간자료, 비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