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의 개념
가족이란 결혼, 혈연, 양자의 결합에 의한 동거 집단으로서 서로 상호작용적 입장을 가지는 지속적인 연대의식으로 생활을 함께 영위하는 생활공동체이다."
가족은 혈연, 결혼, 입양 등을 통해 형성되는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유대감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생활공동체를 의미한다.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생활하면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가족의 개념은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형태와 기능이 변화해왔다.
2. 가족간호의 목적
가족간호의 목적은 "가족구성원의 개인 건강, 가족건강을 유지 증진하며, 건강한 가족, 즉 가족의 상호작용 및 적절한 가족 기능, 역할을 달성하는 것이다."가족간호의 목적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가족구성원의 개인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것이다. 가족 간호를 통해 개인 구성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가족 전체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는 것이다. 가족은 하나의 생활 공동체이므로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건강과 더불어 가족 전체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건강한 가족, 즉 가족의 상호작용 및 적절한 가족 기능과 역할을 달성하는 것이다. 가족 간호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가족 기능과 역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국 가족간호의 목적은 개인 구성원과 가족 전체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가족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 가족간호 진단
3.1. 간호진단 분류체계
3.1.1. NANDA의 간호진단체계
NANDA의 간호진단체계는 북미간호진단협회에서 개발한 간호진단 분류체계이다. NANDA의 간호진단체계 Ⅰ은 가장 추상적인 개념의 제1단계부터 가장 구체적인 개념의 제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계는 교환, 의사소통, 관계형성, 가치, 선택, 기동, 지각, 지식, 감정의 9가지 인간반응양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단계부터 제5단계에는 총 148개의 간호진단 분류가 포함되어 있다.
NANDA의 간호진단체계 Ⅱ는 고든의 기능적 건강양상 틀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며, 7개의 축과 13개의 영역, 그리고 47개의 분류와 총 194개의 간호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NANDA 분류체계에는 가족 진단을 통합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가족 관련 진단명들이 활용되고 있다: 가족대처불능, 비효과적 가족 대처, 가족과정기능장애, 부모역할장애, 부모역할갈등, 사회적 상호작용장애 등이다.
3.1.2. 오마하 문제분류체계
오마하 문제분류체계는 간호 과정에 기초를 두고 지역사회보건간호 실무영역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간호진단 체계이다"" 이 체계는 공중보건, 학교보건, 가정간호 등의 다양한 지역사회 간호실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오마하 문제분류체계는 포괄적이고 간단하며 융통성이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여러 분야의 실무자들과 간호사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오마하 분류체계는 4개의 영역, 42개의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영역은 환경, 심리사회, 생리적, 건강관련행위 영역이다""
3.1.3. 국제간호실무 분류체계(ICNP)
국제간호실무 분류체계(ICNP)는 국제간호협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가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공통의 진단체계를 위해 개발한 체계이다. ICNP는 간호현상, 간호중재, 간호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현상은 간호사가 진단하는 환자 및 환자 주변의 상태라고 정의되며 간호진단에 해당된다. 간호현상 분류는 8개의 다축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간호실무의 초점, 판단, 빈도, 기간, 범위, 신체 부위, 가능성, 분포이다. ICNP에서 간호진단을 내릴 때는 간호실무의 촉점축과 판단축 용어를 반드시 포함해야한다.
이와 같이 ICNP는 간호실무의 핵심 요소인 간호현상,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국제적으로 표준화하여 간호사들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ICNP의 활용을 통해 간호사들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3.1.4. 가정간호 분류체계(HHCC)
가정간호 분류체계(HHCC)는 가정간호제공 시 필요한 자원을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사정 · 분류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HHCC는 NANDA와 마찬가지로 간호진단을 정의하고 있으며, 가족간호 제공 시 간호사가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간호진단 체계이다. HHCC는 4개의 주요 영역과 24개의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주요 영역은 환경, 심리사회, 생리적, 건강관련행위 영역이다.
환경 영역에는 주거시설 및 편의시설, 지역사회 자원 이용, 경제적 자원 등이 포함된다. 심리사회 영역에는 가족관계, 역할수행,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