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본 호스피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호스피스의 발달과정
1.1. 호스피스의 역사적 배경
1.1.1. 고대
1.1.2. 중세
1.1.3. 근대
1.2. 외국의 호스피스 역사
1.2.1. 영국의 호스피스
1.2.2. 미국의 호스피스
1.2.3. 일본의 호스피스
1.3. 한국의 호스피스 역사
2. 미국, 일본 대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황
2.1. 기본 현황 요약
2.2. 호스피스, 완화의료 원칙
2.3. 호스피스, 완화의료 대상
2.4.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2.5. 호스피스, 완화의료 종사자
2.6.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2.7. 호스피스, 완화의료 시설
2.8. 호스피스, 완화의료 장비
2.9. 호스피스, 완화의료 질 관리
3. 국내외 호스피스 정책 변화 비교
3.1. 한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3.2. 대만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3.3. 영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3.4. 일본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3.5. 미국의 호스피스 정책 변화
4. 미국, 영국, 독일, 대만, 일본의 죽음준비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호스피스의 발달과정
1.1. 호스피스의 역사적 배경
1.1.1. 고대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여행자들이 제우스신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믿었고, 관습상 그들에게 식사대접 및 옷과 여흥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여행자에 대한 보살핌이 환자에 대한 보살핌으로 발전하여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는 에스쿨라피아(aesculapia)라는 치료의 성역이 사원 주위에 생겼다. 로마 후기와 초대 교회 시대에는 복합적인 사회적 ? 인도적 서비스의 일부로서 순례자들을 보호해 주는 제노도키아(xenodochia)라는 숙박소가 있었다. 그리스도교가 번성하면서 제노도키아가 더욱 발전하여 하위조직으로 나환자 요양원과 기아 수용소, 그리고 기타 전염병 환자들을 위한 수용소를 두었다.
1.1.2. 중세
중세시대에 순례자들(pilgrims)은 성지를 여행하면서 집, 교회 그리고 수도원 등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12세기경에 환자들을 돌보기 위해 수도원 안에 생긴 병원 겸 성당이 수도원 밖에서 유사하게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십자군 운동 시기에는 여행자들을 돌보도록 임명된 성직자들이 군인과 순례자들에게 간병과 음식과 일시적 숙소를 제공하는 안식처가 수도원에 인접하여 생겨났다. 여기서는 병자에 대한 치료뿐 아니라 순례자의 보호와 구흘활동을 하였다. 중세의 호스피스는 영혼의 문제를 육체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중요시하였고, 수도자들은 그들의 고백을 들어 주고 환자들에게 교회적 평온을 누리게 해 주었다.
1.1.3. 근대
최초의 근대적 의미의 호스피스는 말기 환자를 돌보기 위해 1815년 아일랜드 더블린에 설립된 Irish Sisters of Charity로 볼 수 있다. 말기 환자가 한 인생에서 다음 인생으로 여행한다는 뜻에서 호스피스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하여 호스피스(hospice)와 병원(hospital)의 의미가 구분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러한 구분은 더욱 명확해져 병원은 급성 질환의 효과적 치료를, 그리고 호스피스는 만성 질환을 위한 증상조절 및 종교적 지원을 하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1.2. 외국의 호스피스 역사
1.2.1. 영국의 호스피스
영국의 호스피스는 1967년 시슬리 손더스가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를 설립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현대적 호스피스 운동의 시작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영국의 호스피스는 17세기 성 빈센트 드 폴이 파리에 설립한 자비의 수녀회(Sisters of Char)가 1879년에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최초의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태동하였다. 처음에는 런던의 빈민지역에서 죽음이 임박한 사람들의 가정을 방문하기 시작하다가, 1902년 런던에 성 요셉 호스피스(St. Joseph's Hospice)를 설립하여 호스피스 개념이 정립되었다. 1935년에 성 누가병원에서 정규적으로 진통제 제공을 치료법으로 실시하여 완화의료의 개념이 시작되었다. 1950년에는 전국 암환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계기로 말기 암환자의 케어를 위해 전국에 11개의 너싱홈을 설립하였다. 이 호스피스 기관들은 의료적 지원의 의미를 가졌지만, 현대의 호스피스보다는 종교적 차원에서 사회봉사로서 영적 '정신적 지지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다.
1960년대 영국에서는 말기 환자의 살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이후 1967년에 Cecily Saunders가 런던에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St. Christoper's Hospice)를 설립하였으며 이는 현대 호스피스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 Saunders는 호스피스 설립을 통해 가정과 같은 따뜻한 분위기로 환자를 환대하는 공동체를 이루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악화되어 가는 환자들이 겪는 증상과 고통을 조절하기 위해 자세한 관찰을 시도하여 말기 환자들의 신체적 고통을 경감시키는 근대적 호스피스의 획기적 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가정간호, 데이케어 호스피스를 시작하였고, 공식적 교육 프로그램도 개설하였다. 그리고 초기 호스피스에서 제공했던 간호의 영적 지지 및 정서적 지지에 더하여 말기 질환과 관련된 증상과 통증조절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후에 미국과 캐나다의 호스피스의 모델이 되었다.
1976년에 성 토마스 병원에서 최초로 다직종 전문가 팀 활동을 시작하여, 호스피스 ? 완화의료팀이나 호스피스 간호사가 있는 병원이 약 340개로 늘어났다. 1977년에는 전국적 체계 내에서 호스피스 정보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마련하였고, 1988년에 입원호스피스에 중앙정부의 부정기적 보조금을 지급하고 호스피스에 무상으로 약을 공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1991년부터는 호스피스'완화의료 국가위원회(National Council for Hospice and Specialist Care Service)를 설립하여 입원 호스피스에 대한 정부의 공식적 지원을 시작하였다. 현재 영국의 호스피스는 원칙적으로 환자가 경비를 부담하지 않는다. 호스피스 시설은 정부의 보건서비스 부분 보조금을 평균적으로 예산의 30% 정도를 받고 있으며, 부족한 부분은 기부금으로 운영한다.
1.2.2. 미국의 호스피스
미국의 호스피스는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시작된 영국의 호스피스와 달리 '죽음'이나 '암' 등의 말을 암묵적으로 금기시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임종환자에 대한 비인간적이고 생명 경시적인 사회제도나 의료체계의 모순에서 벗어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즉 미국에서 호스피스는 말기 환자에 대한 의료보호 전달을 위한 선택방법인 것이다.
미국에서는 1963년 Cecily Saunders가 미국 방문 중 행한 호스피스 강의로 호스피스의 개념이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후 1968년 Yale New Heaven에서의 가정 호스피스를 시작으로 미국의 호스피스가 시작되었고, 1969년 Kiler-Ross의 "On Death and Dying"의 출판으로 죽음의 개념과 말기 환자의 돌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974년 코네티컷 주에 가정 호스피스가 개설되면서 가정 호스피스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초기 호스피스 기관들은 조직화되지 못한 상태에서 운영되다가, 1978년 전국 호스피스 관련자들이 모여서 National Hospice Organization (NHO)을 설립하여 조직적 활동을 통해 호스피스를 의료체계의 한 분야로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다. 이 조직은 현재에는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NHPCO)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1981년 NHO는 호스피스에 대한 행정, 간호의 단위, 증상조절, 질 관리, 기록, 인사관리, 사별관리,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원칙과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후 1982년 미국 의회에서 TEFRA(Tax Equi and Fiscal Responsibility Act)가 통과되어 호스피스가 의료체계의 한 분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 결과 호스피스가 메디케어에서 공식화되어 호스피스 급여가 인정되었고, 메디케어 프로그램에서 선택적으로 호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국의 호스피스가 초기에 영국의 영향을 받아 수립된 것으로 보이지만, 일각에서는 미국의 호스피스가 단순히 영국의 호스피스를 복제해서 탄생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Greer 등은 미국에서 호스피스는 사회운동으로 나타났고,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의 심리사회적 지원과 완화를 강조하는 의료보효체계로 발전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Levy는 미국의 호스피스가 영국과 캐나다와 달리 반체제적 민중운동으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여러 논의들을 종합해 볼 때, 미국에서 호스피스는 자생적인 지역사회 프로그램이었고, 병원이나 방문간호협회에 기반을 둔 학제 간 팀(interdisciplinary team)으로 시작되었으며, 환자의 가정에서 일차적으로 말기 케어가 제공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미국은 짧은 역사에 비해 호스피스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호스피스 기관이 입원치료 및 전문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시설과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이 주요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1.2.3. 일본의 호스피스
일본의 호스피스는 1973년 노인복지법 개정 이후 노인층의 병원 사망률 증가와 의료비 증가 문제, 그리고 영국과 미국에서 전파된 호스피스 ...
참고 자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2007. 10), “각국의 호스피스 법령, 수가체계, 운영체계 분석 및 국내 도입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반팔주 외, (2009. 02), “외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황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윤영호 외,(2009.05),“호스피스, 완화의료 관리지침 표준화 및 효율적 의료전달 체계 구축”, 보건복지가족부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1-509.pdf - 한국
https://blog.naver.com/63252114/222118327026 - 죽음 준비 교육
http://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008/2/%EB%8C%80%EB%A7%8C%EC%9D%98%20%ED%98%B8%EC%8A%A4%ED%94%BC%EC%8A%A4%28Hospice%29%20%EC%88%98%EA%B0%80%EC%A0%9C%EB%8F%84.pdf - 대만 호스피스
http://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1763/2/%ec%9d%bc%eb%b3%b8%ec%9d%98%20%ec%b5%9c%ea%b7%bc%20%ec%99%84%ed%99%94%ec%bc%80%ec%96%b4%20%ec%a0%95%ec%b1%85%20%eb%b0%a9%ed%96%a5.pdf - 일본 호스피스 (완화케어)
http://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473/2/%EC%98%81%EA%B5%AD%EC%9D%98%20%EC%83%9D%EC%95%A0%EB%A7%90%EA%B8%B0%EB%8F%8C%EB%B4%84%28End%20of%20Life%20Care%29%EC%A0%9C%EB%8F%84.pdf - 영국 호스피스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98&oCn=JAKO*************98&dbt=JAKO&journal=NJOU00291513 - 미국 호스피스
https://blog.naver.com/63252114/222118327026 - 미국,영국,독일,대만,일본의 죽음준비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