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1.1. SBAR의 정의와 배경
SBAR는 임상 상황에서 대상자가 처해있는 현재의 중요한 문제와 관련된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평가(Assessment), 제안(Recommendation)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환자정보를 쉽고 간결하면서도 충분히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의사소통방법이다. SBAR는 2002년 이후 많은 의료기관들이 안전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식적인 의사소통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의료 환경이 더욱 복잡해지고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대상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를 요구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사정과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지식 전달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환자 안전사고의 중요한 원인이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 문제인 것으로 보고되면서, 국내외 의료기관평가위원회에서는 의료진 간 효율적 의사소통 향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부적절한 인수인계는 투약 및 치료의 오류, 진단의 지연, 낙상, 사망 등으로 환자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환자 상태 파악의 어려움과 업무 효율성 저하 및 이직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준화된 의사소통 기법으로 SBAR가 제시되었고, 여러 의료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다.
1.2. SBAR 구조와 활용법
SBAR 구조와 활용법은 임상 상황에서 대상자가 처해있는 현재의 중요한 문제와 관련된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평가(Assessment), 제안(Recommendation)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환자정보를 쉽고 간결하면서도 충분히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의사소통방법이다.
SBAR의 각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Situation은 자신을 소개하고 당면한 문제에 대해 간략히 진술하는 단계이다. 대상자의 이름, 병동, 병실, 문제가 무엇인지와 얼마나 심각한지를 설명한다.
Background는 문제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입원 진단명, 입원일, 투약 내역, 검사 결과, 활력징후 등 현재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Assessment 단계에서는 관찰한 대상자의 상태와 문제에 대한 간호사의 판단을 제시한다. 대상자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함께 우려되는 점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Recommendation에서는 의사에게 제안하고 싶은 조치사항을 제시한다. 관찰 결과와 평가를 바탕으로 의사의 신속한 판단과 개입이 필요함을 권고하고, 필요한 검사나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