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생아 중환자실 핵심 용어 및 약어
1.1. 임신 및 출산 관련 용어
임신 및 출산 관련 용어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매우 중요한 기본 지식이다. 우선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어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산(abortion)의 경우, 자연유산(spontaneous abortion, SA)과 인공유산(artificial abortion, AA)으로 구분된다. 자연유산은 임신 중에 우연히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유산을 의미하며, 인공유산은 의도적으로 행하는 인공유산을 뜻한다. 이 두 유형은 큰 차이가 있으므로 반드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자궁 내 태아사망(intrauterine fetal death, IUFD)과 자궁 내 태아 질식(intrauterine fetal distress, IUFD)이 있다. 자궁 내 태아사망은 임신 중 태아가 사망하는 경우를 말하며, 자궁 내 태아 질식은 임신 중 태아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를 뜻한다. 이는 태아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용어이다.
또한 자궁 내 성장지연(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UGR)은 임신 기간에 비해 작은 아기를 가리키는데, 이는 모체나 태아에게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저체중 출생(low birth weight, LBW)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마지막으로 체외수정(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은 시험관 아기 시술을 뜻하며, 이는 인공수정과는 다른 개념이다. 체외수정을 받은 아기의 경우 보호자들이 예민할 수 있으므로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처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용어와 개념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태아와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1.2. 심혈관계 용어
심혈관계 용어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용어들을 포함하고 있다.
서맥(bradycardia)은 신생아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심박수가 분당 100회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 서맥은 저산소증, 체온저하,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속한 처치가 필요하다.
빈맥(tachycardia)은 심박수가 분당 160회 이상인 상태를 의미한다. 신생아에게 발열, 저혈량, 불안, 통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빈맥이 지속되면 심장의 충분한 이완이 이루어지지 않아 심장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부정맥(arrhythmia)은 심장의 규칙적인 박동이 깨어진 상태로, 심실세동(VF), 심실빈맥(VT), 상심실성 빈맥(PSVT) 등이 해당된다.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활성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청색증(cyanosis)은 조직 저산소증으로 인해 피부와 점막이 푸르게 변하는 증상이다. 중심성 청색증과 말초성 청색증으로 구분되며, 선천성 심장병, 호흡기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좌심실 부전과 우심실 부전으로 구분되며,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청색증, 부종 등이 있다.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PDA)은 태아 시기에 존재하던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완전히 닫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폐순환과 전신순환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여 심부전이나 폐고혈압이 유발될 수 있다.
1.3. 호흡기계 용어
호흡기계 용어"이다.
apnea는 "2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경우 청색증을 동반하고 산소포화도가 떨어질 수 있다. 미숙아에게 굉장히 흔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이다.
arrhythmia는 "부정맥: 부정맥이 있는 아기일 경우 심잡음(murmur)가 들리는지 꼭 확인해봐야 한다"이다.
asphyxia는 "질식, 가사: 가사상태의 아기가 신환으로 온다는 말을 들으면 이제 바빠지겠다라고 생각하면된다"이다.
aspiration은 "흡인: 태변흡인(MAS) 때도 쓰이는 단어. 그리고 병원 내에서도 충분히 아스피레이션 될 수 있다 분유 먹일 때 조심하자"이다.
atelectasis는 "무기폐"이다.
BPD(bronchopulmonary dysplasia)는 "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에게 흔히 발병되는 폐질환(그냥 미숙아는 다 있다고 생각해도 될 정도)"이다.
cyanosis는 "청색증"이다.
CPAP(continous positive airway pressure)는 "지속적양압호흡: 벤트 모드 차이를 알고가는 걸 추천한다. CPAP, SIMV 정도만 일단..."이다.
hyperventilation은 "과도호흡"이다.
hypoxia는 "저산소증"이다.
HFOV(High frequence oscillatory ventilation)는 "고빈도진동환기요법: 신생아 및 소아과에서 많이 쓰이는 데,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환아중 PCO2 수치가 매우 높고 주로 PPHN 환자들의 치료에 많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