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외과병동 환자간호
1.1. 간호과정을 적용한 간호기록
1.1.1. 통증관리
통증관리는 환자의 통증을 사정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환자의 통증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PQRST 방법을 활용한다. PQRST는 통증의 부위(Position), 양상(Quality), 유발 및 완화요인(Relief/Aggravation), 강도(Severity), 지속시간(Timing)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통증 정도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통증 관리를 위한 중재로는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이 있다. 약물요법은 진통제 투여를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비약물요법에는 온열요법, 냉요법, 마사지, 이완요법 등이 있다. 특히 진통제 투여 시 상용량과 투여 경로,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투여해야 한다.
또한 통증 관리 시 환자의 자가보고가 가장 중요한 정보원이 되므로, 정기적으로 통증을 사정하고 그에 맸는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환자와 가족에게 통증 사정 방법과 관리법을 교육하여 효과적인 통증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1.2. 감염예방
위수술 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해 간호사는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술 부위의 발적, 배액, 팽만, 통증 증가 등의 징후를 사정해야 한다. 또한 환자와 접촉하기 전에 손 씻기를 철저히 하고, 드레싱 교환이나 튜브/배액관 조작 시 무균술을 준수해야 한다. 배액 튜브가 꼬이거나 막히지 않도록 관찰하고 튜브 squeezing을 시행하며, 감염 증상에 대해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해야 한다. 이를 통해 수술 부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1.1.3. 불안중재
수술 환자의 불안감 해소를 위한 중재방안으로 간호사는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불안 수준을 사정하고, 불안 감소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실시해야 한다.
간호사는 먼저 환자의 불안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불안 척도를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불안 정도와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중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불안이 높은 환자의 경우 약물 요법과 더불어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여 효과적으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약물 요법으로는 항불안제 투여, 수술 전 프리메디케이션 등이 있다. 특히 복부 수술을 받는 환자의 경우 수술 전 Valium과 Atropin을 투여하여 마취 유도 전 불안감을 줄이고, 위산 억제와 함께 부교감신경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약물적 중재로는 간호사의 공감적 태도, 간단한 대화와 정보 제공, 멀리내 좋은 추억 떠올리기, 이완요법, 음악요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환자의 감정을 공감하고 경청하며, 쉬운 언어로 수술과 회복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환자가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도록 격려하고, 이완요법이나 음악요법 등을 통해 불안을 줄여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호사는 환자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각도로 접근함으로써, 수술 전후 환자의 불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수술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2. 위수술 관련 지식
2.1. 위의 구조와 기능
위는 소화기관의 일부로, 식도에서 전달된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기계적인 소화 작용을 통해 음식을 더 잘게 분쇄하여 십이지장으로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
위는 입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소화기관으로, 크게 들문(분문부), 위바닥(기저부), 위몸통(체부), 날문방(전정부), 날문부분(유문부)으로 구성된다. 들문부는 식도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음식물이 위로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