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간호 관리 낙상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08.19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 관리 낙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병원 내 낙상 사고의 현황과 문제점
1.2. 낙상 예방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2. 본론
2.1. 낙상의 정의와 특성
2.1.1. 낙상의 개념 및 분류
2.1.2. 낙상 발생 장소 및 위험요인
2.2. 국내외 낙상예방활동 비교
2.2.1. 영국의 낙상예방활동
2.2.2. 호주의 낙상예방활동
2.2.3. 프랑스의 낙상예방활동
2.2.4. 미국의 낙상예방활동
2.3. 낙상 발생 시 대처 방안
2.3.1. 영국의 낙상 대처방안
2.3.2. 호주의 낙상 대처방안
2.3.3. 프랑스의 낙상 대처방안
2.3.4. 미국의 낙상 대처방안
2.4. 구두 위주의 낙상 예방 교육의 한계
2.4.1. 낙상 예방 교육의 실효성 부족
2.4.2. 교육의 지속성 및 체계성 부족

3. 결론
3.1. 효과적인 낙상예방 교육 방법 제언
3.1.1. 동영상 및 시뮬레이션 교육
3.1.2. 반복 교육 및 시각자료 활용
3.2. 낙상 예방을 위한 다각도의 접근 필요
3.3.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병원 내 낙상 사고의 현황과 문제점

병원 내 낙상 사고는 입원 환자에게 빈번히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 하나이다. 입원 환자의 약 2%~12%가 낙상을 경험하며, 이 중 약 1/3에서 신체적 손상이 동반되고 4~6%에서는 중증의 손상이 발생한다. 낙상으로 인해 재원일수가 증가하고 추가적인 의료비용이 발생하며 심각한 신체적 손상에 이를 수 있다. 낙상의 2/3는 잠재적으로 예방이 가능한데, 이는 낙상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히 관리하거나 차단함으로써 고위험군의 낙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원 내 낙상 사고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원 내 낙상 사고는 주로 침상(61.3%), 병실(12.9%), 화장실(12.9%), 복도 순으로 발생한다. 내과와 외과 환자에게서 발생률이 높고,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경우나 휠체어나 환자 이동 침대를 타고 입원한 경우에 발생률이 높다. 낙상 경험은 연령, 낙상 과거력, 우울상태, 의사소통장애, 투여 약물, 만성질환, 배뇨 상태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이처럼 병원 내 낙상 사고는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재원일수 증가, 추가적인 의료비용 발생, 심각한 신체적 손상 등을 초래한다. 또한 간호사 입장에서는 낙상 사고에 대한 책임감과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병원 내 낙상 사고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1.2. 낙상 예방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낙상 예방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 하나로, 입원환자의 낙상은 재원일수 증가, 추가적인 의료비용 부담과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입원기간 중에 약 2%~12%의 환자가 낙상을 경험하고, 그 중 1/3에서 신체손상이 동반되며, 4~6%에서는 중증의 손상이 발생된다. 낙상위험요인에 대한 포괄적 평가와 체계적인 중재를 통해 낙상 및 낙상으로 인한 손상을 감소시킨다면 불필요한 재원기간 및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다.

낙상의 2/3는 잠재적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낙상의 위험요인을 찾아내고 환경적 요인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고위험군의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낙상과 관련한 실태와 유해요인을 조사하여 낙상사고 발생률을 낮추고, 효과적인 낙상예방 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의료기관의 낙상예방활동과 대처방안을 비교 분석하여 환자안전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낙상관리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낙상의 정의와 특성
2.1.1. 낙상의 개념 및 분류

낙상의 개념 및 분류는 다음과 같다.

낙상은 "손상 여부와 관계없이 의도하지 않게 지면이나 바닥 또는 더 낮은 곳으로 몸이 위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낙상은 의도하지 않은 사고이며,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추가적인 의료 비용을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낙상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Accidental falls는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낙상이다. 둘째, Anticipated physiological falls는 기저 질환이나 내과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낙상이다. 셋째, Unanticipated physiological falls는 아직 진단되지 않은 내과적/생리적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낙상이다.

이처럼 낙상의 개념은 의도하지 않은 사고로, 손상 여부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낙상은 외부 환경적 요인, 기저 질환, 미진단된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어 그 유형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2.1.2. 낙상 발생 장소 및 위험요인

병원 내 낙상은 주로 침상(61.3%), 병실(12.9%), 화장실(12.9%), 복도 순으로 발생한다"". 환자의 특성상 내과와 외과 환자에게서 발생률이 높으며,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경우나 휠체어나 환자 이동 침대를 타고 입원한 경우에 발생률이 높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낙상 재교육과 보조 난간 설치를 한 경우 낙상경험이 낮았다"". 낙상위험요인으로는 연령, 낙상 과거력, 우울상태, 의사소통장애, 투약, 만성질환, 배뇨 상태 등이 있다"".


2.2. 국내외 낙상예방활동 비교
2.2.1. 영국의 낙상예방활동

영국의 낙상예방활동은 다음과 같다.

영국에서는 wristbands and bed signage, urinalysis and routine prescription of vit.D의 경우 효과가 없다고 보고되었으며, movement alarms(bed or chair)도 매력적으로 들리지만 역시 효과가 없다고 하였다. 대신 낙상위험 사정항목으로 가동성, 화장실 사용능력(실금, 야뇨 등), 투약력 확인, 시력장애, 인지장애(치매 또는 섬망), 기립성 저혈압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병동 내에서는 bedside table 사용을 권장하고, 소지품은 환자의 손이 닿는데 두도록 하고 있다.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할 때는 기구를 환자의 손이 닿는데 두도록 하며, 걸을 때는 안경과 깨끗하게 잘 들리는 보청기를 착용하도록 권장한다. 또한 발에 잘 맞는 신발과 미끄럼방지 양말을 착용하도록 하고, 콜벨을 환자의 손이 닿는데 두는 것도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입원 시 낙상위험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위험을 사정하고 낙상력이 있는지 확인하며, 환자의 낙상위험요인을 사정하여 개개인에 맞는 예방관리를 제공한다. 주기적으로 환자를 살피고, 상태변화시 매번 사정한다. 환경적 위험(젖은 바닥 등)에 즉각 대응하며, 환자의 가동력(워커 등 보행기) 사정도 실시한다.

병원에서는 원내 낙상관련 프로토콜을 마련하고, 모든 관련직원은 낙상예방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다. 환자가 일어날 때 변화가 있다면 반드시 혈압을 확인하며, 낙상을 일으킬 수 있는 투약력도 확인한다.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자주 관찰하고, 스테이션 가까운 곳으로 침상을 배치한다. 또한 낮은 침대, 낙상매트, 낙상알람, 보호 침상난간 등 추가 장비를 제공한다. 시력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안경을 쓰고 깨끗하게 관리하며, 야간등을 사용하고 필요한 물건을 손이 닿는 곳에 두도록 권장한다. 콜벨을 이용하고 무리하게 손을 뻗어 멀리 있는 것을 잡으려 하지 않도록 한다. 미끄럼 방...


참고 자료

조영신(2019),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 생존분석으로. 중환자간호학회지 12(1), 57-70.
강영옥(2015),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 및 위험 요인 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22(3). 149-159
윤수진(2018), 입원환자의 낙상 실태 및 위험요인 조사연구, Incidence of Falls and Risk Factors of Falls in Inpatients,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양화미(2009),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 실태 및 관련요인,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QI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정명실(2013), "낙상예방교육이 내과병동 노인 환자의 낙상 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20(2), 102-111.
심송미, 김은하(2019), "간호․간병 통합병동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낙상예방교육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 33(2).
천자혜, 김현아, 곽미정, 김효선, 박선경, 김문숙, 최애리, 황지인, 김윤숙. (2018). 낙상위험요인 평가 및 낙상예방활동 임상진료지침.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V.24.no2. pp.41 – 61
김희, 정민예 (2015). 뇌졸중 성인의 낙상 감소를 위한 1대 1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426-435
보건복지부, KOPS: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No.PSA_4-01_2018002. 2018-03-21
황명희. (2019). 간호사의 입원환자 낙상예방활동에 대한 경로분석.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공공대학원 의료관리학과
이희자. (2018).입원환자의 낙상 실태 및 낙상위험 예측요인 분석.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노인건강간호학과 2018. 2
최은주, 이영신, 양은정, 김지희, 김연희, and 박현애.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관련 특성 및 낙상발생 예측요인”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47.3 (2017):
420-30. Web.
Morris, R., & O'Riordan, S. (2017). Prevention of falls in hospital. Clinical medicine (London, England), 17(4), 360–362. doi:10.7861/clinmedicine.17-4-360
영국
https://www.qegateshead.nhs.uk/falls
https://www.nhft.nhs.uk/download.cfm?doc=docm93jijm4n1225
https://www.uhs.nhs.uk/Media/Controlleddocuments/Patientinformation/Stayinginhospital/Reducingpatientfalls-patientinformation.pdf
https://www.royalberkshire.nhs.uk/Downloads/Falls%20Prevention%20and%20Post%20Falls%20Care%20Plan%20May%202016.pdf
호주
https://www.nslhd.health.nsw.gov.au/
https://www.safetyandquality.gov.au/sites/default/files/migrated/30459-HOSP-Guidebook.pdf
http://www.cec.health.nsw.gov.au/__data/assets/pdf_file/0004/258547/Fall-Prevention-in-Hospitals-Flowchart.pdf >>> 호주 낙상예방 가이드라인
https://ww2.health.wa.gov.au/~/media/Files/Corporate/general%20documents/Health%20Networks/Falls%20prevention/WA%20Post%20Fall%20Guidelines_Final_2018_PDF.pdf >> post fall protocol
프랑스
https://www.ch-denain.fr/fichs/15429.pdf
https://www.techniques-hospitalieres.fr/article/250-prise-en-charge-des-chutes-en-ehpad-un-protocole-de-soins-au-centre-hospitalier-de-doue-la-fontaine.html
http://www.medcomip.fr/region/region-outils/outils-egs/chutes/Procedure-chute-mobilite.pdf
https://www.infirmiers.com/
미국
https://www.ahrq.gov/professionals/systems/hospital/fallpxtoolkit/fallpxtk3.html
https://betsylehmancenterma.gov/
World Helath Oragnization. (2021).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44/en/
성영희, 권인각, 김경희 (2006). 입원환자의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13(2), 200-207
Coussement J, Paepe LD, Schwendimann R, Denhaerynck K, Dejaeger E, Milisen K.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acute-and chronic-care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8;56 (1):29-36.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7.01
Bergland A, Wyller TB. Risk factors for serious fall related in-jury in elderly women living at home. Injury Prevention. 2004; 10(5):308-13. https://doi.org/10.1136/ip.2003.004721
Oliver D, Daly F, Martin FC, McMurdo MET.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 tools for fall in hospit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ge and Ageing. 2004;33(2):122-30.https://doi.org/10.1093/ageing/afh017
김유정. (2017). “입원 환자의 낙상 사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기본간호학회지 24(2):106-17.
The Joint Commission. Speak up initiatives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speakup.aspx
강영옥, 송라윤. "동영상을 이용한 낙상예방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 입원 환자의 태도, 예방행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30.1 (2018): 50 page
2017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7년 Report No. 11-1352000-000672-1, 2017.
김철규(2002).입원환자 낙상 발생 실태와 원인에 관한 분석.한국의료 QA학회지, 9(2):210-228.
이희정.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 낙상에 대한 태도와 예방활동 관련 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경상남도
서옥임(2008). 일부대학병원 간호사의 입원환자낙상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수경. "요양병원 중심 낙상예방 및 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대전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