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상부위장관출혈은 식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등이 주요 원인으로 서양에서는 사망률이 최고 13%로 보고될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다. 국내에서도 위장관출혈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위장관 출혈의 병태생리와 원인, 증상, 합병증, 진단검사 및 치료와 간호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사례를 통한 분석을 통해 위장관출혈에 대해 이해하고, 간호사례연구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1.2.1. 위장관 출혈의 정의
위장관 출혈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이 손상되어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상부위장관 출혈과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하는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할 수 있다"".
1.2.2. 위장관 출혈의 원인
위장관 출혈의 원인은 크게 상부 위장관 출혈과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할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전체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의 약 50% 정도를 차지한다. 소화성 궤양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주요 원인이다. 이 외에도 미란성 위염, Mallory-Weiss 증후군, 식도정맥류 출혈, 스트레스성 궤양 등이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이 된다. 최근에는 항염증제와 항응고제 사용 증가로 이와 관련된 소화관 출혈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에는 대장 게실, 대장암, 궤양성 대장염, 혈관 기형 등이 있다. 특히 대장 게실 출혈이 전체 하부 위장관 출혈의 약 25%를 차지한다. 대장 게실 출혈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대부분 통증이 없고 때로는 대량 출혈이 나타난다. 하지만 실제 임상적으로 약 80%의 게실 출혈이 자발적으로 지혈되며, 20-25%에서 재출혈을 보이게 된다.
1.2.3. 위장관 출혈의 증상과 징후
위장관 출혈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위장관 출혈로 인한 신체적 증상은 출혈의 정도와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토혈, 호흡 곤란, 실신, 쇼크 등이 있으며, 또한 혈변이 관찰될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경우 검고 짜장면 색과 같은 대변을 보이는 흑색변이 나타나며, 하부 위장관 출혈의 경우 변기에 피가 보이는 혈변이 관찰된다.
출혈량이 많은 경우 체위성 저혈압, 실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