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인사행정이란 정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정부조직이 가진 인적 자원(주로 공무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동원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정부는 유능한 인적 자원을 보유해야 할 뿐 아니라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줄 알아야 한다. 특히 소방서의 경우 소방 인력을 언제, 어떻게, 얼마만큼 투입하느냐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우수한, 양질의 소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소방인력을 확보해야 하고, 소방 공무원들이 공익성과 윤리성, 사명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도록 사기 관리, 동기 부여를 해야 한다. 인사행정을 수행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엽관주의와 실적주의가 그것이다. 오늘날에는 엽관주의를 활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과거 인사행정의 초기에는 엽관주의가 인기가 있었다. 오늘날에도 엽관주의적인 요소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2. 엽관주의
2.1. 엽관주의의 정의
엽관주의는 관직에 사람을 임명할 때 정당에 대한 충성도와 공헌도(주로 정당이 선거에서 승리하는 데 얼마나 공헌했느냐)를 기준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보는 관점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2.2. 엽관주의의 역사
엽관주의는 미국에서 발달한 방법이었다."" 오늘날에는 엽관주의의 관점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지만 미국 건국 초창기에 엽관주의가 성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공직이 동부의 귀족들이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부 개척지의 지지를 받아 정권을 획득한 Jackson 대통령은 공직을 대중에게 널리 개방하여 자신을 당선시켜 준 서부 사람들에게 공직을 제공해야 하며, 이것이 민주적인 이념에 합치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 당시는 아직 행정이 단순했기 때문에 누구나 행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 선거 결과에 따라서 관직을 나눠주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인식했다."" 한편 엽관주의를 채택하게 되면 선거 결과에 따라서 대량 경질과 대량 임용이 가능한데, 이를 통해서 시민들의 공직 참여의 기회를 확대할 수 있었고, 공직 사회가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