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회학습이론의 개요
1.1. 반두라의 생애 및 학문적 배경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는 1925년 12월 4일 캐나다 앨버타(Alberta) 주 북쪽의 전체 인구가 100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 작은 시골 마을 문데어에서 태어났다. 폴란드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반두라는 1949년 브리티시 콜럼비아(British Columbia)대학교에서 학사학위, 아이오와(Iowa)대학교에서 1951년 심리학 석사, 1952년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듬해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몸담은 이후 심리학 강의를 하였으며 1974년 미국심리학회 회장을 거쳐 1980년 미국 서부 심리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처럼 반두라는 심리학 분야에서 저명한 학자로 인정받았으며, 특히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초기에는 임상심리학에 흥미를 가졌던 그는 이후 사회학습이론을 발전시키며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반두라는 Miller와 Dollard가 쓴 "사회학습과 모방"을 읽고 크게 영향을 받았고 1960년대 초에 일련의 논문과 서적을 출판, 발표하여 모방학습에 관한 이전의 설명 개념에 대하여 도전하기 시작했으며 관심의 논제를 보다 확대시켜 가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 오늘날 우리는 이 분야를 관찰학습이라 부르고 있으며 이제는 반두라를 이 분야의 지도적인 연구가 및 이론가로 부르고 있다. 또한 반두라의 업적은 1960년대 후반에 시작된 심리학의 인지적 혁명의 일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이론들은 성격심리학, 인지심리학, 교육학, 심리치료 등에 헤아릴 수 없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1.2. 사회학습이론의 등장과 주요 개념
반두라(Bandura)는 1960년대 초반부터 일련의 논문과 서적을 출판하여 기존의 모방학습에 관한 개념을 도전하고 관심의 범위를 확대해 나갔다. 그 결과, 오늘날 우리는 이 분야를 관찰학습이라 부르고 있으며 반두라를 이 분야의 선구적인 연구가 및 이론가로 인정하고 있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내적 심리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환경적, 인지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결정된다는 "상호결정론"을 제시하였다. 즉, 환경조건은 학습을 통해 개인의 행동을 형성하고, 그 행동은 다시 환경조건을 변화시키는 상호영향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사회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은 모방(modeling), 인지적 과정, 자기조정(self-regulation),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 자기효능감(self-efficacy) 등이다. 첫째, 모방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것을 따라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단순한 모방이 아닌 인지적 처리를 거치게 된다""
둘째, 인지적 과정은 내적 표준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고 행동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조정은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고 스스로 보상하거나 제재하는 과정을 말한다""
넷째, 자기강화는 자신이 자신에게 보상을 주어 자신의 행동을 유지 및 변화시키는 과정이며,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어떤 상황을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조정과 자기강화, 자기효능감 등의 인지적 요소는 행동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종합하면,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개인, 행동,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되며, 관찰학습과 모방, 인지적 과정 등이 핵심 개념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1.3. 사회학습이론의 학문적 전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행동주의 학자들이 학습을 관찰 가능한 행동의 변화로 보았다면, 반두라는 정신 구조의 변화에도 주목했다. 즉, 정신 구조의 변화가 외현적인 행동 반응이나 직접적인 강화 없이도 관찰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반두라는 1960년대 초반부터 일련의 논문과 서적을 출판하면서 모방학습에 관한 이전의 설명 개념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그의 연구 결과, 오늘날 우리는 이 분야를 관찰학습이라 부르고 있으며 반두라를 이 분야의 지도적인 연구가 및 이론가로 인정하고 있다.
반두라의 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이론들은 성격심리학, 인지심리학, 교육학, 심리치료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