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dura 사회학습이론
- 최초 등록일
- 2020.04.07
- 최종 저작일
- 2018.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Bandura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
2) Bandura의 관찰학습
3)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에서 발견한 나의 사례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Albert Bandura(1925 ~ )는 1925년 캐나다의 앨버타 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조그만 시골마을에서 성장했으며 British Columbia 대학에서 학사 학위, Iowa 대학에서 석.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아이오와 대학에서 초기에는 임상심리학에 흥미를 가졌으며, 초기의 연구들에는 심리치료과정, 아동의 공격성 등이 있었다. 반두라는 Miller와 Dollard가 쓴 ⌜사회학습과 모방⌟을 읽고 크게 영향을 받았고 1960년대 초에 일련의 논문과 서적을 출판, 발표하여 모방학습에 관한 이전의 설명 개념에 대하여 도전하기 시작했으며 관심의 논제를 보다 확대시켜 가게 되었다. 그러한 결과 오늘날 우리는 이 분야를 관찰학습이라 부르고 있으며 이제는 반두라를 이 분야의 지도적인 연구가 및 이론가로 부르고 있다.
인간은 내적 심리세력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존재도 아니고, 환경적 영향에 의해서 행동하는 것도 아닌, 오히려 인간행동의 원인은 개인적, 환경적 그리고 인지적 영향력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성격이론이 나타났다. 이러한 인간행동의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방법은 기질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이 상호 의존하여 행동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참고 자료
bsj5729,「반두라의 생애와 사진들」(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bsj5729/60056986036)
블루래빗,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dahye0426/220167541994)
차수인,「Bandura의 관찰학습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p.6~p19
신선혜 ⌜자기효능감 근원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p6~p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