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공혈자 선별
1.1. 주관적 자료
공혈자의 건강상태는 수혈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공혈자의 주관적 자료에는 공혈자의 병력과 감염 및 질병 노출 여부, 약물 복용 상태 등이 포함된다"
공혈자가 콩팥질환, 호흡계 질환, 간질환, 출혈성질환, 뇌전증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 수혈자에게 해당 질병이 전파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공혈자가 최근 전염성 질환에 노출되었거나 감염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수혈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다"
공혈자가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 바이러스 간염 또는 간염 환자와의 접촉, 혈액투석 경험, 약물중독, 매독이나 말라리아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도 수혈자에게 해당 질병이나 증상이 전파될 위험이 있다"
공혈자가 최근 예방접종을 실시한 경우에도 수혈자에게 살아있는 균이 전파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나 HIV에 노출된 위험이 있는 공혈자의 혈액은 수혈자에게 전파될 위험이 높다"
공혈자가 최근 혈액성분을 수혈받거나 주사를 맞은 경우에도 수혈자에게 건강문제가 전파될 수 있다. 또한 공혈자가 항응고제, 항생제 등의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에도 수혈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다"
이처럼 공혈자의 건강상태와 질병력, 약물 복용 등의 주관적 자료는 수혈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1.2. 객관적 자료
공혈자의 활력 징후와 혈색소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온이 35.9~37.6도, 혈압이 120/80mmHg, 호흡수가 12~20회/분, 맥박이 60~100회/분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또한 혈색소 수치는 남성 13.2~17.3g/dL, 여성 11.7~16g/dL 사이여야 한다. 이는 공혈자가 건강한 상태에서 공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이다.
공혈 대상은 19~58세 사이로, 남성은 적어도 체중 50kg 이상, 여성은 45kg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표준량 320mL의 공혈을 위한 최소 체중 조건이다.
1.3. 공혈 과정
공혈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공혈자는 수혈자의 알레르기 반응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혈 전에 기름진 음식과 술을 금한다. 공혈 시 자세는 편안한 반좌위를 취하여 어지럼이나 실신을 방지한다. 전박와(antecubital fossa) 부위의 피부는 iodine으로 소독한다. 팔에 지혈대를 매거나 혈압기의 커프를 약 100mmHg로 팽창시킨 후 정맥천자한다. 표준 공혈량은 320mL로 80mL의 항응고제와 방부제를 함께 용기에 넣어 무균적인 밀봉체계를 유지한다. 필요한 혈액량을 채혈하면 지혈대를 풀고 바늘을 제거한 후 적어도 2~3분 동안 지혈한다.
실신이나 현기증, 발한, 빈맥, 저혈압은 혈관 미주신경 반응이지만 금식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공혈자가 공혈 후 바로 일어서면 혈량의 감소로 기립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공혈자를 눕히거나 앉아서 무릎 사이로 머리를 숙여 30분 동안 유지하게 한다. 채혈한 팔로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지 않도록 하며, 3~4시간 동안 담배와 술을 삼가도록 교육한다. 헌혈 후 적어도 2일 동안 수분섭취를 증가시키고, 이후 몇 주 동안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게 한다.
2. 수혈 과정
2.1. 수혈 전 준비
수혈 전 준비는 수혈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수혈을 시작하기 전 의사의 수혈 처방을 확인하고 환자의 동의서를 받는 것부터 시작한다.
먼저 의사의 수혈 처방을 확인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혈액제제의 종류와 양을 파악한다. 이후 혈액은행에서 해당 혈액제제를 수령해 온다. 의료인 2인은 혈액제제의 정보를 면밀히 확인하여 환자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는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등록번호, 혈액제제의 종류, 혈액고유번호, 혈액형, irradiation 유무, 교차검사 결과, 유통기한, 혈액의 상태 등이 포함된다. 이상 없음을 확인하고 의료인 2인이 서명한다.
다음으로 수혈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수혈세트, 생리식염수, 항히스타민제 등 응급약물 등이 포함된다. 그 후 간호사는 환자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환자의 이름, 등록번호 등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확인한다. 이때 입원팔찌와 대조하여 환자를 정확히 확인하고 환자에게 직접 혈액형을 말하도록 하여 준비한 혈액제제와 일치하는지 재확인한다.
이어서 간호사는 환자에게 수혈의 필요성, 과정, 부작용 등을 설명하고 과거 수혈 경험과 부작용 경험 유무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