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불편한 자세와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비효과적인 모유수유
1.1. 진단적 계획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지식정도를 알기 위해 안는 자세로 모유수유를 관찰한다"이다. 산모의 유방크기, 모양, 울혈정도, 통증 등을 재사정하여 수유 시 문제가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이다. 또한 올바른 모유수유 과정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여 산모가 모유수유 방법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이다. 매일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여 모유수유 기술이 정확한지와 몸무게가 증가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이다. 마지막으로 함몰유두 모유수유가 정상 모유수유보다 어렵지만 젖꼭지를 빼내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실리콘 실드를 사용하여 모유수유를 시도할 수 있는지 사정한다"이다.
1.2. 치료적 계획
치료적 계획" 에는 2-3시간 간격(1일 8-12회)으로 모유수유를 하도록 격려하는 것, 출산, 모유수유, 아기 등에 대한 산모의 생각을 표현하여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모유수유를 격려하는 것, 대상자의 노력에 대한 긍정적 강화를 제공하는 것, 아기에 대한 걱정을 완화하기 위해 산모에게 지속적으로 아기의 상태에 대해 보고하는 것이 포함된다"".
1.3. 교육적 계획
"대상자에게 정확한 모유수유 방법, 자세에 대해 교육한다. 수유 시 아기는 산모의 유방 높이까지 충분히 올리고, 유두를 포함하여 유륜까지 물게 하여 수유를 수행해야 함을 교육한다. 또한 수유 중 자세가 느슨해져서 아이의 위치가 바뀌면 다시 위치를 잡아주어야 하는 것을 매 수유 전, 중, 후로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모유수유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모유는 영아에게 가장 이로운 음식이며, 생후 6개월까지 모유만으로 충분한 영양이 될 수 있다. 젖당은 뇌와 중추신경계통의 발달에 기여하고, 포도당은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모유의 또다른 이점으로 1형 또는 2형 당뇨병, 림프종, 백혈병, 호지킨병,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천식의 발병 위험 감소가 있다. 초유에 존재하는 IgA는 항바이러스, 항균, 항원 억제 기능을 하고, 항산화제, 고농도의 락토페린, 비피더스균이 있어 아동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하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유방 마사지 방법을 교육한다. 유방 모형을 통해 마사지 시범을 보였고 직접 유방 모형에 수행해봤다."
"대상자와 대상자 가족을 대상으로 올바른 유방관리법과 유축기 사용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퇴원 후 부모 역할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매주 수요일에 시행되는 초보부모멘토스쿨 등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교육했다."
"모유수유가 부족할 시 보충수유가 필요함을 교육한다. 아기 체중이 7%이상 감소했을 때 분유 보충이 필요하지만 현재 아기는 체중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중으로 보충수유가 필요없다고 설명했다."
"대상자에게 실리콘 실드를 이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아기의 코가 산모의 가슴에 닿도록 당긴 후 아기가 보호기의 유륜 전체를 물도록 자세를 잡는다. 보호기의 굴곡 부분이 위로 향하게 착용한다. 보호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기의 양 끝을 손가락으로 잡는다. 편안하게 수유를 한다."
"보호자에게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남편의 참여가 애착도를 증진시킴을 교육했으며, 유축기 사용법을 설명했다."
1.4. 이론적 근거
[이론적 근거]
진단적 근거는 "안는 자세로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지식정도를 알 수 있으며 효과적인 모유수유를 위해서는 안는 자세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