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상처관리 및 배액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술 전 간호
1.1. 수술 전 준비사항
1.2. 수술 종류에 따른 피부준비 부위 및 피부준비 방법
1.3. 수술 후 폐합병증 예방을 위한 심호흡법
1.4. 수술 후 합병증
2. 수술 후 간호
2.1. 수술 후 상처배액 종류에 따른 관리법
2.2. 수술 후 통증관리
2.3. 수술 후 합병증
3.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3.1. 내과적 무균술
3.2. 외과적 무균술
3.3. 보호 장구 착용과 제거법
3.4. 폐기물 관리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술 전 간호
1.1. 수술 전 준비사항
수술 전 준비사항은 수술을 앞둔 환자의 건강상태와 위험요인을 확인하여 수술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의 건강력, 동의서 확인, 피부준비, 장 관리, 마취 준비 등을 포함한 사정을 실시해야 한다.
우선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력을 확인해야 한다. 알레르기, 약물 및 약물 남용, 한약 및 영양제 복용, 일상생활 수행능력, 불안 수준, 병력, 심장ㆍ폐ㆍ콩팥ㆍ간ㆍ신경계 기능상태, 혈액학적 및 내분비계 상태, 영양상태, 이전 수술과 마취력, 연령, 수술에 대한 지각, 통증에 대한 지각, 외과적 위험 등을 사정한다. 이를 통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가 수술 목적, 절차, 부작용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동의서 작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수술 전 피부준비는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미생물 오염, 피부의 기름기 제거 등을 통해 피부 절개 시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수술 부위 피부를 충분히 넓게 깨끗이 씻고 제모를 실시한다.
수술 전 위장관 확인을 위해 수술 8~10시간 전부터 금식하고, 복부 및 장 수술의 경우 비위관 삽입과 관장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마취 중 구토와 흡인 가능성, 장 손상 후 대변 누출로 인한 위험성을 예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간호사는 마취의사에게 환자의 불안 수준을 알려주어 마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의 건강상태와 위험요인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수술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한다.
1.2. 수술 종류에 따른 피부준비 부위 및 피부준비 방법
수술 종류에 따른 피부준비 부위 및 피부준비 방법은 수술 전 피부준비의 중요한 부분이다. 수술 전 피부준비는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미생물 오염, 피부의 기름기 제거 등을 통해 피부 절개 시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술 부위 피부의 청결과 삭모가 이루어진다.
수술 전 비누로 수술 부위를 청결히 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술 전날 저녁에는 수술 부위에 향균비누를 사용하여 5~10분간 부드럽게 닦아서 세균수를 감소시킨다. 피부 준비 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 준비 부위는 충분히 넓게 한다. 둘째, 피부에 제모제를 10분간 발라 두었다가 털과 함께 닦아낸다. 제모제 사용으로 발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잘 관찰해야 한다. 셋째, 수술 부위를 중심으로 피부 준비를 해야하며 겨드랑이 털이나 치모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는 클리퍼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적절한 피부 준비는 수술 부위의 감염 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한다. 피부 준비 방법은 수술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절개의 범위를 고려하여 넓게 준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수술 전 감염 예방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1.3. 수술 후 폐합병증 예방을 위한 심호흡법
횡경막 호흡법(diaphragmatic breathing)은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는 심호흡법이다. 이는 숨을 천천히 깊게 최대로 들이마신 후 천천히 내쉬는 방법으로, 허탈된...
참고 자료
송영희 외, "상처간호," in 기본간호학-하, 현문사, 1999, p. 1024.
프셉마음 호흡기 간호 입문편, 드림널스, 202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9판, 수문사, 2021
널싱스킬, https://www.els-nursingskills.kr/Dashboard, 배액관 관리, Elsevier, 2022
송경애 외. (2019).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손정태 외. (2018). 기본간호학1, 현문사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1,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