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병원에서 환자들을 치유하는데 있어서 병원근로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 중 임상병리사의 역할 등이 환자의 성장과 질병 치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최근 임상병리사들이 환자 운반 업무와 반복적인 채혈 작업 등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을 기초로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현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1.2. 연구대상
본 과제는 서울시 소재의 Y병원, 천안시 소재의 D병원 임상병리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Y병원과 D병원에서 주로 설문지를 주고받는 형식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각 부서별 임상병리사들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 양해를 구해 근무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설문지를 통한 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의 임상병리사 연령대를 40대를 기준으로 하였는데, 40대 이상보다는 30대 참여율이 높아 40대보다 30대 연령대의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비중을 두어 조사가 실시되었다.
2. 이론적 배경
2.1. 임상병리사의 업무
임상병리사는 검체 또는 생체를 대상으로 병리적·생리적 상태의 예방·진단·예후 관찰 및 치료에 기여하고,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결과를 제공하며, 검사결과의 연관성을 해석하고 현재 사용 중인 검사법의 평가와 개선을 꾀하여 새로운 검사법을 평가하는 전문 의과학 기술인이다."
임상병리사는 병리학·미생물학·생화학·기생충학·혈액학·혈청학·법의학·요화학·세포병리학·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한 가검물 등의 검사 및 생리학적 검사(심전도·뇌파·심폐기능·기초대사 기타 생리기능에 관한 검사)의 분야에서 임상병리검사 업무에 필요한 기계·기구·시약 등의 보관·관리·사용, 가검물 등의 채취·검사, 검사용 시약의 조제, 혈액의 채혈·제제·제조·조작·보존·공급 기타 임상병리검사 업무에 종사한다."
또한 임상병리사는 병원내에서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신경과, 심장내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수적인 검사를 담당하고 있으며, 각 영역별로 세부적인 검사가 여러 종류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개개의 검사는 검사자간의 결과치가 달라질 수 있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특정 전문 검사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