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아동 및 다형홍반 사례 선정 이유
대상아동인 임○○은 다형홍반 환자로, 수간호사의 추천으로 해당 사례를 채택하게 되었다".. 임○○ 아동은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 아닌 다형홍반 사례로, 보기 드문 케이스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다형홍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연구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해당 사례가 선정되었다"..
1.2. 연구 기간
본 연구는 2019년 2월 26일 부터 2월 27일까지 진행되었다"본 연구는 현재 @@병원에 입원한 16개월 아동의 다형홍반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2월 26일부터 2월 27일까지 이틀간 진행되었다. 대상 아동의 질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연구하기 위해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연구를 통해 다형홍반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경과 및 합병증, 치료법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 다형홍반에 대한 문헌고찰
2.1. 다형홍반의 정의
다형홍반은 주로 바이러스나 약물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피부 및 점막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붉은색의 홍반성 피부 질환이다. 피부 외에도 점막을 침범할 수 있으며 급성으로 진행되고 대개 자연 소실되는 경과를 보인다. 홍반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고리 모양, 둥근 모양, 과녁 모양의 붉은색 반점, 수포 등으로 구성되며 그 중 과녁 모양의 병변이 특징적이다."
2.2. 다형홍반의 증상
다형홍반의 증상은 이렇다. 감기나 두통, 발열, 근육통 등 가벼운 몸살 증상이 먼저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발진은 급격히 발생하여 진행한다. 병변은 전신 피부의 어느 곳에나 생길 수 있지만 대칭적으로 양쪽 팔다리의 바깥쪽이나 얼굴, 손발바닥에 흔하게 발생한다. 대퇴부, 둔부, 몸에도 발생하며 처음에는 말단에 발생하여 몸의 중심부로 향하는 양상을 보이고 수백 개까지 개수가 늘어나기도 하나 전체 체표면적의 10% 미만에서 나타난다. 자각증상으로 가려움증이나 타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기도 하나 많은 경우에서는 증상이 없다."
2.3. 다형홍반의 진단
다형홍반의 진단은 전형적인 표적병변으로 다른 질환과 구분되어 쉽게 진단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비전형적인 병변일 때는 피부 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재발성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감염의 증상을 확인하거나 흉부방사선 촬영,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감염을 확인하여 다형홍반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전형적인 임상 양상과 병력 청취로 진단할 수 있으며, 주로 청장년층에서 전신에 급격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모양의 붉은색을 띄는 홍반성 반점이나 판, 구강 점막의 피부 증상이 있을 때 다형홍반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재발성 다형 홍반의 다수에서 다형 홍반이 나타나기 수일~2주 전 재발성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피부 증상이 나타난다. 최근 복용한 약물이나 기타 감염의 증상이 있는지도 알아보아야 한다.""
2.4. 다형홍반의 경과 및 합병증
다형홍반의 경과 및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대개의 경우 1~4주 내에 자연적으로 회복되며 후유증은 없지만 일부의 경우 세균성 피부 감염의 병발이나 색소 침착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재발의 예측은 어렵지만 재발의 빈도와 질환의 심한 정도는 재발성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력을 회복해감에 따라 점차 줄어들고 약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형홍반의 재발이 잦은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예방적, 혹은 지속적으로 투여하여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