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개인의 의사소통유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사소통의 개념과 유형
1.1. 의사소통의 정의와 특징
1.2. 의사소통의 기본 유형
1.2.1.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1.2.2. 일방향적 의사소통과 쌍방향적 의사소통
2. 개인별 의사소통 유형
2.1. 호킨스의 4가지 의사소통 유형
2.2. 노턴의 10가지 의사소통 유형
2.3. 그릭과 케슬러의 2가지 의사소통 유형
3. 조직 내 의사소통 유형
3.1. 공식적 의사소통
3.1.1. 하향적 의사소통
3.1.2. 상향적 의사소통
3.1.3. 수평적 의사소통
3.2. 비공식적 의사소통
3.2.1. 그레이프바인(Grapevine)
3.2.2. 소시오메트리(Sociometry) 기법
4. 사회복지사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4.1. 개인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4.2.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사소통의 개념과 유형
1.1. 의사소통의 정의와 특징
의사소통은 정보나 관계를 유지·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정보교환의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인간관계의 형성은 자극을 전달하여 반응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의사소통에는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그 상호작용의 내용과 해석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의사소통은 고정 장치이며 시작과 종료가 없음을 의미하며 연속적이다. 발신자와 수신자는 메시지를 보내고 무한 피드백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의사소통은 직접적인 과정이 아니라 순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의사소통의 기본 유형
1.2.1.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말과 글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구두 의사소통과 문서 의사소통이 이에 포함된다. 구두 의사소통은 직접적이고 효율적이지만 때로는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문서 의사소통은 정확성과 기록성이 높지만 신속성이 떨어진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말과 문자를 제외한 신체적 표현과 행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표정, 몸짓, 자세, 시선, 음성적 요소 등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해당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완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감정과 태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문화적 차이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균형있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2.2. 일방향적 의사소통과 쌍방향적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정보나 관계를 유지·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교환의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통한 인간관계의 형성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그 상호작용의 내용과 해석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유형에는 일방향적 의사소통과 쌍방향적 의사소통이 있다.
일방향적 의사소통은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일방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 유형의 의사소통에서는 수신자의 피드백이나 반응이 발신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일방향적 의사소통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강연, 연설, 공연 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발신자가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수신자는 단순히 그 메시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않으며, 메시지의 전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쌍방향적 의사소통은 발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상호작용 과정을 의미한다. 이 유형의 의사소통에서는 발신자가 메시지를 보내면 수신자가 이에 대한 반응을 보내고, 이를 다시 발신자가 받아들이는 등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대화, 토론, 면담 등이 대표적인 쌍방향적 의사소통의 사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역할이 바뀌면서 지속적으로 의사를 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쌍방향...
참고 자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브런치 [상담의 중요한 기본 기법]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2006, 이경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