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가 관련된 의료사고사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9.25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사가 관련된 의료사고사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환자안전사고 현황
1.1. 환자안전 통계연보 주요 내용
1.2. 의료기관별 환자안전사고 발생 장소
1.3. 환자안전사고 유형
1.4. 환자안전사고의 위해 정도

2. 환자안전법의 제정과 의미
2.1. 환자안전법 제정 배경
2.2. 환자안전법의 주요 내용
2.3. 환자안전법의 의미

3.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간호사의 역할
3.1. 간호사의 안전관리 마인드
3.2. 안전간호활동
3.3. 환자안전 보고체계

4. 환자안전 관리의 실제
4.1. 약물 투여 오류 관리
4.2. 낙상 예방
4.3. 의료기기 관리
4.4. 의료폐기물 관리

5.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
5.1. 환자확인 절차 강화
5.2. 근본 원인 분석
5.3.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개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환자안전사고 현황
1.1. 환자안전 통계연보 주요 내용

2022년 환자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는 총 1만 4820건으로 2021년보다 약 113% 상승했으며, 월평균 약 1,235건이 보고돼 환자안전법 제정 후 연도별 최다 보고 건수를 달성했다. 사고의 발생 장소는 입원실(6,035건 40.7%)과 외래진료실(4,276건 28.9%)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사고의 종류는 약물(6,412건 43.3%), 낙상(5,745건, 38.8%), 상해(495건 3.3%), 검사(493건 3.3%), 처치/시술(209건 1.4%) 순으로 보고됐다. 사고가 환자에게 미친 영향별로 살펴보면 근접오류(5283건, 35.6%), 경증(3982건, 26.9), 위해없음(3709건, 25.0%) 순으로 보고됐으며, 중등증(1604건, 10.8%), 중증(47건 0.3%), 사망(141건, 1.0%) 등 위해정도가 높은 사고는 전체 보고 건수의 12.1%를 차지했다. 법 개정 후(2021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중대한 환자안전사고 의무보고 건수는 총 181건으로 법에 따른 의무보고 유형에 해당하는 환자안전사고는 총 66건 보고됐다.


1.2. 의료기관별 환자안전사고 발생 장소

환자안전사고 발생 장소 중 입원실(6,035건 40.7%)과 외래진료실(4,276건 28.9%)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환자들이 병원 내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자 의료진의 직접적인 처치와 관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즉, 의료진과 환자의 상호작용이 가장 빈번한 장소에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입원실과 외래진료실은 환자안전관리에 가장 중요한 공간이므로, 이곳에서의 안전대책 마련이 특히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1.3. 환자안전사고 유형

환자안전사고 유형은 주로 약물(43.3%), 낙상(38.8%), 상해(3.3%), 검사(3.3%), 처치/시술(1.4%)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약물사고는 환자안전사고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약물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투약오류, 부작용, 상호작용 등 다양한 위험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위험 약물의 경우 투약 과정에서의 실수나 관리 소홀로 인해 심각한 부작용이나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약물사고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낙상사고는 두 번째로 높은 빈도를 보이는데, 낙상은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사고 유형으로 손상의 정도가 심각할 수 있다. 낙상은 주로 보행능력이 저하된 노인 환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환경적 요인이나 환자 요인 등 다양한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낙상 위험 환자를 사전에 선별하고 예방적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등 체계적인 낙상 예방 활동이 필요하다.

상해사고는 환자에게 직·간접적인 신체적 손상을 입히는 사고로, 기구 오작동이나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환자 절단, 화상, 골절 등이 대표적이다. 검사사고는 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부작용을 의미하며, 처치/시술 관련 사고는 의료진의 부적절한 처치나 시술로 인한 사고를 말한다.

이처럼 환자안전사고는 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사고의 원인과 결과도 상이하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각 사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예방 및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1.4. 환자안전사고의 위해 정도

환자안전사고의 위해 정도는 근접오류, 경증, 위해 없음, 중등증, 중증, 사망 등으로 구분된다.

'근접오류'는 5,283건(35.6%)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중단되었거나 발견되어 예방된 사고들을 의미한다.

'경증' 사고는 3,982건(26.9%)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환자에게 경미한 해를 끼쳤지만 추가 치료 없이 회복된 경우이다.

'위해 없음' 사고는 3,709건(25.0%)으로, 환자에게 어떠한 위해도 발생하지 않은 사고들을 말한다.

'중등증' 사고는 1,604건(10.8%)으로 추가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이며, '중증' 사고는 47건(0.3%)에 불과했다. 중증 사고는 환자에게 심각한 해를 끼쳐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사망' 사고는 141건(1.0%)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안전사고로 인해 사망에 이른 경우를 말한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안전사고가 근접오류나 경증 수준의 위해에 그쳤지만, 중등증 이상의 중대한 사고 또한 전체의 12.1% 정도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환자안전사고의 예방과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러한 중증 및 사망 사고를 줄이기 위함이다.


2. 환자안전법의 제정과 의미
2.1. 환자안전법 제정 배경

우리나라는 외국의 경우와 같이 주요사건보고시스템 운영을 통한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한 별도의 법률은 없었지만 2014년 1월 "환자안전 및 의료질 향상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었다. 이는 2010년 백혈병 항암치료를 받던 어린이가 항암제 "빈크리스 틴(Vincristine)"을 척수강 내에 잘못 주사하여 사망하는 사건과 2012년에도 림프 암 초기진단을 받고 병원에서 입원치료 중이던 40대 여성이 "빈크리스틴" 척수강 내주입이라는 동일한 사건으로 입원 2주만에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약품 사용, 병원감염 등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각종 위험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단체를 중심으로 "환자안전법 제정 청원운동" 등의 입법에 관한 의견수렴을 지속적으로 전개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이후 ...


참고 자료

장금성 외(2022). 제5판 최신 간호 관리학. 현문사. 760-801.
문성제. "간호업무와 법적 책임." 대한 간호 44.6. 52-68(2005).
김윤신 외. “판례를 통한 간호사 관련 의료사고의 과실책임 분석”. 대한법의학회지 제43권 제4호. 119-128(2019)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257961?sid=102
https://v.daum.net/v/20171218100908076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845
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181079#0DKW
최신 기본간호학1(수문사)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KOPS – https://www.kops.or.kr/portal/main.do
병원간호사회 –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
내시경 중 ‘투약사고’로 심근경색 유발한 의료진 유죄판결(메디컬투데이) -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9106196648
제주대병원 영아 사망사고 발생부터 대처까지 ‘총체적 부실’(KBS NEWS)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70362&ref=A
의료진 실수로 청각만 빼고 모두 잃은 19개월 아이 –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59225
환자 사망 과실 제주 모 병원 의사 1000만원-간호사 500만원 벌금 –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03528
조성숙, 강문희. (2013). 신규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1), 24-34.
간호관리학 교재 /출처: 현문사 /저자: 서문경애
박재훈.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23.2 (2015): 33-66.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2022년 환자안전 통계연보
KBS 뉴스 https://youtu.be/2HekI9Nintk?si=gtXCTM1zelwGzlQ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