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간호학 321 심혜원 package part.1에서 portable O₂ 3L/min를 공급 받으며 strecher car를 타고 보호자, 환자이송 전담직원과 함께 입원하는 심혜원님을 만나볼 수 있었다. 심혜원님은 최근 살을 뺀다고 운동을 열심히 했다고 하셨고, 평소에는 숨이 가쁘기는 했지만 가슴통증이 없어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고 하셨다. 하지만 금일 병원에 오기 전에 운동을 한 후 갑자기 숨차고 가슴통증이 있어 119를 불러 ER을 통해 내원하셨다. 통증의 양상은 가슴과 어깨가 짓누르듯이 불편하고 아프고, 주증상으로는 호흡곤란과 가슴통증이 있었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 고지혈증 등 심장질환에 원인이 될 수 있는 질병을 가지고 있었고, 10년 전 진단 후 현재도 po로 약을 복용하고 계신 상태였다. 이에 따라 우리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심장질환의 종류 중 심부전에 대해서 조사하게 되었다. 고령화 사회가 심화됨에 따라 심부전의 유병률 또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18년 현재 노인인구 13%중 1.60% 가 심부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년 뒤 2020년에는 노인인구 15.6% 대비 1.95%가 심부전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증가하고 있는 심부전 유병률에 대해 심각성을 깨닫고, 심부전이란 어떤 질환인지 또 어떤 증상과 징후를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2. 심부전의 정의와 분류
2.1. 심부전의 정의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이상을 일으키거나 심장 자체에 기능 장애가 생겨 심장의 펌프 기능이 약화되어 신체에 충분한 혈액을 보내주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심부전은 심장의 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 각 부위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증후군을 의미하며, 심장 질환의 최종 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심부전은 심장 질환 중에서도 가장 흔하고 심각한 질환 중 하나이다.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기능(이완 기능)이나 펌퍼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이다."
2.2. 심부전의 임상적 분류
2.2.1. 급성심부전
급성심부전(acute heart failure)은 심근이 갑자기 펌프기능을 상실할 때 일어나며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한다. 대개 심기능 장애 없이 순환성 울혈과 조직 국소 빈혈증상이 몇 시간 내 급격히 진행되는 임상적 상황이므로 급성심부전이라는 명칭보다는 쇼크, 폐색전증 등 원인 질환으로 설명된다. 주요 원인은 급속한 혈액량 감소로 오는 쇼크나 심한 순환혈액량의 과부담이다. 관상동맥 혈전증이나 폐색전증, 심한 염증상태, 약물중독, 두부손상 등으로 세동맥 수축력 잃어 혈액 저항 상실 시 심한 저혈압과 급성 심부전이 발생한다. 출혈이나 쇼크, 탈수 등은 세포외액의 감소로 인해 순환혈액량을 급속히 감소시켜 급성 심부전을 일으키며, 단위시간 내 빠른 정맥주사는 순환 혈량의 과잉 증가로 인해 원인이 된다. 혈전, 색전, 경색 등도 순환혈류를 차단해 심부전을 초래할 수 있다.
2.2.2. 만성울혈성심부전
2.2.2.1. 좌심부전
좌심부전은 좌심실이 펌프 기능 장애로 인해 전신 혈관 속으로 동맥혈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심장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박출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좌심방압과 폐정맥압이 상승하여 폐울혈을 초래하게 된다. 좌심부전은 우심부전에 비해 발생률이 훨씬 높으며, 그 원인으로는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류마티스 심장질환, 승모판 및 대동맥판 질환, 심근증, 심근염, 선천성 심질환 등이 있다. 특히 고혈압과 허혈성 심질환은 좌심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좌심실은 충분한 혈액을 박출할 수 없게 되면서 장기적으로 빈맥, 심실 확장, 심실 비대 등의 보상 기전이 나타나지만, 신체의 순환 요구에 대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점차 수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심방은 폐정맥으로부터 들어오는 동맥혈을 받아들이는 데 지장을 받게 되어 폐울혈이 발생하게 된다. 폐정맥압이 25mmHg 이상 상승하면 폐간질의 부종(급성 폐수종)이 일어나 폐 순응도가 낮아지고 호흡곤란이 심해진다.
이러한 좌심부전 환자의 대표적인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흡곤란이다. 폐정맥압 상승과 폐울혈로 인한 가스교환 장애로 인해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이 된다. 초기에는 운동 시 호흡곤란이 나타나지만, 점차 발작성 야간성 호흡곤란, 기좌호흡, 안정 시 호흡곤란 등으로 진행된다.
둘째, 기침과 혈담이다. 폐울혈로 인해 세기관지 내에 고인 수분이 기관지 점막을 자극하여 기침이 발생하며, 울혈된 폐 모세혈관이 파열되면 객담에 줄무늬 모양의 혈액이 섞이는 혈담(bloody streaked sputum)이 관찰된다. 중증 심부전에서는 심한 폐울혈로 인하여 폐 모세혈관에서 수분이 간질 조직과 폐포 내로 누출되어 급성 폐수종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콩팥 기능 저하, 부종, 체중 증가이다.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전신 동맥계에 충분한 혈액 공급을 하지 못하면 콩팥 기능이 저하되고, 나트륨과 수분이 조직 내에 축적되어 소변량 감소, 체중 증가, 심장성 부종 등이 나타난다.
넷째, 맥박이상이다. 좌심부전으로 인해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동방결절이나 방실결절에 이상이 없는 한 맥박은 증가되고 맥압은 저하된다. 가장 특징적인 맥박 이상은 크고 작은 진폭이 교대로 나타나는 교대맥박(pulsus alternans)과 흡기 시 수축기 혈압이 낮아지고 호기 시 수축기 혈압과의 차이가 15mmHg 이상인 모순맥박(paradoxical pulse)이 있다.
다섯째, 뇌의 저산소증이다. 좌심부전으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는 뇌의 저산소증을 초래하여 환자는 불안정, 집중력 약화, 불면증, 혼미 등을 보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로와 전신쇠약이다. 심박출량 감소로 사지근육과 피부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 전신쇠약이 오고, 정맥울혈로 인한 순환시간의 지연으로 대사산물을 빨리 제거하지 못하여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즉, 좌심부전은 심박출량 감소에 따른 폐울혈과 전신 동맥 관류 저하로 호흡곤란, 기침, 부종, 신기능 저하, 뇌 저산소증, 피로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2.2.2.2. 우심부전
우심부전은 우심실의 펌프기능 장애로 인해 전신 정맥계로 충분한 정맥혈을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대부분 좌심부전에 이어 나타나며, 좌심부전으로 인한 폐울혈에 대한 저항으로 우심실 압력이 상승되어 발생한다. 그러나 좌심부전과 무관하게 발생되기도 한다.
우심부전의 원인으로는 좌심부전을 일으키는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류마티스 심장질환 등과 함께 삼첨판 및 폐동맥 협착증 등이 있다. 또한 폐기종이나 기관지 확장증, 규폐증, 폐결핵과 같은 만성 폐질환도 독립적으로 우심부전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COPD와 같은 만성폐질환에서는 폐 저항이 높기 때문에 전신순환에서 오는 정맥혈이 우심실에서 폐로의 흐름에 저항을 받아 폐동맥압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계속적으로 우심실에 과부담이 가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