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1.1. 정의 및 병태생리
1.2. 원인
1.3. 임상증상
1.4. 진단검사
1.5. 치료
1.6. 경과 및 합병증
2. 대상자 정보
2.1. 일반정보
2.2. 신체사정
2.3. 활력징후
3. 진단검사
3.1. 혈액검사
3.2. 영상검사
3.3. 미생물검사
4. 약물 처방 및 투여
4.1. 항생제
4.2. 해열진통제
4.3. 거담제 및 기관지확장제
5. 간호과정
5.1. 간호진단
5.2. 간호중재
5.3.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1.1. 정의 및 병태생리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말단세기관지 아래 폐실질조직의 급성 염증으로, 주로 감염에 의해 일어나지만 합병증이나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 표면의 당단백과 결합하여 호흡기의 섬모원주상피세포를 침범하지만, 세포 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기저막을 통과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후 특이 및 비특이 항체가 생성되는데, 비특이 항체인 한랭 응집소는 IgM 자가항체로 적혈구의 당단백과 반응하며 일반적으로 질병의 심한정도와 비례하여 증가한다""
1.2. 원인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원인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감염이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은 작은 크기의 세균으로 세포벽이 없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균은 전체 폐렴 중 10~30%를 차지하며 바이러스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폐렴의 원인이 된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주로 5~12세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며, 가을과 겨울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인구가 밀집된 장소에서 쉽게 전파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3~4년 주기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유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병원체는 호흡기계 감염뿐만 아니라 혈액계, 심혈관계, 소화기계, 신경계, 피부계 등의 폐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은 호흡기의 섬모원주상피세포에 결합하여 점막을 침범하지만, 세포 내부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기저막을 통과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1.3. 임상증상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주된 임상증상은 "오래 계속되는 심한 기침과 38°C 이상의 열"이다. 처음에는 마른 기침을 하지만 점차 진행되면서 가래 기침을 하나 콧물 등의 증상은 드물다. 또한 인플루엔자 증상과 비슷한 오한, 열, 피로, 두통, 식욕부진, 인후통 등이 있고 환자의 30~40%는 구토, 복통, 피부 발진의 증상을 호소한다. 폐 이외에도 신경계나 혈액계에 병이 생기거나 간염, 췌장염, 심근염, 심낭염, 관절염 등이 동반되기도 하며 이러한 호흡기 외의 증상들은 자가면역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보인다"".
1.4. 진단검사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진단검사는 여러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혈액검사를 통해 한랭 응집소와 특이 항체를 측정할 수 있다. 한랭 응집소는 IgM 자가항체로 감염초기에 생성되어 3주 내 최고에 달하고 6주경 소실된다. 특이 항체인 항마이코플라즈마 항체도 감염초기에 증가하나 수개월~수년간 지속된다. 둘째, 영상검사로 단순흉부 X선 촬영을 시행한다. 폐렴 소견이 관찰되나 원인균을 구분할 수는 없다. 셋째, 미생물검사에서 객담이나 비인두 도말 검체의 배양을 통해 마이코플라즈마 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배양검사는 어려운 편이다. 따라서 임상증상과 함께 특이 IgM 양성 또는 IgG 항체가 4배 이상 증가하면 확진할 수 있다. 또한 염증지표인 백혈구, 적혈구 침강속도, C-반응 단백질 등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종합적으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진단은 임상증상, 영상검사, 혈청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1.5. 치료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치료는 전신 상태와 환자의 증상에 따라 달라진다. 전신 상태가 좋지 않거나 처지고 탈수를 동반할 때, 호흡곤란이 있을 때, 면역력이 저하되었을 때 등의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세균성 폐렴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데, 원인 균주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항생제의 종류 및 투여 기간이 다를 수 있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임상적으로 강하게 의심될 경우에는 경험적으로 B-lactam계 항생제에 macrolide계 항생제를 추가하여 투여한다. 원인균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환자의 연령, 면역상태, 지역사회의 유행 양상 등을 고려하여 경험적 치료를 시행한다.
급성 폐렴 환자에게는 충분한 휴식과 안정이 필요하며, 마스크 착용 등의 예방 조치를 통해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건조한 공기로 인한 호흡기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가습기 사용,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의 조치가 도움이 된다. 또한 저산소증이 있을 경우 산소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증상 완화를 위해 기침 억제제나 거담제, 해열진통제 등의 약물 치료도 활용된다. 기침이 심하여 수면을 방해할 정도인 경우 기침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고, 가래 배출을 돕기 위해 거담제를 투여한다. 발열이 심하거나 두통이 동반되는 경우 해열진통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항생제, 해열진통제, 거담제 등의 약물 치료와 더불어 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 가습기 사용, 산소요법 등의 보조적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1.6. 경과 및 합병증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경과 및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주로 1~3주의 잠복기 후 서서히 발병하여 대개 3~4주 이내에 점차 회복된다. 초기에는 마른 기침을 하지만 점차 가래 기침으로 진행된다. 38°C 이상의 열과 오래 계속되는 심한 기침이 주된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호흡기 ...
참고 자료
김희순, 오진아 외 (2023),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1, 수문사
김희순, 오진아 외 (2023),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2, 수문사
현문사, 김옥수 외, 2020,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김옥수 외, 2020, 성인간호학(하)
킴스 온라인 https://www.kimsonline.co.kr/
프셉마음 호흡기간호입문편(2020). (주)드림널스. 김지인 저.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RISS ‘소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에서 진단방법의 비교 및 IgG 아군의 변화’ - 윤유숙, 황자영, 강진한, 이준성, 이경일, 임정우(2009)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a5813163b004134147de9c1710b0298d&keyword=%EB%A7%88%EC%9D%B4%EC%BD%94%ED%94%8C%EB%9D%BC%EC%A6%88%EB%A7%88%20%ED%8F%90%EB%A0%B4
기본간호학2, 양선희 외, 2018, 현문사
아동청소년 간호학2, 김희순 외, 2019,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 LEWIS 외, 2018, 현문사
아동에서의 적외선 체온 측정의 진단정확도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박영주 외, 2013, 대한간호학회지
네이버 건강백과 의약품 사전
드러그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