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숙주의 행동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발달이론과 보육과정
1.1. 보육과정의 이해
1.2. 발달이론의 중요성
2. 성숙주의 이론
2.1. 성숙주의 이론의 개념
2.2. 게젤의 아동양육 원리
2.3. 성숙주의 이론의 장단점
3. 행동주의 이론
3.1. 행동주의 이론의 개념
3.2. 행동의 ABC 패러다임
3.3. 행동주의 이론의 세 가지 분류
3.4. 행동주의 이론의 장단점
4. 구성주의 이론
4.1. 구성주의 이론의 개념
4.2. 구성주의 이론의 장단점
5. 발달이론의 비교
5.1. 발달 및 지식관
5.2. 학습 형태 및 방법
5.3. 교사의 역할
5.4. 교육 프로그램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발달이론과 보육과정
1.1. 보육과정의 이해
보육이란 "어린아이를 돌보아 기르는 것"이라는 사전적 의미에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 지도뿐만 아니라 전인적 발달을 위한 교육까지를 포함하는 보호와 교육이 통합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보육과정은 보육시설에서 시행되는 교육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보육 담당자가 영유아를 보호하고 교육하는 일련의 전문적 활동에 관한 체계적인 설계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보육과정에는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등 발달 이론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1.2. 발달이론의 중요성
발달이론의 중요성은 유아교육과 보육 현장에서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발달이론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해주므로, 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발달이론은 교사들이 유아의 발달 수준을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을 선택하는 데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발달이론은 부모나 보육교사들에게 유아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성숙주의 이론에 기반할 경우 유아의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발달 순서와 시기를 고려하여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을 제공하게 된다"" 반면 행동주의 이론에 기반할 경우 환경의 자극과 강화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에 중점을 두게 된다"" 이처럼 발달이론은 유아교육과 보육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교수법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달이론은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이해하고 실제 교육 상황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유아교육과 보육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다""
2. 성숙주의 이론
2.1. 성숙주의 이론의 개념
성숙주의 이론의 개념은 인간 발달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성숙주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 발달은 타고난 내재적인 본성이 있어서 인위적인 자극이 없어도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이미 타고난 예정대로 성숙한다고 본다."
성숙주의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Gesell은 '연령에 따른 행동의 표준'을 수립하였다. 그는 발달을 정해진 생물학적 시간표의 결과로서 일어난다고 보았으며, 모든 유기체들은 성장하는 데 있어 이미 성장의 방향이 결정되어 있는 성장모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2.2. 게젤의 아동양육 원리
게젤의 아동양육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보육은 아동 내부의 성숙적 요구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즉, 아동의 내적인 요구와 준비도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어떤 행동을 학습할 때 문화적인 관습 대신 아동 내부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시도되어야 한다. 아동의 내적인 성숙과 준비도에 부합하는 학습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
참고 자료
정옥분지음/발달심리학-전생애 인간발달/학자사
김진선 외, 보육과정
이순형 외, 보육과정
광승주, 보육과정, 정민사, 2016. 07
조연경, 영유아교수방법, 한국HRD원격평생교육원
행동주의,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2333&cid=40942&catego ryId=3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