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산모 간호 사정
1.1. 활력징후 측정 및 수액 속도 확인
활력징후 측정 및 수액 속도 확인은 산모 간호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간호사는 산모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처치를 제공하기 위해 이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간호사는 산모의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산모의 반응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출산 중 산모의 체온 상승은 감염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한 혈압 변화는 산후 출혈이나 전자간증 등 산모의 건강 문제를 시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간호사는 산모에게 수액 처치를 하고 있는 경우 수액 속도를 확인한다. 산모에게 경막외 마취제나 옥시토신 등의 약물이 처방된 경우, 적절한 용량과 속도로 투여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해야 한다. 수액 라인이 꼬이거나 막히지 않았는지, 주입부위에 부종이나 발적이 있는지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수액 투여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활력징후 측정과 수액 속도 확인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적인 사정 과정이다. 간호사는 이를 통해 산모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신속한 중재를 취할 수 있다.
1.2. 질문을 통한 진통 및 분만 진행 사정
질문을 통한 진통 및 분만 진행 사정은 산모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진행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산모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먼저 산모의 과거 분만 경험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산모의 반응 패턴과 분만 경과를 예측할 수 있다. 간호사는 산모에게 "이번이 몇 번째 아기이십니까?", "이전에 아기를 출산하신 적이 있나요? 어떤 방법이었습니까?" 등의 질문을 한다.
다음으로 산모가 현재 느끼는 자궁 수축의 특성을 확인한다. 간호사는 "자궁 수축이 얼마나 자주 오시나요?", "자궁 수축이 지속되는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요?", "수축이 오실 때 통증의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요?"와 같은 질문을 한다. 이를 통해 분만 진행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는 산모가 느끼는 다른 증상들을 확인한다. "소변 보기가 불편하신가요?", "배에서 무언가 흐르는 것을 느끼신 적이 있나요?" 등의 질문을 통해 양수 파막 여부, 소변 정체 등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간호사는 산모의 정서 상태를 확인한다. "많이 불안하신가요?", "어디가 불편하신가요?" 등의 질문을 통해 산모의 현재 상태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모에 대한 질문을 통해 간호사는 진통 및 분만 진행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적절한 간호 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1.3. 소변 배출 사정 및 도뇨 수행
간호사는 산모의 소변 배출 사정을 위해 방광 팽만 여부를 확인하였다. 산모가 2시간 이내에 소변을 보지 못했다고 호소하여 간호사는 직접 산모의 방광을 촉진해 보았다. 그 결과 방광에 소변이 차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사는 의사에게 보고하여 도뇨 오더를 받았다. 간호사는 단순도뇨 술기를 준비하여 산모의 옆에 갔다. 간호사는 산모에게 도뇨 시행 목적과 과정을 설명하였다. 산모가 불안해하자 간호사는 산모를 안심시키며 도뇨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산모가 긴장을 풀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간호사는 무균술을 지켜 도뇨관을 삽입하였고, 350cc의 옅은 노란색 소변을 배출하였다. 간호사는 배출된 소변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도뇨 후 간호사는 산모에게 향후 3-4시간마다 소변을 보도록 교육하고, 소변이 나오지 않으면 다시 말씀해 달라고 안내하였다.
이를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