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물품 cqi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9.23
10,1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물품 cq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 선정 및 배경
1.1. QI 활동 주제 선정 이유
1.2. 문제 현황 파악
1.3. 용어 정의

2. 핵심 지표 설정
2.1. 병동 내 라벨 부착률
2.2. 라벨링 관련 업무의 효율성

3. 개선 활동 팀 구성 및 역할 분담

4. QI 활동 추진 일정 계획

5. 원인분석
5.1. Clarify - 문제 분석
5.2. Understand - 문제 원인 파악
5.3. Select - 개선전략 선정

6. 활동 계획
6.1. 라벨링 적용 방법
6.2. 간호사 교육 계획
6.3. 사후 조사 및 평가

7. 기대효과 및 목표 설정

8. 실행방법
8.1. 주제 선정
8.2. 현황 파악
8.3. 설문지 개발 및 사전 조사
8.4. 새로운 라벨 제작 및 부착
8.5. 간호사 교육
8.6. 사후 조사 실시

9. 부서 업무화 및 지침화

10. 피드백 및 지속적 관리 방안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 선정 및 배경
1.1. QI 활동 주제 선정 이유

OOO병원 O병동에는 총 4개의 스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스테이션은 최소 3개의 간호 카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션 주변으로 병동 물품이 수납된 수납장들이 위치되어 있다. 약품 카트와 응급카트를 제외한 대다수의 수납장과 간호 카트, 린넨 카트, 스테이션의 사무용 책상 서랍에는 어떤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 라벨이 붙어있지 않았고, 붙어있는 라벨마저도 가구와 비슷한 색상에 작은 서체로 쓰여있거나 햇빛에 바래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신규직원에게 병동 수납함과 간호 카트의 물품 교육 시 수납장을 하나하나 다 열어 설명해야 하는 등 시간상 효율적이지 못한 상황도 관찰되었다. 이어서 신규직원과 간호 학생이 병동 물품의 위치에 대해 숙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수납장을 여러 개 열어야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는 비효율적인 동선 발생과 시간을 낭비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물품의 제자리가 어디인지 모호하여 병동 물품 정리 정돈과 관리를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추후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비효율적인 업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납된 물품에 대한 라벨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간호사의 업무효율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해당 병동에 적절한 라벨을 제작, 부착함과 간호사의 물품관리를 교육함으로써 병동 내 물품관리 중요성 인지도와 간호업무 효율성 증진을 하고자 한다.


1.2. 문제 현황 파악

OOO병원 O병동에는 총 4개의 스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스테이션은 최소 3개의 간호 카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션 주변으로 병동 물품이 수납된 수납장들이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약품 카트와 응급카트를 제외한 대다수의 수납장과 간호 카트, 린넨 카트, 스테이션의 사무용 책상 서랍에는 어떤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 라벨이 붙어있지 않았고, 붙어있는 라벨마저도 가구와 비슷한 색상에 작은 서체로 쓰여있거나 햇빛에 바래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신규직원에게 병동 수납함과 간호 카트의 물품 교육 시 수납장을 하나하나 다 열어 설명해야 하는 등 시간상 효율적이지 못한 상황도 관찰되었다. 이어서 신규직원과 간호 학생이 병동 물품의 위치에 대해 숙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수납장을 여러 개 열어야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는 비효율적인 동선 발생과 시간을 낭비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물품의 제자리가 어디인지 모호하여 병동 물품 정리 정돈과 관리를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추후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비효율적인 업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납된 물품에 대한 라벨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간호사의 업무효율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해당 병동에 적절한 라벨을 제작, 부착함과 간호사의 물품관리를 교육함으로써 병동 내 물품관리 중요성 인지도와 간호업무 효율성 증진을 하고자 한다."이다.


1.3. 용어 정의

효과적인 라벨링이란 병동 내에서 간호 카트, 스테이션의 서랍, 벽장, 수납장 등 물품을 수납하는 곳에 라벨을 붙이는 방법으로 약 10cm 정도의 종이에 물품명을 인쇄하여 코팅한 후 이를 수납장 문에 붙이는 방법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효율성은 간호업무를 함에 있어서 시간 및 간호수행에 대한 투입 대비 산출을 의미하며, 설문지의 3문항에서 얻어진 점수들의 평균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핵심 지표 설정
2.1. 병동 내 라벨 부착률

병동 내 라벨 부착률은 OOO병원 O병동에서 물품의 관리 및 간호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지표이다. 병동 내 라벨 부착률은 OOO병동 내 수납장에 붙어있는 라벨 부착 비율로 정의되며, 구체적으로 "O병동 내 수납장에 부착된 총 라벨 수를 O병동 내 총 수납장 수로 나눈 것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현재 OOO병동의 라벨 부착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수납장과 간호 카트, 린넨 카트, 스테이션의 사무용 책상 서랍에 라벨이 부착되지 않았고, 일부 라벨은 가구와 비슷한 색상에 작은 서체로 작성되어 가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신규직원과 간호학생이 병동 물품의 위치를 숙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수납장을 여러 개 열어 물품을 준비하는 등 비효율적인 동선이 발생하였다.

효과적인 라벨링은 병동 수납장에 라벨을 부착함으로써 물품을 찾는 시간을 단축하고 불편감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약 10cm 크기의 종이에 물품명을 인쇄하여 코팅한 후 수납장 문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수납장을 열어보지 않아도 무엇이 들어있는지 알 수 있고 물건의 제자리가 어디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효과적인 간호업무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병동 내 라벨 부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독성이 좋은 물품 라벨을 제작하여 수납장에 부착하고, 이에 대한 간호사 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개선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신규직원과 간호학생의 물품 숙지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2. 라벨링 관련 업무의 효율성

라벨링 관련 업무의 효율성은 ...


참고 자료

장금성, 이명하 외 / 2020 / 현문사 / 제5판 최신 간호관리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전문/영역별 간호 >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NU&MENU_ID=005033007
네이버 한국직업사전 > 감염관리전문간호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25473&cid=42117&categoryId=42117
질병관리청 > 감염병 관리위원회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816010100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https://www.kaicn.org/member/sub03.html
의료기관평가인증원 > 평가기준 > 4주기 급성기병원 인증기준 및 표준지침서 공표
https://www.koiha.or.kr/web/kr/library/establish_view.do
[네이버 지식백과] 낙상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