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산업안전기사 필답시험 요점 정리
1.1. 동력 프레스 점검
동력 프레스는 작업 전 다음과 같은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첫째, 크랭크축 또는 플라이휠 등 동력전달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프레스 기계의 동력전달 장치에 손상이나 이상이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
둘째, 클러치, 브레이크, 그 밖의 제어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프레스 작동을 제어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그 외 제어장치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셋째, 1행정 1정지기구, 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프레스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넷째, 연결봉과 슬라이드의 상호 기능상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프레스 기계의 주요 작동부인 연결봉과 슬라이드가 정상적으로 상호 작용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다섯째, 전자밸브, 압력조정밸브 등 공압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프레스 기계의 공압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여섯째, 전자밸브, 유압펌프 등 유압계통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프레스 기계의 유압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일곱째, 리미트스위치, 릴레이 등 전자부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프레스 기계의 전자제어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동력 프레스는 작업 전에 동력전달장치, 제어장치, 안전장치, 공압 및 유압장치, 전자제어장치 등 프레스 기계의 주요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 프레스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1.2. 전단기 점검
전단기의 점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전단기는 매년 1회 이상 자체검사를 해야 한다.
첫째,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클러치와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둘째, 슬라이드의 기능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슬라이드가 원활하게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셋째, 1행정 1정지기구, 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이러한 안전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넷째, 전자밸브, 감압밸브 및 압력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유압 및 공압 관련 부품들이 문제없이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다섯째, 배선 및 개폐기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전기 배선과 스위치가 안전한지 확인한다.
이처럼 전단기의 주요 부품과 안전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꼼꼼히 점검하여 전단기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
1.3. 원심기 점검
원심기 점검은 매년 1회 이상 실시해야 한다. 원심기 점검 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해야 한다.
첫째, 회전체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원심기의 회전체에 균열, 변형 등 이상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회전체의 균형이 잘 잡혀 있는지, 과도한 진동이나 소음은 없는지 등을 확인한다.
둘째, 주축의 축수부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주축과 축수부 사이의 간극이나 마모 상태를 살펴보아 이상이 없는지 점검한다. 축수부의 누유나 과도한 마모 등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셋째, 브레이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상태와 작동상태를 점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브레이크 드럼과 슈의 마모 정도도 함께 점검한다.
넷째, 외곽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원심기의 외부 케이싱이나 커버에 균열, 변형, 부식 등의 이상이 있는지 점검한다. 외곽의 상태가 양호하여 회전체의 보호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다섯째, 볼트의 풀림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원심기의 각종 볼트와 너트들이 풀리거나 이완되어 있지 않은지 점검한다.
이와 같이 원심기 점검 시 회전체, 주축, 브레이크, 외곽, 볼트 등 다양한 부분들을 꼼꼼히 확인하여 원심기의 안전성과 정상 작동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1.4. 보일러 점검
보일러 점검은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과 보일러 부속설비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점검이다. 보일러 점검은 6개월마다 1회 이상 실시해야 하며, 점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일러 본체의 손상 유무를 확인한다. 보일러 본체에 균열, 부식 등의 손상이 있는지 육안으로 점검한다.
둘째, 연소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버너, 배기구 등 연소와 관련된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셋째, 자동제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압력방출장치의 토출상태, 압력제한 스위치의 작동 상태, 고저수위 조절장치와 급수펌프의 연동 상태 등을 점검한다.
넷째, 각종 밸브의 정상 작동 상태를 점검한다. 안전밸브, 긴급차단장치 등 주요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와 기능을 확인한다.
다섯째, 냉각장치, 가열장치, 교반장치, 압축장치, 계측제어장치 등 부속설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이러한 부속설비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예비동력원의 기능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 대비한 예비동력원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이와 같은 보일러 점검을 통해 보일러와 부속설비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파악하고, 정상적인 보일러 운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