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업간호실습 소감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음성 난청
1.1. 정의 및 원인
1.2. 증상 및 진단
1.2.1. 증상
1.2.2. 진단검사
1.3. 예방 및 치료
1.3.1. 작업장 관리
1.3.2. 청력보호구 사용
2. 직업성 천식
2.1. 정의 및 원인
2.2. 증상 및 진단
2.2.1. 증상
2.2.2. 진단
2.3. 치료 및 예방
2.3.1. 치료
2.3.2. 예방
3. 안전보건교육
3.1. 근로자를 위한 교육
3.2. 사업주를 위한 조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음성 난청
1.1. 정의 및 원인
소음성 난청(noise induced deafness)은 기계공, 판금공 등 직업상 오랫동안 소음 환경에 있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난청이다.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인 달팽이관이 손상된 경우를 말하며, 특히 외유모세포가 주로 손상받게 된다.
소음은 4000~6000cps 소음에 2시간 이상 반복 노출되면 발생한다. 주파수별 청력치로 보면 4000Hz 부근의 고주파 영역에서 청력감소가 나타나 소음성 난청이 시작된다. 청력에 영향을 미치는 소음의 요인에는 소음의 고저인 주파수, 소음의 강약, 소음의 연속도와 충격도, 폭로 기간, 보호구 착용유무 등이 있다.
업종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강도에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산업안전 시행규칙상 하루 8시간 기준 허용기준인 90dB(A)을 초과해서는 안된다"이다.
1.2. 증상 및 진단
1.2.1. 증상
소음성 난청은 직업상 오랫동안 소음 환경 하에 있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난청으로,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인 달팽이관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소음성 난청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가 선명하게 들리지 않는다. 소음성 난청 환자들은 작은 소리나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듣기 어려워하며, 대화할 때 선명하게 들리지 않아 자꾸 되물어 보게 된다.""
둘째, 높은 곳에 올라갔을 때처럼 멍멍하게 들린다. 소음성 난청은 특히 고주파 영역에서 청력이 저하되어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셋째, TV나 라디오 등의 음량을 높여서 듣게 된다. 소음성 난청 환자들은 회화 주파수 영역의 청력이 저하되어 작은 소리를 듣기 어려워 음량을 높이게 된다.""
넷째, 사람들과 대화할 때 불안해하거나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소음성 난청으로 인해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
다섯째, 이명, 불쾌감, 불면증, 피로, 두통 등이 나타난다. 소음 노출로 인한 스트레스와 신체적 영향으로 이와 같은 증상들이 발생할 수 있다.""
1.2.2. 진단검사
순음청력검사는 음차에서 발생되는 것과 같은 순음을 전기적으로 발생시켜 각 주파수에 따라 청력 역치를 측정하여 오디오그램으로 나타내는 검사이다. 오디오그램은 가로축에 소리의 고저를 표시하는 주파수(Hz), 세로축에 소리의 강약을 구분하는 강도(dB)로 구성되어 있다. 청력 역치는 피검자가 약 50% 정도 반응하는 가장 약한 소리의 강도를 의미하며, 통상 3번 중 2회 들린다고 하였을 때의 음의 강도를 그 역치로 한다.
중이검사는 음파가 외이도를 지나 고막에 음압이 가해지면 그 에너지가 흘러 들어가 고막과 중이 소골(Ossicle)과 와우(Cochlea)를 움직이면서 와우 내에 전기적 활동을 일으키는데, 이를 외이도에서 객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청각기관의 상태를 파악하는 검사이다.
종합하면, 소음성 난청의 진단검사로는 순음청력검사와 중이검사를 통해 청력 역치와 청각기관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다."
1.3. 예방 및 치료
1.3.1. 작업장 관리
작업장 관리는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방법이다. 먼저 소음의 발생원을 차단하거나 격리하는 등의 작업환경 개선 조치가 필요하다. 우선 작업장의 소음 수준을 측정하여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소음...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간호학대사전 / 소음성 난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94545&cid=55558&categoryId=55558]
대한산업보건협회/소음성난청이란?/첨부파일 - 소음.pdf
[https://kiha21.or.kr/?page_id=120&pageid=1&mod=document&keyword=%EC%86%8C%EC%9D%8C&uid=80]
대한청각학회
http://www.audiosoc.or.kr/info/?category=08
소음노출 근로자의 청력손실과 소음성난청 발생의 예측연구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b8c363eb468856f2ffe0bdc3ef48d419
소음성난청 유소견자 판정 및 사후관리 개선 방안 연구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54c963b68bc38c4bffe0bdc3ef48d419
고용노동부 양산고용노동지청 –안전보호구 착용의 중요성ppt파일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이계희,성정혜 저 수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www.health.mw.go.kr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서울아산병원
네이버 블로그, 단테, 호흡곤란,기침이 발생,직업성 천식
경북산업보건센터 홍보물 사진 첨부
경북산업보건센터 팜플렛
지역사회간호학2 수문사 최연희 외 2018
유광수 강말순 곽오계 외, 2016 지역사회간호학 Ⅱ 정담미디어
소음성난청 [noise induced deafness,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안전보건공단 www.kosha.or.kr
고용노동부 www.moe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