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층순환 탐구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기관계통별 달리기에 따른 변화
2.1. 피부계통
2.2. 신경계통
2.3. 내분비계통
2.4. 골격계통
2.5. 근육계통
2.6. 순환계통
2.7. 면역계통
2.8. 호흡기계통
2.9. 비뇨기계통
2.10. 소화기계통
2.11. 생식기계통
3.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생리학 과목을 배우며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이나 변화를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간호를 수행함에 있어 critical thinking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수업에서 첫 시간에 배운 것 중 하나인 항상성 조절은 우리 몸이 개방체계로서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그에 대해 반응하며, 외부 환경이 변하더라도 체내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즉 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인위적으로 신체에 물리적인 변화를 주었을 때,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몸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탐구해보았다. 이 탐구의 주제로 '달리기'를 선택하였는데, 평소 운동할 때 달리기를 종종 해왔던 것이 주제 선정의 가장 큰 이유이고, 강도가 센 활동인 만큼 활동 후 극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어 활동 전과 후를 비교하기 쉬울 것이라고 판단하여 주제를 '달리기'로 하였다.
2. 기관계통별 달리기에 따른 변화
2.1. 피부계통
피부계통은 인체를 바깥에서 보호하는 1차 방어막이며 상해로부터 심층의 조직을 보호하고 피부수용체, 땀샘 및 피지샘이 위치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보호와 체온조절이 있다. 달리기를 하면 근육운동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게 된다. 체온은 항상 어느 일정한 범위(성인의 경우 36.1~37.2℃)에서 유지되고 있다. 기초대사 상태에서 근육은 약 20~30%의 열을 생산하고 있으나 운동을 하면 골격근의 대사율이 증가하므로 열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90%까지 이른다. 이렇게 생산된 열은 전도를 통해 혈액온도를 높이고 혈액은 전신을 순환하며 신체에 열을 전달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체온이 상승하게 된다. 운동 후 체온이 상승하게 되지만 운동이 끝나고 30분 정도가 지나면 대부분 정상체온으로 회복된다. 이렇게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 몸은 체온을 낮추기 위한 기전을 발동시킨다. 피부에서는 열을 손실시키기 위해 복사, 대류, 전도, 증발 등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열 손실을 위해서는 피부순환이 중요한데 평소 피부 혈류량이 약 400mL/min 이지만 체온 손실이 필요한 경우에는 2.8L/min까지 상승한다. 운동 후 피부가 붉게 변하는 것도 피부혈류량의 증가로 인해 나타나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피부와 근접해 있는 혈관의 혈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혈액의 온도는 공기와 접촉하는 피부로 전도되고 공기로 복사되어 체온이 손실된다. 피부에서 체온조절을 위한 두 번째 방법은 땀 배출인데, 체온이 상승하면 시상하부의 뇌핵에서 이를 감지하고 말초에서 온도수용기의 감각자극을 받아들여 땀을 흘리도록 한다. 사람에게는 250만개 이상의 땀샘이 피부 전체에 분포해 있고 하루 평균 500mL의 땀을 배출하는데 더운 환경에서 체온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12L까지 증가하기도 한다.
2.2. 신경계통
신경계통은 뇌, 척수, 신경 등의...
참고 자료
이강이 외, 「인체생리학 제5판」, 현문사, 2016년, 6쪽, 73~74쪽, 84~86쪽, 123쪽, 182쪽, 256쪽, 348~349쪽, 352쪽, 353쪽, 367쪽, 370~371쪽
Elaine N. Marieb, 홍해숙 역, 「사람 해부학 제 7판」, PEARSON, 2016년, 14~15쪽, 93쪽, 322~323쪽, 325쪽, 263~267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대사 내과 김성운, 「성장호르몬과 지방세포」, 2003년도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7쪽
이동윤, 「운동, 면역체계 강화 · 암 자연 방어능력 높여」, 디지털 의사 신문, 2012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836
ZUM학습 백과 http://study.zum.com/book/13033
https://thenounprojec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