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친환경 에너지 도시 설계하기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친환경 에너지 도시 설계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친환경 도시 개발
2.1. 친환경 도시의 개념
2.2. 친환경 도시 개발의 필요성

3. 친환경 도시 사례 분석
3.1. 독일 림
3.1.1. 콤팩트(Compact)형 도시
3.1.2. 바람길 형성을 고려한 계획
3.2. 아랍에미리트 마스다르 시티
3.2.1. 친환경 에너지
3.2.2. 수자원 재활용
3.2.3. 친환경 건축

4. 사례 적용 방안
4.1. 도시공간구조 계획
4.2. 태양 에너지 활용
4.3. 친환경 교통수단 산업단지 조성
4.4. 친수도시 형성
4.5. 녹색빌딩 건설을 통한 도시 온도 조절

5. 결론

6. 친환경 생태도시 계획
6.1. 함부르크 하펜시티
6.1.1. 단지계획
6.1.2. 환경생태
6.1.3. 사회문화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구의 K-2 이전부지 및 주변지역은 기존 도심과 더불어 팔공산, 금호강 등 풍부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친환경적 도시개발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과거 주축 산업이었던 섬유산업의 쇠퇴와 더불어 청년층의 인구 유출 등 침체를 겪고 있던 대구시에 K-2 부지 이전은 새로운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대구시의 K-2 · 공항 이전 시 이전부지 및 주변지역 일원의 친환경 스마트도시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친환경 도시 개발
2.1. 친환경 도시의 개념

친환경 도시는 생태도시의 의미와 일맥상통한다. 친환경 도시, 생태도시는 하나의 유기적 복합체로, 도시 활동과 공간 고조가 생태계의 속성인 다양성·자립성·순환성·안정성을 갖춘 도시이다. 그리고 생태도시에 걸맞도록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도시적 생태계를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자연성의 원칙', 지역의 자급자족적인 경제활동 실현이 가능한 '자급자족성의 원칙', '사회적 형평성의 원칙', 도시계획 및 개발 전반에 걸쳐 지역 문제에 관한 이해 관계자들의 자발적이고 협동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참여성의 원칙',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미래 세대의 이익을 고려하는 '미래성의 원칙'을 추구한다.


2.2. 친환경 도시 개발의 필요성

도시는 시간이 지나면서 시설물들이 노후화되어 낙후되기 마련이다. 낙후된 도시는 사람들이 떠나면서 침체기를 겪게 되고, 결국 슬럼가를 형성하여 각종 사회문제의 근원지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21세기에 대두된 환경보전과 함께 친환경 도시 개발, 생태도시 건설에 각국의 도시계획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도시개발은 급속도로 변화하며 개발과 환경보전, 기능과 삶의 질 사이에서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하며 발달해 왔다. 과거의 도시개발은 주로 도시적 형태와 기능을 갖춘 시가지 조성 또는 도시공간을 생산 공급하는 등의 개발행위로 택지개발지구를 지정하여 토지분양, 주택 등을 건축하여 분양하는 개발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개발은 아파트와 상가 건설 등을 통해 과도한 부동산 가격 거품 형성, 난개발과 교통문제 등 개발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다.

이제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달성하여 더 이상 필요이상의 아파트 건설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등의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더 큰 미래를 구상해야 할 단계이다.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도시개발 방식보다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도시개발 필요성을 주장하며 세계 각국에서 친환경도시개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K-2 · 공항 이전 시 이전부지 및 주변지역 일원 역시 지속가능한 개발을 통해 대구광역시를 대한민국의 대표적 친환경도시로서의 성장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과 개발방안을 도출하여 성공적이 도시개발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3. 친환경 도시 사례 분석
3.1. 독일 림
3.1.1. 콤팩트(Compact)형 도시

림은 압축도시의 도시개발을 지향하며, 생태주거단지를 조성하여 궁극적으로 탄소배출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도시를 목표로 지난 90년대부터 조성되어 왔다. 림의 콤팩트(Compact)형 도시 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지구 주변으로 보전녹지 및 공원을 조성하되, 주거지역 및 박람회장 등의 업무시설은 고밀도로 건설하여 한정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압축도시 개념에 입각하여 지구의 1/3을 업무단지, 1/3을 주거지역으로 고밀 개발하고 나머지 1/3을 오픈스페이스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이는 사회·경제적 활동을 집중시킴으로써 토지의 이용가치를 높이고 용도 간의 기능 보완과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생태도시 건설이념에 입각하여 주거환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지구 전체 개발면적의 49%를 녹지화하고 상위 토지이용계획부터 건축계획에까지 적용되기 때문에 바람길 확보,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태양에너지 이용 등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모델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폭 400m의 대규모 녹지를 이용한 비오톱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주거단지를 둘러싼 대규모 오픈스페이스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3.1.2. 바람길 형성을 고려한 계획

도시개발 단계에서부터 풍부한 녹지와 바람길을 고려하여 도시를 계획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림은 도시 동서 방향으로 400m 폭의 녹지 공원을 조성하여 도시의 바람길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주거, 업무 시설을 고밀도로 개발하는 집약적인 토지 이용 대신 전체 개발 면적의 49%를 녹지로 조성하였다. 도시 동서 방향 도로를 따라 녹지를 연결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도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지배치, 바람 순환을 위한 테라스 설치, 아케이드 설치 그리고 건축물의 높이 제한 등을 시행하여 바람길 형성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녹지 조성과 바람길 계획은 도시의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여가활동을 위한 대규모 경관공원으로도 활용된다.


3.2. 아랍에미리트 마스다르 시티
3.2.1. 친환경 에너지

마스다르 시티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을 목표로 하는 '탄소 제로 도시'를 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같은 규모의 기존 도시는 비효율적인 건물 디자인, 석유와 가스 사용 등을 통해 80%의 탄소를 배출하고, 쓰레기 매립을 통해 13%, 화석 연료를 사용한 교통수단 때문에 7%의 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럴 경우 마스다르 시티는 연간 110만 톤의 탄소를 배출한다고 '마스다르 미래 에너지'는 분석했다.

이 때문에 마스다르 시티에서는 에너지와 탄소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도시 개발 계획에서부터 석유나 석탄 같은 화석연료 대신 풍력·태양광·바이오매스 등 신 재생에너지를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태양과 ...


참고 자료

김민창(2016). 유럽의 친환경 저탄소 녹색도시 건축, 60(10), 44-49
kotra(2009). 중동에 펼쳐지는 친환경 녹색도시. 9-14
임은모, 『탄소제로도시 마스다르의 도전』, 이담북스(2009)
대구시청 홈페이지. http://www.daegu.go.kr
세계도시정보 홈페이지. https://ubin.krihs.re.kr/ubin/wurban/world_city_instance_view.php?no=636&thema=5&dev_2=&start=10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eishub.or.kr/industryinfo/envInfo_view.asp?idx=59565
IUC 해외도시 개발 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www.iuc.or.kr/board/view.asp?sn=102&page=3&search=&SearchString=&BoardID=0006&cate=
kbcc 홈페이지, http://kbcc.asia/bbs/board.php?bo_table=b03&wr_id=76
노면전차, 네이버 지색백과(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7-05-2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869&cid=43667&categoryId=43667
PRT, 네이버 지식백과(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7-05-2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3084&cid=43667&categoryId=43667
박졍현, <[녹색정책]UAE, 현실을 포용하는 마스다르 시티건설 수정계획>, <>, 2010-10-15,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3/globalBbsDataView.do?setIdx=242&dataIdx=101579
12. 박정현, <[녹색정책] UAE 마스다르 시티, 지멘스의 중동본부 유치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3/globalBbsDataView.do?setIdx=242&dataIdx=101722
백운용, <대구시, 환경부…주유소‧카페 등에 공공급속 충전기 무료 설치 지원>, <<국정뉴스>>, 2017-05-10,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6293&dable=10.1.4
아랍에미리트 마스다르시티 저탄소 녹색도시 운영정보
정욱진, <대구공항 이전터 ‘디즈니’를 모델로...市 ‘동촌 신도시’건설 계획>, <<매일신문>>, 2017-02-25,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9052&yy=2017
조기선, <세계 최초의 탄소제로 도시 “마스다르”를 가다>, <<노컷뉴스>>, 2009-12-11, http://www.nocutnews.co.kr/news/661501
황희진, <“재산권 침해 탈출” 들뜬 동구..K2 이전터 개발 특수 기대감>, <<매일신문>>, 2017-02-18,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7800&yy=2017
, <<매일신문>>, 2017-02-27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9230&yy=2017
비톤, <대구 혁신도시 ‘솔라시티’의 꿈>, <>, 2007-06-07, http://blog.naver.com/flingpig/150018625249
삼블리, <[친환경 건축]서울 에너지 드림센터로 알아보는 Active Design>, <<삼성물산 공식블로그>>, http://blog.naver.com/cnt_reporter/220772537848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스마트 그린도시
다이내믹부산 제202211호 그린도시 부산, 2050년 ‘탄소제로’ 도시로 다이내믹 2022-06-13
다이내믹부산 제202201호 “부산 먼저, 시민과 함께 수소경제 그린도시로” 조민제 2021-12-25
김귀곤, “생태도시계획의 개념과 조성 촉진방안”,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기념강연회발표집, (2000), 1-10.
박종기, 진경일 “생태도시 구축을 위한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 12호, (2012), 3-12.
신희완,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 프로젝트의 명암”, 건축과 도시공간, 제 25호,(2017), 75-79.
윤경, 김강수 “국내외 생태주거단지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추계학술발표대회,(2009), 209-212.
전종덕, 홍종한, 김옥규“생태도시•단지조성의 사례분석 및 시공성 평가에 대한 설문 분석”,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6), 130-133.
강영관 기자, “노후 도심서 매력적인 도시로...독일의 도시재생”,<아주뉴스>,
2019.06.28. https://www.ajunews.com/view/20190628091902669 ,(2020.12.0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