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절박유산 환자의 간호과정
1.1. 사례 정리
타나카 씨는 임신 21+1주로 배가 아프다는 느낌을 받아 병원에 가던 도중 양막이 파수되었다. 조기파수를 포함한 절박유산을 진단받아 유산 직전 상태였다. 하지만 타나카 씨는 임신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자궁 내 감염과 자궁 수축을 막기 위해 항생제와 자궁 수축 억제제를 매일 투여하였다. 임신 22주경, 파수는 멎었지만, 양수는 늘지 않고 있었다. 임신 23주경, 진통이 시작되었고, 태아 심장 소리는 점점 약해져 제왕절개의 리스크인 감염, 색전 등을 감안하고 C/SEC을 진행하기로 했다. 자궁 절개는 태아가 너무 작아 세로로 절개하였다. 아기의 성별은 남아로 500g이 되지 않고, 너무 일찍 태어나 NICU로 옮겨져 집중 치료를 받는다. 태어난지 2개월, 아기는 아직 인공호흡기를 "붙여 놓 지" 못했으며 하루에 8번 튜브를 통해 모유 섞은 것을 공급받는다.
1.2. 간호 과정
1.2.1. 감염의 위험 관리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관리는 다음과 같다.
감염의 위험 관리를 위해 간호사는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수술 후 혹시 모를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또한 절개 부위를 청결하고 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하루에 한 번 소독하여 드레싱한다. 이를 통해 피부 상태와 통증 등을 지속적으로 사정하여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관찰할 수 있다.
간호사는 무균술을 적용하여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이는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감염의 징후를 관찰한다. 체온, 맥박, 혈압은 건강 상태의 지표로서 감염 여부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한편 혈액 검사를 통해 WBC, CRP, ESR 수치의 증가를 확인하여 감염의 유무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 교육하고,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대상자가 감염 발생을 조기에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1.2.2. 감염 예방을 위한 중재
감염 예방을 위한 중재는 다음과 같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수술 전 Ceftezole 1g를 Normal Saline side로 주입하고, 수술 후에도 Ceftezole 1g를 매일 Normal Saline side로 주입하였다. 그 후 PONTAL 500mg을 tid로 경구 투여하였다. 항생제 투여는 예방적 항생제 투여의 근거에 따른 것으로, 절개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고자 함이다. 수술 후 혹시 모를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절개 부위를 하루에 한 번 드레싱하였다. 절개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였다."
무균술을 적용하여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였다. 드레싱 시 철저한 손 위생과 무균술을 지켜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드레싱 시 대상자의 제왕절개 부위의 피부 상태와 통증을 사정하였다. 감염이 있을 경우 피부 발적, 열감, 부종, 통증 등의 감염 징후가 나타나므로 이를 관찰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고자 하였다."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체온, 맥박, 혈압은 감염의 징후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혈액 검사를 통해 산모의 임상 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다. WBC, CRP, ESR 수치 증가는 감염을 의미하므로 이를 확인하였다."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 교육하였다. 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감염의 증상을 즉각적으로 알아채고 재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에게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교육하였다. 손씻기는 전염성 질환의 전파를 감소시키고 미생물의 확산을 방지하므로 이를 교육하였다."이와 같은 다양한 중재를 통해 제왕절개 수술 환자의 감염 예방에 힘썼다. 항생제 투여, 절개 부위 관리, 무균술 적용, 감염 징후 사정, 활력징후 및 검사 결과 확인, 교육 등의 중재를 통해 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수술 전후로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도록 관리하였다.
한편 조기 양막 파수 환자의 경우에도 감염 예방을 위한 다양한 중재가 필요하다. 2시간마다 질 분비물과 양수의 상태를 관찰하고, 회음부 위생 관리, 처방에 따른 항생제 투여, 감염 증상에 대한 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정상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