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렴
1.1. 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예: 나음, 거친 호흡음, 호흡음 감소 등)이 관찰되거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 소견(예: 폐음영의 증가 등)이 보일 때 정의할 수 있다. 주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한 감염증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지만, 드물게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및 방사선 치료,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폐렴도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소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1.2. 폐렴의 원인
폐렴의 원인은 다양한 유형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바이러스와 세균이 그 원인이 된다.
소아기에 발생하는 폐렴은 주로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대표적인 폐렴 유발 바이러스로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폐의 방어기능이 손상되면, 상기도에 잠재되어 있던 세균들이 하기도를 침범하여 2차 세균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대표적인 폐렴 유발 세균으로는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마이코플라즈마 등이 있다.
하지만 실제 임상적으로는 폐렴의 원인균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럴 때에는 환자의 연령, 증상과 진찰 소견, 계절적 요인, 유행 양상, 기저질환 등의 정보를 토대로 원인을 추정하게 된다.
폐렴의 비감염성 원인으로는 흡인성 폐렴,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폐렴, 약물 부작용에 의한 폐렴, 방사선 조사로 인한 폐렴, 위-식도 역류로 인한 폐렴 등이 있다.
1.3. 폐렴의 분류
폐렴의 분류는 크게 바이러스성 폐렴, 세균성 폐렴, 흡인성 폐렴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바이러스성 폐렴은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바이러스(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아동의 모든 연령층에서 세균성 폐렴보다 더 자주 나타난다. 이는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 후 기관, 기관지의 점막에 국소적인 염증증상이 나타나는 병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다음으로 세균성 폐렴은 폐구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마이코플라즈마 등의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아동의 나이, 다른 질환의 유무, 면역상태에 따라 발생정도가 다양하다. 이는 더욱 심각한 감염질환 중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흡인성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 생기는 폐렴으로, 주로 병원 내 감염 폐렴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폐렴의 분류는 병인체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는데, 주요 원인균에 따라 폐렴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폐렴의 주요 원인균에는 세균(폐구균, 인플루엔자균, 폐렴연쇄구균 등), 바이러스(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 그리고 비전형 병원체(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클라미디아 폐렴균 등)이 있다. 이외에도 곰팡이 감염이나 흡인에 의한 폐렴도 있다"
세균성 폐렴의 경우, 환자의 연령, 동반질환 여부, 면역 상태에 따라 그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영유아와 노인에서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