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반도체 공정
1.1. Front End Process
1.1.1. 웨이퍼 및 재료
실리콘 웨이퍼 기판은 반도체 공정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재료로, 트랜지스터와 메모리 소자 등을 제작하는 기반이 된다.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웨이퍼의 크기와 집적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200mm 웨이퍼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300mm 웨이퍼가 가장 보편적이며 450mm 웨이퍼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웨이퍼의 기본 제조 방식은 Czochralski (CZ) 방법으로, 고순도 실리콘 잉곳을 성장시켜 슬라이싱하여 얻는다. CZ 웨이퍼는 저렴한 비용과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CZ 웨이퍼에는 결정 결함인 COP (Crystal Originated Particles)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
한편, 고성능 논리 집적회로에는 에피탁시 성장 실리콘 웨이퍼가 많이 사용된다. 에피탁시 실리콘은 CZ 실리콘 웨이퍼 위에 고순도 실리콘을 추가로 성장시킨 것으로, 결정 결함이 적고 높은 전기적 특성을 가져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그러나 에피탁시 웨이퍼는 CZ 웨이퍼에 비해 제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SOI (Silicon On Insulator) 웨이퍼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실리콘 기판 위에 절연 산화층과 실리콘 활성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SOI 웨이퍼는 누설 전류 감소, 단락 회로 방지 등의 장점으로 인해 고주파 논리 회로와 다중 게이트 트랜지스터 제작에 유리하다.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실리콘 웨이퍼가 반도체 공정에 활용되고 있으며, 각 용도와 공정 특성에 맞는 최적의 웨이퍼 선택이 중요하다. 특히 웨이퍼의 결정성, 표면 상태, 불순물 농도 등 물리적/화학적 특성은 소자 성능과 수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엄격한 관리와 평가가 요구된다.
1.1.2. 접촉실리사이드화
접촉실리사이드화는 반도체 공정의 Front End Process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실리사이드화(silicidation)는 금속과 실리콘이 반응하여 저항이 낮은 금속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는 반도체 소자의 성능 향상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실리사이드화 공정은 게이트 전극과 소스/드레인 영역의 접촉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전통적인 실리콘 소자에서는 높은 접촉 저항으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여 접촉 저항을 감소시켰다. 실리사이드 층은 금속과 실리콘 간의 화학 반응을 통해 생성되며, 일반적으로 티타늄 실리사이드(TiSi2), 코발트 실리사이드(CoSi2), 니켈 실리사이드(NiSi) 등이 사용된다.
실리사이드화 공정은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금속(Ti, Co, Ni 등)을 증착한 후 열처리를 통해 실리콘과 반응시켜 실리사이드를 형성한다. 이때 형성되는 실리사이드의 종류와 특성은 사용되는 금속 종류, 공정 조건(온도,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후 unreacted 금속은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원하는 실리사이드 패턴을 형성한다.
실리사이드 공정은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제공한다. 첫째, 접촉 저항을 낮추어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둘째, 소스/드레인 영역의 확산 깊이를 얕게 유지할 수 있어 단채널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셋째, 게이트 전극의 저항을 감소시켜 RC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넷째, 금속 실리사이드는 실리콘보다 열적/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실리사이드화 공정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이슈들이 있다. 첫째, 작은 크기의 소자에서 실리사이드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높은 접촉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실리사이드와 실리콘 계면의 불순물 확산으로 인한 junction leakage 증가 문제가 있다. 셋째, 실리사이드 층의 agglomeration 및 void 형성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니켈 실리사이드(NiSi)의 경우 낮은 공정 온도, 낮은 접촉 저항, 우수한 균일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차세대 실리사이드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이중층 실리사이드, 실리사이드 반응 제어 기술, 계면 특성 개선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접촉실리사이드화 공정은 반도체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지속적인 공정 및 재료 개발을 통해 실리사이드의 특성을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1.3. 표면 준비
표면 준비는 front-end process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다. 웨이퍼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원하는 표면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처리 기술이 요구된다.
표면 준비에서는 웨이퍼 표면의 오염물질 제거, 표면 처리를 통한 특성 조절, 후속 공정을 위한 적절한 표면 상태 유지 등이 주요 목적이다. 특히 웨이퍼 표면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은 후속 공정의 성패를 좌우하므로 정밀한 표면 처리가 요구된다.
표면 준비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세정(cleaning), 식각(etching), 산화(oxid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세정 공정은 웨이퍼 표면의 유기물, 금속 오염물, 입자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표면 거칠기를 조절하기도 한다. 식각 공정은 웨이퍼 표면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원하는 표면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산화 공정은 웨이퍼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시켜 표면 특성을 조절하는 데 활용된다.
특히 게이트 절연막, 소스/드레인 접합, 트렌치 식각 등 critical dimension(CD)이 매우 작은 구조에서는 표면 상태가 소자 특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위한 최적의 표면 처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게이트 산화막의 경우 두께가 1nm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원자층 단위의 표면 평탄도와 화학량론적 조성 제어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플라즈마 처리 등의 첨단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습식 세정 기술도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고농도 화학액, 고주파 메가소닉 처리, 오존수 처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front-end process의 핵심인 표면 준비 공정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웨이퍼 표면의 정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는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1.1.4. 박막 증착
박막 증착은 반도체 공정의 핵심 공정 중 하나로, 다양한 박막 재료를 기판 위에 증착하여 소자에 필요한 박막층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박막 증착은 MOSFET, DRAM, 비휘발성 메모리 등 반도체 소자 제조에 필수적인 공정이며, 박막의 재료와 두께, 균일도, 표면 상태 등이 소자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