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이버 강의실의 활용 현황 분석
1.1. 사이버 강의실의 개요
사이버 강의실은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대학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 사이버 강의실은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가상의 공간 또는 사이버 공간에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교육체제이다. 특히 컴퓨터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 공간상에서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또한 사이버 강의실은 학생들이 물리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캠퍼스에 오지 않고도 각종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 정의된다. 사이버 강의실의 범주에는 컴퓨터 통신망 기반의 사이버 교육뿐만 아니라 방송이나 인쇄 매체 등을 활용하는 기존의 원격교육 기관까지 포함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대학의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제공하거나 사이버정보통신학부, 사이버창작학부 등 사이버캠퍼스를 운영하는 대학들이 있으며, 한국방송대학교에서는 기존의 방송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이렇듯 많은 사이버 강의실이 생겨났지만 과연 그 사이트가 얼마나 실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사이버 강의실의 운영 현황과 활용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2. 사이버 강의실의 구성요소 분석
1.2.1. 강의실 활용 현황
강의실 활용 현황은 사이버 강의실의 주된 구성요소 중 하나로, 각 사이버 강의실이 제공하는 강의실의 수와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이버 강의실별로 강의실의 수가 매우 다양했다. 가장 적은 1개의 강의실을 제공하는 사이버 강의실이 있는 반면, 최대 317개의 강의실을 제공하는 사이버 강의실도 있었다. 대체로 개인 교수의 홈페이지 수준의 사이버 강의실은 1개의 강의실만을 제공하고 있었지만, 종합대학 수준의 사이버 강의실은 여러 과목의 강의실을 모아 놓은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 사이버 강의실의 규모와 운영 주체에 따라 제공되는 강의실의 수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강의실의 수가 많다는 것은 해당 사이버 강의실이 다양한 과목을 포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실의 활용도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1.2.2. 자료실 활용 현황
자료실 활용 현황은 사이버 강의실들마다 천차만별이었다. 자료실에 올라온 글 목록 수가 가장 많은 사이트는 한문애니메이션학습으로 359개의 글이 올라와 있었다. 반면 3개의 사이트(이재규교수의열린강의실, 사이버카이스트, ocu)에는 자료실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다수의 사이트들이 100개 미만의 자료실 목록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처럼 자료실 활용 현황이 사이트마다 편차가 큰 것은 사이버 강의실들이 운영되는 목적과 수준, 그리고 관리 상태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다. 자료실의 질적인 수준과 양적인 면에서도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이버 강의실들이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운영이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2.3. 질의응답 활용 현황
질의응답 활용현황은 사이버강의실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항목이었다. 조사한 20개의 사이버강의실 중에서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질의응답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방송통신고등학교 인터넷학습' 사이트의 경우 무려 1465개의 질문글이 올라와 있었고, '이재규 교수의 열린 강의실'에서도 1167개의 질문이 등록되어 있었다. '한국가상캠퍼스'의 경우에도 901개의 질문이 게시되어 있었다. 이처럼 수백 개에서 천 개 이상의 질문들이 올라와 있는 사이트들이 많아, 학생들이 궁금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질의응답 게시판을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온티처 교수의 사이버강의실'과 '한문애니메이션학습' 사이트의 경우에는 질의응답 게시판이 전혀 없었다. 이처럼 일부 사이트에서는 질의응답 기능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봤을 때, 사이버강의실의 구성요소 중에서 질의응답 활용도가 가장 높은 편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이 실제로 사이버강의실을 이용하면서 궁금한 점이 생길 때마다 질의응답 게시판을 활용하여 교수님이나 다른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고 답변을 얻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사이버강의실이 단순히 일방향적인 강의 제공의 역할을 넘어서,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2.4. 과제제출 활용 현황
과제제출 활용현황은 대부분의 사이버 강의실에서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과제제출을 요구하는 사이트는 대학교에서 또 특히 컴퓨터 관련 과목을 가르치는 사이트에서만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다른 사이트들은 교수님의 e-mail이나 직접 보고서를 제출하는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전체 20개의 사이버 강의실 중 과제제출 항목을 갖추고 있는 곳은 8개에 불과했으며, 평균 0.4개의 과제제출 항목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 강의실에서 과제제출이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사이버 강의실이 아직 전통적인 오프라인 수업과 유사한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의 온라인 수업 환경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1.2.5. 공지사항 활용 현황
공지사항 란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공지사항 목록을 가지고 있었지만 어떤 사이트들은 특별히 공지사항 목록을 갖고 있지 않고 사이트 맨 처음 홈에 공지사항이라 하여 글을 올려놓는 경우도 많았다. 번호별 공지사항 목록 수를 살펴보면, 방송통신고등학교인터넷학습이 58개로 가장 많은 공지사항 목록을 가지고 있었다. 라이센스몰은 27개, 사이버카이스트가 26개, 황국명-문학세계가 30개 등 비교적 많은 공지사항 목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이철환교수의사이버강의실과 이한섭교수의사이버클래스는 공지사항 목록이 전혀 없었고, 쉐이드가상강의실과 온티처교수의사이버강의실, 컴퓨터그래픽강의실, 최송식교수의가상강의실도 공지사항 목록이 1개씩밖에 없었다. 전체적으로 평균 11.4개의 공지사항 목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6. 강의계획서 활용 현황
대부분의 강의계획서는 강의실과 그 개수가 일치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이트들도 있었다. 보통 1개의 강의계획서를 가지는 사이트가 대부분이었고 강의계획서가 없는 사이트들도 있었다. 많게는 317개나 되는 강의계획서를 가지는 사이트도 있었는데 이 사이트는 강의실이 그만큼 되는 곳이었다.
1.2.7. 사이버 강의실의 강좌명
사이버 강의실의 강좌명은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쉐이드 가상 강의실의 경우 별도의 강좌명이 없이 "쉐이드 가상 강의실"이라는 명칭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