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1.2. 문법 표현의 중요성
2. 문법 표현 '-으ㄹ 테니까'
2.1. 의미 및 특성
2.2. 주어와 시제 제약
2.3. 활용 연습
3. 문법 표현 '-는 바람에'
3.1. 의미 및 특성
3.2. 형태통사적 제약
3.3. 화용적 기능
3.4. 활용 연습
4. 문법 표현 '-아서/어서'
4.1. 의미 및 형태
4.2. 문법적 제약
4.3. 문장 연습
5. 문법 표현 '-기 때문에'
5.1. 의미 및 문법적 특성
5.2. 청유문·명령문 제약
5.3. 활용 방법
6. 문법 표현 '-느라고'
6.1. 의미와 형태·통사적 특성
6.2. 시상 제약과 주어 일치
6.3. 활동 교수방법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언어 교수법의 역사적인 흐름에 따라서 항상 논쟁의 쟁점이 되었던 주제는 바로 "문법을 언어 교수 안으로 끌어들일 것인가 말 것인가?"에 관한 찬반론이었다. 이러한 논쟁은 의사소통적 교육 방법이 대두되면서 더 치열해졌다. 하지만 많은 학자들은 의사소통적 교육 방법에서도 문법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Brown도 그 중 한명이었다. 이에 그는 의사소통적 교육 방법에서 문법교육의 중요성을 다음 내용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문법은 의미심장하고 의사소통적인 문맥 속에 깊이 새겨져 있기 때문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문법 교육은 의사소통적인 목표에 긍정적으로 공헌하므로 필요하다. 셋째, 문법은 유창한 의사소통적인 언어 안에서의 정확성을 증진시키므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문법은 생생하고 내적인 동기를 부여하므로 교육이 필요하다.
위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법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어는 문법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럼에도 유창하게 한국어를 하기 위해서는 문법 학습을 해야만 한다.
1.2. 문법 표현의 중요성
문법은 언어 사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문법 표현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문법 표현은 단순히 문법적 지식의 전달을 넘어 실제 언어 사용에서의 활용까지 다루어야 한다.
첫째, 문법 표현은 의미심장하고 의사소통적인 문맥 속에 깊이 새겨져 있기 때문에 교육이 필요하다. 문법 표현은 단순히 문법 지식의 차원을 넘어서 실제 언어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문법 표현에 대한 교육은 단순한 암기가 아닌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의 실제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문법 표현 교육은 의사소통적인 목표에 긍정적으로 공헌한다. 문법 표현은 단순히 문법 규칙의 차원을 넘어서 실제 언어 사용에서 어떤 효과를 내는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문법 표현의 적절한 사용은 언어 사용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문법 표현은 유창한 의사소통적인 언어 안에서의 정확성을 증진시키므로 교육이 필요하다. 문법 표현의 정확한 사용은 언어 사용자의 의도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언어 사용자는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문법 표현은 생생하고 내적인 동기를 부여하므로 교육이 필요하다. 문법 표현에 대한 교육은 단순한 암기가 아닌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활용과 연계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언어 학습자는 문법 표현에 대한 내재적인 동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문법 표현은 언어 사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문법 표현에 대한 교육은 단순한 문법 지식의 전달을 넘어서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활용까지 다루어야 한다. 이를 통해 언어 학습자는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문법 표현 '-으ㄹ 테니까'
2.1. 의미 및 특성
'-(으)ㄹ 테니까'는 다양한 의지 표현의 목록들 가운데 유일하게 기본형이 아닌 연결 어미와의 결합형으로 활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으)ㄹ 테다'는 아랫사람 혹은 친구와 같이 가까운 사이에서 주로 쓰이며, 말하는 사람이 어떠한 일을 반드시 하겠다는 강한 의지나 계획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그러나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으)ㄹ 테다'만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연결어미와의 결합형으로 표현된다. '-(으)ㄹ 테다'뒤에는 '-(으)니(까), -고, -(이)ㄴ데, -지만' 등과 같은 많은 연결 어미들이 붙을 수 있다. 하지만 '-(으)니(까)'외에는 전부 화자의 의지를 직접 표출한 것이 아닌 사건 내용을 통보하는 성격이 강하다. 한편, '-(으)ㄹ 테니까'는 주관성이 강한 표현에서 많이 사용된다. '-(으)ㄹ 테니까'를 사용할 경우 그 문장의 주관성이 강해지는 이유는 '-(으)ㄹ 테니까'에 이유의 의미를 갖는 연결 어미인 '-(으)니까'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으)ㄹ 테니까'를 사용하면 앞 행동은 뒤 내용의 조건으로서 나타난다. 보편적으로 문장 뒤에는 청자에게 어떻게 하자거나 혹은 어떻게 하라는 내용이 따라 붙는다. '-(으)ㄹ 테니까'를 사용한 문장이 만약 1인칭 주어문일 경우라면 화자의 강한 의지를 표출하는 반면, 화자가 주어가 아닐 경우 강한 추측 및 이유를 표출한다.
2.2. 주어와 시제 제약
'-(으)ㄹ 테니까'는 주어 제약이 있는데, 1인칭 주어인 경우 주어의 강한 의지를 표출하지만, 2/3인칭 주어인 경우 강한 추측 및 이유를 표출한다"". 또한 시제 제약도 있어, '-(으)ㄹ 테니까'의 선행 요소는 동사여야 하며 과거시제는 올 수 없다"". 다만 후행절은 과거시제도 가능하다"".'-(으)ㄹ 테니까'는 다양한 의지 표현의 목록들 가운데 유일하게 기본형이 아닌 ...
참고 자료
방성원 외,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문화사, 2021.
김민정,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표현문형 사용 양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장원, 한· 중 인과 표현 대조 연구 : ‘-느라고’, ‘-는 바람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진가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부정 결과 표시 이유·원인 구문 연구 :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탓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양명희 외(201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집문당.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 Student`s Book 1B,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출판부.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Student`s Book 1A, 2A, TWO PONDS.
양명희 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집문당, 2016.
김민성, 연결구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탓에'의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2021.
유소영,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표현 연구 : 문법표현 선정과 등급화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13.
장원, 한· 중인과 표현 대조 연구 : ‘-느라고’, ‘-는 바람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