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수·학습 계획
1.1. 수업 대상 및 교재
수업 대상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들이며, 세종한국어 2권을 교재로 활용한다. 세종한국어 2권은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교재로,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회화와 문법 학습이 주를 이룬다. 이 수업에서는 취미활동과 관련된 어휘와 표현, 'V-(으)ㄴ 적이 있다/없다' 문법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취미활동을 소개하고, 상대방의 경험을 듣고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2. 학습 목표
취미활동에 대한 학습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미활동에 관련된 어휘와 표현을 익힐 수 있다. 둘째, '못'에 관한 문법을 학습하여 자신의 취미활동을 소개할 수 있다. 셋째, 친구의 취미활동을 소개할 수 있다. 넷째, 자신의 취미활동을 소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취미활동에 관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1.3. 학습 내용 및 활동
1.3.1. 취미활동 어휘 및 표현
취미활동과 관련된 어휘 및 표현에는 그림을 그리다, 사진을 찍다, 기타를 치다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어휘와 표현은 여가 시간에 사람들이 즐기는 다양한 활동을 나타내며, 취미생활의 종류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그림을 그리다, 사진을 찍다, 기타를 치다 등의 표현은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어 취미활동의 행위를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어휘와 표현을 통해 학습자는 주말이나 여가 시간에 자신이나 친구들이 즐기는 취미활동에 대해 보다 생동감 있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취미활동 어휘 및 표현은 학습자의 어휘력과 표현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다양한 취미활동과 관련된 어휘를 익히고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언어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취미활동 어휘 및 표현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여가생활 이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1.3.2. '못' 문법 익히기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못 문법을 소개하면서 자신의 취미활동과 연관하여 설명한다. 교사는 요가를 하고 싶지만 배우지 않아 요가를 못한다고 말하면서, 학습자들에게 자신이 하고 싶지만 배우지 않아 할 수 없는 활동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학습자들은 교사의 질문에 대답하며 다양한 취미활동을 '못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교사는 못 문법을 설명하며, 동사 앞에 "못"을 붙여 사용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기타를 치다"를 "기타를 못 치다"로 사용한다. 또한 "못하다"는 하고 싶지만 상황상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교사는 동민이가 다리를 다쳐서 축구를 할 수 없는 상황을 들어 "축구를 못한다"라고 표현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받침에 따른 활용법을 자세히 설명하며, 학습자들이 연습 활동을 통해 익히도록 한다.""
1.3.3. 친구의 취미활동 소개하기
친구의 취미활동을 소개하는 것은 취미활동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학생들은 서로의 취미활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면서 상대방의 관심사와 특성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상대방과의 유대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