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간호대학생의 학과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대학생의 학과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1.1. 간호연구 및 통계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2.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2.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핵심 능력
2.1.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능력의 차이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1.1. 간호연구 및 통계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 전공 학생들의 상당수가 자신의 적성 및 흥미에 따라 학과를 선택하기보다 성적과 취업이라는 현실적 조건에 맞춰 입학했기 때문에 학과 공부에 내적 동기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 그뿐만 아니라 대학생들은 1학년 때부터 시작되는 과중한 학업량과 졸업 후 취업과 연계되는 대학 성적 및 국가고시로 인해 심리적 부담이 큰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전공만족도는 '전공 관련 공부를 하면서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고 있다는 주관적 즐거움, 자신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긍정적 사고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정의되며, 학업성취도는 '대학의 교육목표에 따라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학습한 지식과 지적능력, 태도와 가치관 등 학습결과의 총칭'으로 정의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학점평균과 전공점수가 높고, 관련된 전공으로의 진로의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생 진학률은 70.4%로 대다수의 고등학생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지만, 전공 선택 시 본인의 흥미와 적성이 반영되지 않고 오히려 성적과 가족의 영향으로 전공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외부요인의 영향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은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으며, 취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업성취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전공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간호 전공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확인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만족도가 높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전공만족도가 낮은 간호대학생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에 대한 동기와 몰입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학업성취도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 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활동을 개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1학년 때부터 전공과 진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 개개인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만족감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능률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사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21년 5월 30일부터 6월 4일까지 M시에 소재하고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시행하고 있는 간호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받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평균은 57.6±7.55이었고, 학업성취도는 29.96±3.35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단순회귀분석 결과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받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전공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


참고 자료

박명지(2008).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가 진로성숙도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은선,정경아(2015). 일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정보연 (2009).『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미 (2016).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가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 2년제와 4년 제 학교의 관광경영과 호텔경영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2(3)-140.
김주연,김현옥,이명하(2019).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25(2);205-206.
조원숙(2009).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준(2017).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입전형유형·사교육·대학생활만족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원숙(2008).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준(2017).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우정(2018).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중도탈락의도,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 차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원기(2015).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대학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K. H. Seo, K. H. Kim, “The Meaning and Challenges of Health Care Workforce Support Act,”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nice, vol. 20, no. 3, pp. 211–233, 2019.
DOI:https://doi.org/10.29291/kslm.2019.20.3.211
S. M. Kim. “Analysis of Press Articles in Korean Media on Online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Th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1, no. 6, pp. 1101-111, 2020.
H. J. Park, J. M. Kim, “The relationship among informal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leader’s learning support and learning culture of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 20, no. 2, pp. 25–49, 2018.
DOI:https://doi.org/10.18211/kjhrdq.2018.20.2.002
Csikszentmihalyi. M, “The flow experience and its significance for human psychology,” Optimal Experience, pp. 15–35, 1988.
DOI:https://doi.org/10.1017/cbo9780511621956.002
H. J. Park. “The Relationship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10, no. 4, pp. 917-929, 2019.DOI:https://doi.org/10.22143/HSS21.10.4.65
H. J Oh, K. S. Kim.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lass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28, no. 2, pp. 135-153, 2020.
DOI:https://doi.org/10.18230/tjye.2020.28.2.135
J. I. Kim,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Well-being to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12, pp. 574-583, 2018.
DOI:http://dx.doi.org/10.5762/KAIS.2018.19.12.574
G. Y. Joo, Y. S. Choi.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6, no. 11, pp. 7300-7309, 2015.
DOI: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300
H. Y. Lee, I. S. Park, “The Relationship of Self-Empowerment,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vol. 7, no, 4, pp. 13-26, 2013.
DOI;https://doi.org/10.18014/hsmr.2013.7.4
Y. S. Kim, “Review and Critique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Research,”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5, no. 1, pp. 31-62, 2012.
N. Lee, “Contents and Effects of and upon the Character of Students Enrolled in Liberal Arts
Character-based iClass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4, no. 2, pp. 205-220, 2020.
DOI:https://doi.org/10.46392/kjks.2020.14.2.205
Y. S. Hong, “Implementation of Smart E-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20, no. 2, pp. 171-178, 2020.
DOI:https://doi.org/10.7236/JIIBC.2020.20.2.171
S. O. Kim,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Metacogniton,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11, pp. 361-374,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361
Sim I-O, Song G-W. Study of Effect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Social Skill from Nursing Students’ Part Time Work Experienc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Internet]. 2016 Jul 31;17(7):123–33.
고관우, 남진열.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스트레스 지각수준의 관계. 2012; 14(2), 149-168.
심영.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지출 태도, 관리 및 행동에 관한 연구. 2004; 7(3), 17-39.
심인옥, 송건우. 간호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의사소통능력, 자기 효능감,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6;17(7):123-133.
Jee. Sook. Baik. Part-time work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its effects on college adapt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e Factility and Environment, 4(8), pp.4-14, 2006.
김유정.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8 (2020): 265-276.
이순희, 정승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2014; 14(12), 340-349.
Park, Jin-Ah, Hong, Ji-Yeon.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이 임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2017;17(10), pp.429 - 446
Jung SJ, Jeong JH.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의사소통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Internet]. 2019 Apr 30;25(1):pp98–105.
이성주, 장영경, 이하, 박경 생활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 한국교육개발원(2003)
도영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2018; 2(4), 1-10.
이우숙, 박선환, 최은영.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2008;15(4):548-557.
N. H, Cha,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9, no. 2, pp. 177-185, 2013.
S. J. Han, H. W. Kim,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ive Happiness, Ego-resil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9, no. 4, pp. 461-467, 2018.
S. Y. Kim, H. I. Cho,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od orientation, basic need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10, no. 2, pp. 307-328,
H. Y. Go, "The difference i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between motivation types",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3, no. 1, pp. 126-147, 2012
조성태, 남진열. 제주지역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경험과 스트레스 지각의 관련성 연구. 탐라문화2012;41(0):109-138.
정현경, 김명수, 유연자, 김수옥, 원대영.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과 학습태도, 학업성취도간의 상관성." 간호행정학회지 13.4 (2007): 516-525.
양진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2020; 15(4), 217-228.
이우숙, 박선환, 최은영.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2008;15(4):548-55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