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기림기상도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황무지와 기상도의 비교
1.2. 김기림과 모더니즘 문학의 영향
2. 황무지와 T.S. 엘리엇
2.1. 황무지: 현대 유럽 문명의 위기 표현
2.2. 엘리엇의 모더니즘 시학
3. 기상도와 김기림
3.1. 기상도: 태풍에 비유된 현대문명 비판
3.2. 김기림의 모더니즘 시론
4. 기상도 속의 황무지, 황무지 밖의 기상도
4.1. 기상도와 황무지의 유사점
4.2. 기상도와 황무지의 차이점
5. 결론
5.1. 기상도와 황무지의 관계 정리
5.2. 김기림 모더니즘의 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황무지와 기상도의 비교
황무지와 기상도의 비교를 살펴보면, 두 작품은 상당한 유사점을 드러낸다. 먼저, 두 작품 모두 당시 유럽과 동양 문명의 위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엘리엇의 황무지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신앙 부재와 정신적 황폐함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김기림의 기상도 역시 태풍이라는 자연재해를 통해 현대 문명의 위기를 비판하고 있다.
또한 두 작품 모두 모더니즘 문학의 영향을 받아 실험적이고 파편적인 구조를 보인다. 황무지의 불연속적인 구성과 앞뒤가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난해함은 모더니즘 시의 전형적인 특징이며, 기상도 또한 태풍의 진행 과정을 따라 부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통일성이 결여된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두 작품은 현대 문명의 위기를 다루며 모더니즘 문학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두 작품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우선 작품의 구성 방식에서 차이가 있는데, 황무지가 5개의 부로 이루어진 장편시인 반면 기상도는 7개의 부로 구성된 장시이다. 또한 황무지는 감상적이고 모호한 언어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기상도는 풍자와 해학이 강조되며 지성적인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더불어 두 작품이 다루는 문명의 위기에 대한 접근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황무지가 서구 문명 전체의 위기를 다루고 있다면, 기상도는 특히 산업 문명과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격이 강하다. 또한 황무지가 절망적이고 비관적인 분위기를 강조하는 반면, 기상도는 태풍이 지나간 후 새로운 희망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황무지와 기상도는 현대 문명의 위기를 다룬다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작품의 구조와 언어, 작가의 관점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는 두 작가가 속한 문화적, 역사적 배경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 김기림과 모더니즘 문학의 영향
2. 황무지와 T.S. 엘리엇
황무지는 1922년에 영국시인 T.S. 엘리엇에 의해 쓰여진 작품으로, 20세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 시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신앙 부재와 정신적 황폐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엘리엇의 황무지는 전체 5부로 이루어진 장편시이다. 제1부에서는 20세기 유럽의 메마른 풍경을 단적으로 드러내며, 제2부에서는 귀족부인이나 거리의 여인의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현대인의 무의미한 삶을 보여준다. 제3부에서는 불모의 도시 런던에서의 종말론적 풍경이 그려지는데, 욕망은 범람하지만 결심은 하나도 없는 현대인의 상황을 보여준다고 엘리엇은 해석한다. 제4부와 제5부에서는 멸망의 교회를 등장시키면서, 성배를 찾아오는 기사의 희망적인 모습 대신 종교적인 인용구를 서술함으로써 황무지에서의 평화, 심적인 평화를 갈구하고 있다.
이러한 황무지의 불연속적인 구성, 앞뒤가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난해함, 일관성이 결여된 듯한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시 전체를 마치 파편화된 조각들의 집합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불완전하게 자리잡고 있는 인간의 병리적 현상을 보여줌으로써 모더니스트들의 생각을 완연히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인간 지성의 단락나눔으로 비로소 드러낼 수 있는 인간존재, 그에 대한 불안한 상황이 바로 황무지가 보여주는 세상인 것이다.
2.1. 황무지: 현대 유럽 문명의 위기 표현
엘리엇의 「황무지」는 20세기 초 유럽 문명의 위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사회는 전쟁으로 인한 정신적 황폐화와 신앙심 상실에 직면해 있었다. 엘리엇은 이러한 현대 유럽 문명의 모습을 황폐하고 메마른 풍경으로 그려내고 있다.
「황무지...
참고 자료
1> 1992「T. S Eliot의 詩와 思想」 金良洙 저 -한신문화사-
2> 1996「영미시의 이해」 권의무, 이광운 편저 -형설출판사-
3> 2001「T. S 엘리엇 인간과 문학」 이창배 저 -동국대학교 출판부-
4> 1991「김기림 문학 硏究」 정순진 저 -국학자료원-
5> 1997「김기림 모더니즘과 詩의 길」 김용직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6> 1999. 1「김기림」 정순진 저 -새미-
김기림, 『김기림 전집』2, 심설당, 1988.
김용직,『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74.
김유중 편저, 『김기림』, 문학세계사, 1996.
신문수,「모더니즘 문학에 있어서 문학관」,『언어와 언어학』13집, 한국외대언어연구소, 1987.
오세영,『20세기 한국시연구』,새문사, 1989.
이 탄, 『한국 현대시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한계전 외,『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8.
김용직, 「한국현대시인연구」, 서울대학교출판사, 2000, p102-173.
김학동, 「김기림 평전」, 새문사, 2001.
김학동 조용훈, 「현대시론」, 새문사, 1997.
오세영, 「한국현대시인연구」, 월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