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관절개관 간호와 흡인
1.1. 기관절개관 간호
1.1.1. 기관절개관의 종류
기관절개관은 2~3번째 또는 4번째 기관환(tracheal ring)을 절개하여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으로 누공을 만드는 의료 장치이다. 기관절개관의 주요 종류에는 일반절개관과 특수기관절개관이 있다.
일반절개관은 외관, 덮개(obturator), 내관으로 구성된다. 덮개는 외관에 끼워 절개관 삽입 시 기관 손상을 최소화하고 외관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삽입 즉시 제거하여 내관으로 바꿔 끼워야 한다. 또한 커프가 있어 상기도의 분비물이 하부기도로 흡인되는 것을 막고, 기계 환기 사용 시 공기가 상기도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특수기관절개관에는 구멍이 뚫린 기관절개관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기관절개관이 있다. 구멍이 뚫린 기관절개관은 커프 수축 후 내관을 제거하면 기관절개관을 막을 수 있어 말하기가 가능하다. 의사소통이 가능한 기관절개관은 한쪽 튜브를 공기와 연결하면 커프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관절개관은 구조와 기능에 따라 일반절개관과 특수기관절개관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1.1.2. 기관절개관 환자 간호
기관절개관 환자 간호는 기관절개관 주위 피부 보호 및 감염 예방, 기관절개관 폐쇄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피부 간호를 하기 전 먼저 호흡음을 청진하여 분비물이 있으면 흡인 후 드레싱을 제거한다.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습하거나 분비물이 있는지 확인 후 필요하면 드레싱을 교환하거나 피부간호를 실시한다. 내관이 일회용이면 새 내관으로 교체하고, 일회용이 아닐 시에는 3% 과산화수소수에 담가 분비물을 제거한 후 멸균수로 헹궈 다시 삽입한다. 피부 주위의 분비물은 거즈를 과산화수소수에 적셔 부드럽게 제거하고 내관 밑에 Y자형 거즈로 교체한다. 고정 끈도 교환한다. 드레싱이 젖은 경우에는 감염이 원인이 되므로 자주 교환하고 피부 간호는 하루에 세 번 혹은 필요할 때마다 시행한다. 청색증, 호흡곤란이 있는지 관찰한다.
1.1.3. 커프 관리
커프가 있는 기관절개관에 대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커프의 과도한 압력은 기관부종, 궤양, 괴사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기도를 막을 정도의 최소한의 양으로 팽창시켜야 한다.
커프 압력의 정상 범위는 14~20mmHg이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커프의 공기를 빼서 주위 조직의 혈액 순환을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커프가 과도하게 팽창되어 있으면 공기를 일부 제거하여 적절한 압력을 유지해야 한다.
기관절개관 제거 시에는 우선 팽창된 커프의 공기를 빼고 시행해야 한다. 환자가 흡인의 위험이 없고 인공호흡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커프가 없는 기관절개관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커프의 관리를 통해 기관부종, 궤양, 괴사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기도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커프 압력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1.4. 기관절개관 빠졌을 때 간호
기관절개관이 빠졌을 때 간호사는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절개관을 빼내지 않은 상태에서 즉시 같은 크기의 새 절개관을 준비하여 교체해야 한다. 절개관이 빠진 즉시 멸균 거즈를 절개 부위에 덮어 출혈을 막고 공기 유입을 차단해야 한다. 의사에게 즉시 연락하여 상황을 알리고, 환자를 반좌위로 앉혀 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산소 마스크나 Ambu bag을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여 저산소증을 예방한다. 절개관 교체 시 멸균 기술을 사용하며, 절개관 삽입 후 커프를 적절하게 팽창시켜 기도 폐쇄를 방지해야 한다. 이후 주기적으로 절개관 주위 피부와 고정 끈 상태를 확인하여 관리한다. 이를 통해 절개관 빠짐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1.1.5. 기관절개관 제거와 간호
기관절개관 제거와 간호는 환자의 상태가 적절하게 환기하고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을 때 이루어진다. 주로 평일 낮 시간에 제거하며, 그 후 폐쇄 드레싱을 시행한다. 기관절개관을 제거하고 나면 환자에게 기침하거나, 삼키거나 말할 때 손가락으로 누공을 막도록 교육해야 한다. 이는 기도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기관절개관 제거는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절개관을 먼저 빼낼 때 커프를 수축시킨 후에 진행한다. 이후 환자는 구강을 통해 호흡하게 되므로 기침반사와 삼킴 기능이 원활해졌는지 사정해야 한다. 환자가 기관절개관을 제거한 뒤에도 계속해서 분비물 배출과 호흡 상태를 관찰해야 하며, 필요시 재삽입을 고려해야 한다.
1.1.6. 연하장애 간호
기관절개관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연하장애로 인해 흡인의 위험성이 높다"". 기도를 보호할 능력이 없어 음식물을 먹을 때도 커프를 수축시키지 않는다"". 커프를 수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