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강보건교육계획안 흡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흡연의 실태와 영향
2.1. 흡연의 실태
2.2. 흡연의 위험성
2.3. 흡연의 건강 영향
3. 금연의 필요성
3.1. 금연의 장기적 이점
3.2. 금연 시 신체변화
4. 금연을 위한 생활 수칙
4.1. 규칙적인 식생활 및 운동
4.2. 스트레스 관리
4.3. 금연 보조물품 활용
5. 금연 지원 서비스
5.1. 보건소 금연클리닉
5.2. 금연 상담전화
6. 금연 교육 및 실천
6.1. 금연 실천 모니터링
6.2. 재흡연 예방 대책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흡연은 가장 보편화된 약물 사용으로, 현대 사회에서 담배를 피우는 일은 일상화되어 있다.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매우 많으며 대표적으로 심혈관 질환, 암, 폐쇄성 폐질환 외에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간접흡연도 직접흡연과 마찬가지로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아동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흡연의 폐해에 대한 인식이 널리 확산되고, 금연이 국가 보건 사업의 중요한 시책 중 하나로 채택되어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성인 흡연율은 여전히 세계최고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이 2020년 흡연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만 19세 이상 성인 흡연율이 20.6%였으며, 남자의 34.0%, 여자의 6.6%가 현재 흡연자였다. 흡연자의 대다수가 금연을 원하며, 매년 흡연자의 3분의 1 정도가 금연을 시도하지만, 이 중 약 90%는 결국 금연에 실패한다. 그러므로 의료인은 금연 시도와 성공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흡연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금연교육을 실시하고 금연성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 성공 전략 교육을 통해 금연실천을 유도하고, 금연교육을 통한 질병 사전 예방을 위해 학교 금연교육 계획안을 작성해보려 한다.
2. 흡연의 실태와 영향
2.1. 흡연의 실태
우리나라의 흡연 실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이 2020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율은 20.6%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로 구분했을 때 남자의 경우 34.0%, 여자의 경우 6.6%가 현재 흡연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담배 제품은 건강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만, 흡연자의 대다수가 금연을 원하고 매년 3분의 1 정도가 금연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90%가 결국 금연에 실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 흡연율이 여전히 높고 금연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담배의 중독성이 강해 흡연 습관에서 벗어나기 힘들기 때문이다. 니코틴은 중독성 물질로 작용하여 흡연자들의 신체적, 심리적 의존성을 높이기 때문에 금연이 어렵다. 또한 취업 및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대학생 등 젊은 층에서도 흡연율이 높은 편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전반에 걸쳐 여전히 높은 흡연율과 금연 실패율을 보이고 있어, 보건 당국과 의료 분야의 지속적인 금연 교육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2.2. 흡연의 위험성
흡연의 위험성은 매우 심각하다. 담배에는 최소 7,000종 이상의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70종 이상이 발암물질이고 4,000종 이상이 독성 화학물질이다." 이처럼 흡연은 건강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한다.
첫째, 흡연은 다양한 암을 유발한다. 흡연은 폐암, 후두암, 구강암, 식도암, 위암, 방광암, 신장암, 췌장암 등 약 40여 종의 암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흡연자의 폐암 발병 위험은 비흡연자에 비해 15~80배 증가한다.
둘째, 흡연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다. 혈중 산소 공급이 줄어들고 혈전이 생성되어 심장마비나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높다.
셋째, 흡연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담배연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와 타르가 폐 조직을 손상시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을 비롯한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또한 폐활량이 감소하고 기침, 객담 배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넷째, 흡연은 구강 및 치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담배 연기에 포함된 수많은 독성 물질로 인해 치석 형성, 치아 변색, 치주염 등의 구강 질환이 유발된다. 또한 흡연은 미각 손실과 입냄새를 유발한다.
다섯째, 흡연은 당뇨병, 치매 등 기타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니코틴이 혈당 조절 기능을 저하시켜 당뇨병 발병률을 높이고, 뇌 기능 손상으로 인한 치매 발병 위험도 증가시킨다.
여섯째, 임신부의 흡연은 태아와 신생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저체중아 출산, 미숙아 출산, 유아 돌연사 증후군 등의 위험이...
참고 자료
금연길라잡이, https://www.nosmokeguide.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s://health.kdca.go.kr/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
KOSIS 국가통계포털, 흡연,
https://kosis.kr/search/search.do?query=%ED%9D%A1%EC%97%B0
박경ㆍ조경아, 『흡연 대학생의 니코틴 의존 수준에 따른 금연 자기효능감 영향요인』, 2020, 인문사회21, 제11권6호
정기윤, 유상호,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금연 교육과 금연 성공률』, 가정의학회지, Vol. 30, No. 7, Jul 2009
윤지아기자, 아빠 옷에 담배부산물, 공포의 3차 흡연, 베이비뉴스, 2017.02.07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4842
유튜브/ 흡연의 위험, 간접흡연, 금연의 이익, 금연준비, 금연 실천 방법, 금단증상 대처, 금연 도움 기관,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OC4QStbY4Ff3cS_tNAln08BAQLKho6Eb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정운숙 외(2019), 학지사메디컬, p. 434~458
금연 두드림(국가금연지원센터)
금연공익광고 https://www.youtube.com/watch?v=-DnorJDRxbA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폐 비교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KZaAdedfIWI
금연길라잡이 www.nosmokeguide.go.kr
보건복지부 www.mohw.go.kr
분당서울대병원 www.snubh.org
사하구 보건소 www.saha.go.kr›health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순천시 보건소 www.schc.go.kr›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