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크라테스의 삶과 사상
1.1. 소크라테스에 대한 플라톤의 견해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를 철학의 스승이자 완벽한 지혜의 화신으로 그려냈다. 그는 스승의 삶과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독창적인 철학을 발전시켰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자신의 이상적인 철학자상으로 묘사했다. 그는 소크라테스를 통해 "알지 못하는 것은 모른다"는 무지의 지혜와 진리 탐구 정신을 보여주었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신의 사자처럼 인간의 지혜를 시험하고 그들의 무지를 깨우치려 했다고 보았다.
또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양심에 따라 삶과 죽음을 관통한 철학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소크라테스는 부당한 재판과 사형 선고 앞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포기하지 않고 당당하게 맞섰다. 이는 플라톤이 추구한 철학자상의 전형이었다.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의 모습에서 이성과 양심, 그리고 진리 추구의 자세를 발견했다. 그는 소크라테스를 통해 철학의 이상을 구현했다고 할 수 있다.
1.2. 소크라테스의 신적 사명과 아테네 시민들에 대한 비판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신의 사자처럼 인간의 지혜를 시험하고 깨우치게 하는 임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탁을 받아 아테네 사람들 중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을 찾으려 했으나, 그런 사람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지혜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이 가장 지혜로운 것이라고 말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신의 사자처럼 아테네 사람들의 지혜를 시험하고 깨우치게 하는 임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이 지혜롭다고 소문이 난 사람들을 찾아가서 그들의 지혜를 반박하고 드러냈다고 한다. 이런 행위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미움을 사고, 그들의 시기와 적개심을 샀다고 말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청년들에게 어떤 교훈이나 지식을 가르쳐주지 않았고, 그들이 자신의 대화를 듣고 싶어서 따라다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청년들이 자신의 말을 믿는다고 해서 그들이 자신의 신들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말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신들의 존재를 믿고, 신들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며, 신들에게 감사하고, 신들에게 기도하고, 신들에게 희생물을 바친다고 주장했다. 그는 멜레토스가 고발한 내용이 자신의 철학과 가르침에 대한 모순된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신적 사명을 믿으며, 아테네 시민들의 무지를 깨우치려 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의 미움을 샀다. 그는 청년들을 타락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선하고 정의롭게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주장했다.
1.3. 소크라테스의 법정 변론
소크라테스의 법정 변론은 그의 철학적 탐구와 가르침으로 인해 자신이 재판에 서게 된 이유와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소크라테스는 먼저 자신이 왜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소문이 나게 되었는지를 밝힌다"." 그는 자신이 신의 사자처럼 아테네 시민들의 지혜를 시험하고 깨우치는 일을 행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시인, 정치가, 수공기술자 등 당시의 유명 인사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그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고백한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행위가 많은 사람들의 미움과 중상을 받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한다"."
이어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에게 제기된 구체적인 혐의에 대해 반박한다"." 첫째, 그가 청년들을 타락시킨다는 멜레토스의 주장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청년들에게 어떤 교훈이나 지식을 가르치지 않았고, 오히려 그들이 자신의 대화를 듣고 싶어서 자발적으로 따라다녔던 것이라고 해명한다"." 둘째, 그가 다른 신들을 믿는다는 혐의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신들의 존재를 믿고 있으며 신들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는 자신의 행위와 신념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변론에도 불구하고 280대 220의 표결 결과로 유죄 판결이 내려졌다"." 소크라테스는 판결 결과가 자신의 논변이 부족했기 때문이 아니라, 재판관들 앞에서 울며 용서를 빌지 않은 것이 그들의 분노를 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