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과정 대인관계능력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진단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현병(Schizophrenia) 사례연구
1.1. 자료수집 및 간호력
1.2. 간호과정
1.2.1. 비효과적인 감정 · 충동 조절과 관련된 폭력의 위험성
1.2.2. 대인관계 능력의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2.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2.1. 질병 개요
2.1.1. 정상해부생리
2.1.2. 증상 및 징후
2.1.3. 원인 및 위험요인
2.1.4. 진단적 검사
2.1.5. 의학적 치료
2.1.6. 합병증
2.2. 간호과정
2.2.1. 충동성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
2.2.2. 대인관계능력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2.2.3. 부정적 인식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현병(Schizophrenia) 사례연구
1.1. 자료수집 및 간호력
대상자의 자료수집 및 간호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43세 남성으로 2017년 12월 28일에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하였다. 진단명은 SPR(Schizophrenia)이다. 종교는 불교이며 미혼이다. 주수입원은 부모님이며 가족월수입은 50~100만원 수준이다. 주거형태는 가족소유의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학력은 대졸(전문대졸) 수준이다.
대상자는 2~3년 전 소리지르고 환청, 환시, 폭력성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지만, 입원 시 오히려 더 불안해하고 부모의 입원치료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 증상의 호전이 없었다고 한다. 등록 당시 주요 증상으로는 약물을 잘 복용하지 않거나 거짓말하는 모습, 위생관리 부족, 환청과 환시 지속, 가족과의 대인관계 기피 등이 있었다.
등록일부터 사정일까지 기관생활 동안 대상자는 방어적·적대적이며 거부적인 반응을 보이고, 긴장·불안·흥분된 표정으로 안절부절못하며 중얼거리거나 대인관계를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설 내 재활 프로그램 참여 시에도 환청이나 환시로 인한 증상(소리 지르거나 화를 내는 모습)을 보이며 우울하다가도 불안해하고 쉽게 화를 내는 태도를 보였다. 위생상태가 불량하며 늘어진 옷차림을 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과거병력을 살펴보면, 20대 초반 감정조절이 되지 않았으며 소리 지르고 폭력적인 모습을 보여 신경정신과 병원에 3차례 입원한 적이 있었다. 2~3년 전에도 소리 지르고 환청, 환시, 폭력성으로 인해 입원한 경험이 있다. 그러나 병원 입원 시 오히려 더 불안해하고 부모의 인식이 좋지 않아 증상 호전 없이 퇴원하였다고 한다. 최근에는 약물 복용을 잘 하지 않으려 하며 거짓말하는 모습을 보이고, 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으며 손을 씻는 강박증상을 보이고 있다. 가족 중에는 부모님만 있으며, 부모님은 맞벌이로 인해 대상자에게 신경을 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대상자는 조현병을 앓고 있는 43세 남성으로, 등록 당시 주된 증상은 약물 비순응, 위생관리 부족, 환청·환시, 가족과의 관계 기피 등이었다. 등록일부터 사정일까지 기관생활 동안에도 방어적이고 적대적인 태도, 불안·긴장감, 쉬운 흥분 등의 모습이 지속되었다. 과거력에서는 20대 초반부터 정신증상을 보여 여러 차례 입원한 경험이 있었으며, 가족 부양에도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1.2. 간호과정
1.2.1. 비효과적인 감정 · 충동 조절과 관련된 폭력의 위험성
비효과적인 감정 · 충동 조절과 관련된 폭력의 위험성은 조현병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조현병 환자는 감정 조절 능력이 부족하여 순간적인 화나 흥분 상태에 쉽게 빠지며, 이로 인해 폭력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해당 사례의 대상자는 과거 소리를 지르며 폭력적인 모습을 보여 수차례 입원한 적이 있었다. 현재에도 시설 내에서 프로그램 중 환청이나 환시로 인한 증상으로 인해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는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상자는 불안하면서도 쉽게 화를 내며 폭력에 대한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감정 조절 능력의 결여와 관련하여 폭력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대상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대상자의 폭력성과 관련된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중재를 통해 폭력 행동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간호중재로는 대상자의 감정을 인정하고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위험한 물건을 제거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약물 요법을 통해 증상을 조절하는 것 등이 있다...
참고 자료
김수진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6
임숙빈 외,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15
서울대학교 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2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부산북구정신건강증진센터. http://www.bmhc.co.kr/mental_info04
PHARMAKOREA http://pharmakorea.com/
(재)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네이버 지식백과_의약품 사전
정신간호총론, 임숙빈 외, 수문사,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김남초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Ⅱ, 윤은자 외,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조현병
김영훈 교수의 정신건강클리닉_ 정신분열병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2016, 박현숙 외,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 2016, 김수진 외, 현문사
정신간호총론, 2015, 임숙빈 외, 수문사
핵심정신건강간호, 2009, 이광자 외, 군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