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침묵식교수법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침묵식 교수법의 배경
1.2. 침묵식 교수법의 원리
2. 본론
2.1. 침묵식 교수법의 특징
2.1.1. 침묵식 교수법의 수업방식
2.1.2. 침묵식 교수법의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
2.2. 침묵식 교수법의 효과
2.2.1. 침묵식 교수법의 장점
2.2.2. 침묵식 교수법의 목표 및 학습효과
2.2.3. 침묵식 교수법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때 예상되는 효과
2.3. 침묵식 교수법의 어려움
2.3.1. 침묵식 교수법의 단점
2.3.2. 침묵식 교수법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때 예상되는 어려움
2.4. 침묵식 교수법의 개선방법
3. 결론
3.1. 소감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침묵식 교수법의 배경
외국어 교수법은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천되었다.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으로 등장하게 된 청각구두식 교수법은 학생들로부터 자동적인 언어 반응과 기계적인 연습의 반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와는 달리 1970년 이후에는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전략과 학습자의 태도를 중시하는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이라는 언어교수법이 Caleb Gattegno에 의해 등장했다. 그는 이 방법을 제시하기까지 35년간 언어를 직접 가르쳤으며, 교육현장에서 경험했던 것들을 바탕으로 1963년에 『Teaching Foreign Languages in Schools : The Silent Way』라는 책을 영국에서 출판하였다. 이 책은 1972년 미국에서 재 출판되며 언어 교육학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여 이후 1976년에 기술적 활용방법을 제시한 『The common sense of teaching foreign languages』의 출판으로 앞서 발표한 그의 이론적 기반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다."
1.2. 침묵식 교수법의 원리
침묵식 교수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이 스스로 무언가를 발견하고 창조해 내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학습이 촉진된다. 침묵식 교수법은 학생들이 창조력이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하며, 학생들에게 기계적인 반복과 연습 대신 문제 해결과 창조적 활동 등을 통해 학습하게 한다. 학습자들이 새로운 정보를 접하면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스스로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추측하고 판단하여 발견 학습이 이루어진다.
둘째, 시각적 도구와 자료들을 통해 학습이 촉진된다. 침묵식 교수법에서는 교사가 의도적으로 침묵하고, 대신 막대, 차트, 지휘봉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흥미와 자발적인 발견 학습을 이끌어 낸다.
셋째, 학습은 학습할 자료를 포함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촉진된다. 침묵식 교수법은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 시각적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을 중시하고 발견 학습이 가능하며, 장기적인 기억력을 추구한다.
2. 본론
2.1. 침묵식 교수법의 특징
2.1.1. 침묵식 교수법의 수업방식
침묵식 교수법의 수업방식은 다른 교수법과는 차별화된다. 교사는 가능한 말을 적게 하고 학생들에게 말을 많이 하도록 유도한다. 수업 순서와 단원의 내용 등을 학생들 스스로 만들어가며, 다양한 도구와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이끌어낸다.
예를 들어 지휘봉은 강세, 어구, 억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강세는 어떤 단어를 지적할 때, 다른 기호보다 어떤 기호를 더 강하게 두들림으로써 표시한다. 억양과 어구는 발화 리듬에 맞춰 차트 위를 가볍게 때림으로써 보여준다. 이러한 것들은 수업 전 교사와 학생들의 약속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조용히 학습 내용을 깨닫고 난 뒤에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깨달음의 능력을 지닐 수 있다. 교사의...
참고 자료
김경령 (2010).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세계한국어문학, 4, 131-15
김현화, 이미혜 공저, 한국어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츨판문화원, 2011, 초판
김병호,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서울대 한국어문화연구소,제5판 2019,9
함은주.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음운 지도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인천
김경령. (2010).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세계한국어문학, 4, 131-150.
서초순. (1978). 무언 교수법에 의한 외국어 학습지도 연구. 경남문화연구, 1(0), 211-225.
https://ko.wikipedia.org/wiki/%EC%B9%A8%EB%AC%B5%EC%8B%9D_%EA%B5%90%EC%88%98%EB%B2%95 (침묵식 교수법)
외국어로서의언어교수이론 강의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함은주(2011),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음운 지도 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경옥(2000), 침묵식 원리 적용을 통한 말하기·듣기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모정미(2005),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배론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