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전개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1862년 농민봉기
1.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
1.2. 1862년 농민봉기의 의의
2. 광무개혁
2.1. 광무개혁의 내용
2.2. 광무개혁의 한계
3. 일제의 통치 방식 변화
3.1. 1910년대 일제의 통치방식
3.2. 1920년대 일제의 통치방식
3.3.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
4. 모스크바 3상회의와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
4.1. 모스크바 3상회의 내용
4.2. 모스크바 3상회의에 대한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
5. 유관순 열사
5.1. 유관순 열사 선정 이유
5.2. 유관순 열사 인물 소개
5.3. 유관순 열사가 끼친 영향
5.4. 유관순 열사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점
6. 3·1 운동
6.1. 3·1 운동 사건, 사실 설명
6.2. 3·1 운동이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
6.3. 3·1 운동의 현재적 의미와 영향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1862년 농민봉기
1.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임술년(1862년) 농민봉기는 조선 전국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로, 2월 4일 단성 지역에서 시작되어 점차 확산되었다.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에도 체제의 불안함이 지속되었고, 불합리한 세금 징수와 양반들의 부패가 계속되면서 농민들의 삶이 어려워지고 불만이 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민들은 2월 4일 단성에서 봉기를 시작했다. 3월 14일에는 진주민란으로 확산되었고, 3월에는 경상도 지역으로, 4월에는 전라도로, 5월에는 충청도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농민들은 관아를 공격하여 동헌을 부수고, 수령들을 공격하는 등의 행동을 취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만들어 삼정의 문란에 대한 해결을 시도했고, 민란이 일어난 곳에 관리들을 파견하여 민정을 살폈다. 1862년 말이 되면서 민란은 거의 소강상태에 들어갔고, 농민들은 그들의 생업으로 돌아갔다.
이 농민봉기는 농민들의 분노를 보여준 큰 사건이었지만, 각 지역에서 소규모 봉기가 연합의 형태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조직력이 부족했고, 시대적인 한계로 인해 농민들의 인권을 보장받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 봉기는 조선의 계급제도가 한계에 도달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동학농민운동 등 더 큰 농민봉기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2. 1862년 농민봉기의 의의
1862년 농민봉기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진주에서 시작된 1862년 농민봉기는 훗날 숱하게 이어질 농민봉기의 시발이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 봉기는 평안도 농민전쟁(1811년)과 비교했을 때, 훨씬 많은 지역에서 일어났고, 더 많은 농민들이 참여했으며, 농민들이 봉기를 좀 더 주도적으로 이끌어갔다는 점에서 발전된 형태였다. 주로 고을 단위로 일어났고, 조세 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등 농민들의 요구도 구체적이었다.
이 봉기는 세도정치와 매관매직에서 비롯된 조세 수취제도의 문란과 탐관오리 수령에 대한 반발로 일어났다. 농민들은 자신들의 입장에서 당시 조세제도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등 스스로 정치적 주체로 각성하고 단련해 나갔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다만 봉기의 목표였던 삼정의 문란과 탐관오리 수령의 처벌은 일시적인 조치에 그쳤으며, 근본적인 해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세도정치와 매관매직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862년 농민봉기는 이후 동학농민운동으로 이어지는 등 조선 후기 농민의 각성과 저항의 서막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2. 광무개혁
2.1. 광무개혁의 내용
광무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종은 1897년 10월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정하고 연호를 '광무'로 제정하여 대한제국을 선포하였다. 이를 계기로 고종은 황제의 지위에 오르고 실질적인 황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대한제국은 황실 중심의 근대화 개혁을 추진하였다.
먼저, 고종은 황제 중심의 권력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궁내부를 권력의 중심축으로 삼고, 그 아래에 군사기구인 원수부, 경찰기구인 경위원, 재정기구인 탁지부 등을 설치하여 황권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한제국은 재정 개혁을 단행하였다. 탁지부를 중심으로 왕실재정과 국가재정을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다. 특히 전국적인 양전·지계사업을 통해 토지소유권을 근대적 법제도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 밖에도 대한제국은 근대교육 제도를 정립하고, 산업 육성을 위한 식산흥업정책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근대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상공학교 설립, 기술자 양성, 외국 유학생 파견 등을 통해 근대교육을 진흥시키고자 하였으며, 섬유, 철도, 운수, 금융 등 각 분야에서의 근대 산업 육성에도 힘썼다.
이처럼 고종의 광무개혁은 황권 강화를 통한 부국강병을 목표로 전개되었다. 대한제국은 전통적 체제를 바탕으로 하여 근대적 제도와 정책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2.2. 광무개혁의 한계
광무개혁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무개혁은 전통에 철저하게 근거하면서도 근대적인 기준에 맞춰 전환하려는 절충적인 방식을 취하였다. 즉, 보수적이고 절대주의적인 속성으로 인해 근대국가라는 위상에 걸맞은 민권의 성장과 이를 보장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의 급진성을 비판하며 시작된 복고적 개혁으로서 전제군주제의 강화 등은 오히려 전근대적인 면이 있었다. 이는 근대화를 위한 개혁이라기보다는 전통의 온존을 위한 복고적 성격이 강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독립협회 등 진보적 개혁운동을 탄압함으로써 국민적 결속에 실패했고 열강간섭 배제의 면에서도 실패했다. 즉, 개혁의 추진 과정에서 국민적 지지와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넷째, 광무개혁을 추진한 세력이 고종 황제와 이용익 등 소수의 근왕 세력에 한정됨으로써 그 지지기반이 매우 협소했다. 이는 개혁의 추진 동력과 지속성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다섯째, 황권 강화와 황실 중심의 개혁으로 인해 실질적인 독립 노력보다는 형식적인 신체제에 불과했다. 또한 열강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많은 이권을 이들에게 넘겨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결국 광무개혁은 보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성격이 강해 근대화를 추구하는 데 명확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3. 일제의 통치 방식 변화
3.1. 1910년대 일제의 통치방식
1910년대 일제는 강압적인 무단통치로 조선을 지배하였다. 일제는 군이 식민 사회 전반을...
참고 자료
한국사의이해. 송찬섭, 전덕재, 이익주, 정재훈, 염정섭, 김태웅, 최규진, 박태균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7년
임술민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507
광무개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118
1910년대 일제의 조선통치 방식 연구/이미미/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200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6aca444b6e29f83ffe0bdc3ef48d419&outLink=N
일제강점기/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318
모스크바삼상회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6402
도산 안창호의 민족운동과 공화주의 시민교육/이윤갑/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201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43cd22bba5afe737ecd42904f0c5d65&keyword=%EB%8F%84%EC%82%B0%20%EC%95%88%EC%B0%BD%ED%98%B8%EC%9D%98%20%EB%AF%BC%EC%A1%B1%EC%9A%B4%EB%8F%99%EA%B3%BC%20%EA%B3%B5%ED%99%94%EC%A3%BC%EC%9D%98%20%EC%8B%9C%EB%AF%BC%EA%B5%90%EC%9C%A1
5·18민주화운동의 재구성 : 계엄군의 사격행위를 중심으로/김희송/전납대학교 5.18연구소/201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a2d7b1123a9abd1dd18150b21a227875&keyword=5%EF%BD%A518%EB%AF%BC%EC%A3%BC%ED%99%94%EC%9A%B4%EB%8F%99%EC%9D%98%20%EC%9E%AC%EA%B5%AC%EC%84%B1%20%20%EA%B3%84%EC%97%84%EA%B5%B0%EC%9D%98%20%EC%82%AC%EA%B2%A9%ED%96%89%EC%9C%84%EB%A5%BC%20%EC%A4%91%EC%8B%AC%EC%9C%BC%EB%A1%9C
강만길(2018). 고쳐쓴 한국현대사. 창비.
공미라 외(2015). 한국사 개념사전. 아울북.
김만태(2012).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 시대와 철학.
김석준(1996). 미군정시대의 국가와 행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영희(2018). 조선을 구한 이순신 전함 12척의 비밀. 명문당.
서영희(2005).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신범식(2018). 세종대왕,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국사편찬위원회.
최기호(2003). 학문적인 의미에서 바라본 한글의 우수성.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사의 이해 교재 및 방송강의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1~5권, 웅진지식하우스, 2011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20
한국역사연구회, 시민의 한국사1권 2권, 돌베개, 2022
대담. 이기훈 기획, 촛불의 눈으로 3․1 운동을 보다. 창작과 비평, 2019
박찬승 외 저, 한국 근현대사를 읽는다, 경인문화사. 2014
이기훈 저, 3·1 운동, 100년의 기억들
김정인, 오늘과 마주한 3․1 운동: 민주주의의 눈으로 새롭게 읽다, 책과 함께, 2018
박헌호·류준필 편집, 1919년 3월 1일에 묻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 100주년기획위원회 엮음, 'N3․1 운동 100년, 후마니타스.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