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병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뇌병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병증의 종류
1.1. 저혈당 뇌병증
1.2. 간성 뇌병증
1.3. 요독성 뇌병증
1.4. 베르니케 뇌병증

2. 저혈당 뇌병증
2.1. 원인
2.2. 증상
2.3. 치료

3. 간성 뇌병증
3.1. 정의
3.2. 원인 및 위험요인
3.3. 증상 및 진단
3.4. 치료 및 경과

4. 요독성 뇌병증
4.1. 원인
4.2. 증상
4.3. 치료

5. 베르니케 뇌병증
5.1. 원인
5.2. 증상
5.3. 진단
5.4. 치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병증의 종류
1.1. 저혈당 뇌병증

저혈당 뇌병증은 급격한 저혈당으로 인해 발생하는 뇌의 기능장애를 의미한다. 정상 뇌에는 1~2g의 당이 비축되어 있어 혈당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약 20분 정도 대뇌활동을 지속할 수 있다. 그러나 혈당이 30~40mg/dL 아래로 떨어지면 중추신경계가 비포도당물질을 사용하게 되어 신경세포에 충분한 에너지 공급이 되지 않아 뇌기능장애가 발생한다.

저혈당 뇌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의 과다 사용이다. 혈당이 급격히 떨어지면 초기에는 불안, 신경과민, 배고픔, 땀,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점차 혼동, 졸음 등의 의식변화가 나타난다. 저혈당이 지속되면 빨기, 움켜잡기, 발작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혈당이 10mg/dL 정도로 더 떨어지면 동공확대, 창백한 피부, 호흡저하 등의 연수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혈당이 정상화되어도 수일에서 수주 동안 지연되어 나타날 수 있다.

저혈당 뇌병증의 치료는 가능한 빨리 혈당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탕이나 당분이 있는 음료를 마시게 하고,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포도당을 정맥 주사한다. 급성기 치료 후에는 저혈당의 원인을 찾아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당뇨병이 없는 알코올중독 환자에서도 저혈당성 뇌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발병 전날 평소보다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고 식사를 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알코올은 간에서 포도당 합성을 억제하고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의식이 저하된 환자에서 당뇨병이 없더라도 저혈당이 관찰되면 저혈당성 뇌병증을 의심하여 포도당 투여 후 의식 회복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MRI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1.2. 간성 뇌병증

간성 뇌병증은 간경변증의 말기에 나타나는 의식 저하와 행동 변화를 동반한 뇌기능 이상이다. 간은 인체의 화학 공장으로 중요한 대사 작용을 담당하는데, 간경변증이 심해져 간기능이 저하되면 독성 물질인 암모니아가 혈액을 타고 뇌로 유입되어 신경 독성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간성 뇌병증의 주요 원인은 간경변증으로 인한 문맥-전신 단락(portosystemic shunt)으로 인해 장에서 생성된 암모니아가 간에서 대사되지 않고 그대로 전신 순환계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위장관 출혈, 과도한 단백질 섭취, 변비, 전해질 불균형, 감염 등의 요인이 간성 뇌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간성 뇌병증의 증상은 크게 의식 변화와 신경계 증상으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수면 장애, 인지 기능 저하, 성격 변화 등이 나타나고, 점차 혼돈, 지남력 장애, 혼미 등의 의식 저하가 발생한다. 신경계 증상으로는 특징적인 손 떨림(flapping tremor), 팔다리의 변동성 경축(fluctuating rigidity) 등이 관찰된다.

간성 뇌병증의 진단은 주로 임상 증상과 신체 검사로 이루어지며, 필요 시 뇌파 검사, 영상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뇌파 검사에서는 전형적으로 느린 삼상파(slow triphasic wave)가 관찰되며, 뇌 CT나 MRI를 통해 뇌부종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간성 뇌병증의 치료는 근본적인 원인인 간경변증의 치료와 동시에 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위장관 출혈, 감염, 전해질 불균형 등의 요인을 교정하고, 변비 예방을 위해 락툴로스(lactulose) 등의 장 정결제를 사용한다. 필요 시 비흡수성 경구 항생제를 투여하여 장내 암모니아 생성을 억제한다. 또한 적절한 단백질 섭취와 함께 간 이식을 고려해야 한다.

간성 뇌병증은 간경변증의 말기 합병증으로, 치료에도 불구하고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간성 혼수 환자의 약 50%가 사망할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쁘며, 회복된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성 뇌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3. 요독성 뇌병증

요독성 뇌병증은 급성 또는 만성 신장질환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일시적인 혼동, 혼미와 같은 의식장애를 포함한 신경계증상 및 징후를 말한다.

요독성 뇌병증의 원인은 요소를 비롯한 다른 내부 물질들의 독성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정상적인 신장기능에서는 이러한 유독물질들이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신장질환이 있을 경우 이들이 체내에 축적되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요독성 뇌병증의 초기 증...


참고 자료

신경학 3판, 대한신경과학회, 2017
신경계 응급상황 솔루션, 전상범, 대한의학, 2019
당뇨병이 없는 알코올중독 환자에서 광범위한 뇌병변을 보인 저혈당성 뇌병증, 영남의대 학술지 제27권 제 1호, 2010
https://kmbase.medric.or.kr/Fulltext/03709/2010-27-1/37-41.pdf
간성 뇌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07
http://www.ekjm.org/upload/7302s584.pdf
만성신부전과 신경과 질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학교실 교수 윤성상
http://www.kidneyoptions.co.kr/magazine/column/view.html?r_column_seq=19
MSD 매뉴얼, 베르니케 뇌병증
https://www.msdmanuals.com/ko/
Google Image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질환백과 “간성 뇌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2
서울신경내과 의학정보-강좌 “간 건강의 지표 간수치, 높으면 왜 위험할까?”
http://seoulnim.com/news/lecture_v.asp?srno=7628&page=70&gubun=&keyword=
MSD매뉴얼 일반인용, Danielle Tholey, 의학 주제 “간성 뇌병증”, 2021.02.09.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A%B0%84-%EB%B0%8F-%EB%8B%B4%EB%82%AD-%EC%9E%A5%EC%95%A0/%EA%B0%84%EC%A7%88%ED%99%98-%EC%A6%9D%EC%83%81/%EA%B0%84%EC%84%B1-%EB%87%8C%EB%B3%91%EC%A6%9D
MAG online library, “Adult jaundice—the pathophysiology, classification and causes”, Suzanne Sargent, 16 Aug 2013
https://www.magonlinelibrary.com/doi/abs/10.12968/gasn.2011.9.4.34
김형근 예병원, “알코올성 간질환의 증상은? 술 끊으면 회복될까”, 김형근, 2009
http://xn—6i0b1e834bu3iv2a952d.com/Module/News/Lecture.asp?KEY=&MODE=V&KEYWORD=&PAGESIZE=10&PAGE=1&SRNO=767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