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태복음 2장 주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마가복음 전체에서 비추어 본 막 10:17-22절의 위치
3. 막 10:17-22절의 배경과 구조 분석
4. 막 10:17-22절 본문의 서사적 주해
4.1. Scene 1, 발단 - 한 사람이 나아옴
4.2. Scene 2, 전개 - 영생에 대해 질문하다
4.3. Scene 3, 갈등 - 질문에 대한 예수님의 대답, 경책, 갈등의 시작
4.4. Scene 4, 갈등 심화 - 말씀의 권면
4.5. Scene 5, 고조 - 젊은 부자 관원의 대답, "다 지켰나이다"
4.6. Scene 6, 절정 - 진정한 제자로의 부름
4.7. Scene 7, 파국/종결 - 슬픈 기색과 함께 근심하며 돌아가다
5. 성경신학적 메시지
5.1. 영생의 길, 제자의 길 (제자도)
5.2.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하다 (십계명 제 1계명)
6. 적용적 해석 (오늘날의 의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필자는 이번 주해 보고서 작성에 앞서 과제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왜 마가복음인가?' 그 답은 마가복음의 시작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막1:1) 마가복음은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소개하는 책이며, 그렇기에 우리에게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임을 다시 한 번 되새겨보았다. 더불어 마가복음이 복음서 중 최초로 쓰여 졌고, 이로 인해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은 마가복음을 자료로 활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는 사복음서의 전체 연구 또한 필요하지만 그 전에 앞서 마가복음을 깊게 살펴보고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그중에서도 이번 주해 보고서에서 다룰 막 10:17-22의 사건은 예수님께서 십자가 사건을 앞두시고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서 나타나는 사건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버리고 영원한 생명을 따라 사는 것이 진정한 제자도임을 나타내는 본문이다. 또 진정한 생명이 예수님께 있음을, 세상의 명예와 재물이 소망이 있는 것이 아님을 잘 나타내준다. 그러나 21세기에 사는 우리는 마가복음의 메시지를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저작구조를 파악하고, 그 당시의 문화와 배경들을 살펴봄으로써 본문의 보다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시대를 초월하여 지금도 역사하는 하나님의 말씀, 즉 본문의 오늘의 의미까지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즉 그리스도의 하나님 되심과 성육신을 통한 완전한 인간되심, 상호교통 위격적 연합 가운데 주시는 그리스도만이 생명의 근원이심에 대해 알고(기독론), 당시 독자들의 고난 받고 핍박 받던 상황에 맞게 주셨던 위로와 힘의 메시지가 현 우리 교회 안에도 울려 퍼지는 복음임을 확인하며, 이제는 자기를 부인하고 십자가를 지는 예수님의 제자, 곧 제자도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 마가복음 전체에서 비추어 본 막 10:17-22절의 위치
마가복음 전체에서 비추어 본 막 10:17-22절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마가복음의 전체 구조는 첫째 부분(1:14-8:26)에서는 갈릴리와 그 주변 지역에서 이루어진 예수님의 사역을, 둘째 부분(8:27-10:52)에서는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시는 여행 상황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셋째 부분(11:1-16:8)에서는 예루살렘에서의 사역을 함께 다룬다"
이러한 전체의 흐름 속에서 막 10:17-22절은 두 번째 부분, 즉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여행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앞서 8장에서의 제자도 부르심 이후, 구체적으로 제자의 삶에 대한 교훈을 주시는 흐름 가운데 위치한다" 따라서 이 본문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무엇이 진정한 제자의 길인지를 가르치시는 중요한 교훈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막 10:17-22절의 배경과 구조 분석
막 10:17-22절의 배경과 구조 분석을 살펴보면, 이 단락은 마가복음 전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마가복음의 3막 구조에 따르면, 막 10:17-22절은 두 번째 부분, 즉 예루살렘으로 가시는 여행 상황에서 일어난 일들에 해당된다" 앞서 8장에서는 제자도에 대한 가르침이 있었는데, 이 본문은 그 제자도에 대한 구체적인 교훈을 담고 있다"
특히 본문 앞 뒤로 어린아이들을 축복하신 사건과 제자들의 헌신, 영생에 대한 내용이 이어지고 있어, 본문은 영생을 얻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제자도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본문은 마가복음 전체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제자도와 영생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한편 본문 10:17-22절 자체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한 부자 관원이 예수께 달려와 영생에 대해 묻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에 대해 예수님은 계명을 지킬 것을 말씀하시고, 부자 관원이 자신은 이미 계명을 다 지켰다고 대답한다" 그러자 예수님은 그에게 "한 가지 부족한 것"이 있다고 말씀하시며, 자신의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고 예수님을 따르라고 권면하신다" 마지막으로 부자 관원은 재물이 많아 이 말씀으로 인해 슬픈 기색을 띠며 근심하며 돌아가는 장면으로 끝난다"
이처럼 본문은 예수님과 부자 관원의 대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자도와 영생에 대한 교훈을 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 막 10:17-22절 본문의 서사적 주해
4.1. Scene 1, 발단 - 한 사람이 나아옴
한 사람이 나아옴
마가복음 본문에서 사건의 발단이 일어나는 장면이다. 예수께서 길에서 나가실 새 한 사람이 달려와서 예수님께 나아온다. 이 한 사람에 대해 마태는 "청년"이라고 하고, 누가는 "관원"이라고 하며, 마가는 "재물이 많은 고로"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이 사람을 "젊은 부자 관원"이라고 칭할 수 있다. 그는 아마도 그 지방의 회당을 맡고 있던 관원들 가운데 한 사람...
참고 자료
신현우, 『메시아 예수의 복음』. 용인: 킹덤북스, 2011
양용의, 『마가복음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울: 성서유니온 2010
리처드 보캄, 『예수와 그 목격자들, 박규태』, 서울:새물결플러스 2015
리처드 헤이스, 『신약의 윤리적 비전』, 유승원, 서울:한국기독학생회출판사 2002
윌리엄 클라인, 크레그 불롬버그, 로버트 하버드, 『성경해석학 총론』, 류호영,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7
조엘 B. 그린, 스콧 맥나이트, I. 하워드 마샬, 『예수 복음서 사전』, 요단출판사 번역위원회, 서울: 요단출판사, 2003
존 월튼, 빅터 매튜스, 마크 샤발라스, 크레이그 키너, 『IVP 성경배경주석』,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8
톰 라이트, 『모든 사람을 위한 마가복음』, 양혜원,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1
N. T. 라이트, 『예수와 하나님의 승리』, 박문재,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로버트 스타인, 『BECOT 마가복음』, 배용덕,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4
크레이그 에반스, WBC 마가복음, 김 철, 서울: 솔로몬, 2002
도널드 잉글리쉬, 마가복음 강해, 정옥배, IVP, 2000
로버트A. 글리히, 마가복음 하(WBC), 김철, 솔로몬, 2001
목회와신학 편집팀, How Series 마가복음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 2003
심상법, 마가복음의 배경연구와 사회학적 이해.
조엘 B. 그린 외 2명, 예수복음서 사전, 요단출판사, 2003
크레이그 A. 에반스, WBC 마가복음 하, 김철, 솔로몬, 2001
로버스 스타인, BECNT 마가복음, 배용덕, 부흥과개혁사,2014
윌리엄 핸드릭슨, 마가복음 하, 최태영, 서울아가페출판사, 1984
Grant Osborne, Life Apllication Bible Commentary, 박대영, 성서유니온선교회, 2009
데이빗 E. 갤런드, NIV 적용주석 시리즈 마가복음, 채천석 외 1명, 솔로몬, 2011
양용의, 마가복음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서유니온선교회, 2010
Agustine Stock, OSB, Call to Disciples. Michael Glazier. 1982
Rhoads, David & Michie, 이야기 마가 : 복음서 내러티브 개론, 양재훈, 이레서원, 2003
데이빗 웬함, 스티븐 월튼, 복음서와 사도행전, 박대영,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크레이그 키너, IVP 성경배경주석, 신약,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정옥배 외, 1998
조엘B.그린, 스콧 맥라이트, I.하워드 마샬, 예수복음서 사전, 권종선 외, 요단, 2003
BibleWorks 10.0, Bibilworks, LLC,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