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용보호 교수요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수요목의 개념
2.1. 교수요목의 정의
2.2. 교수요목의 유형
3. 과정 중심 교수요목
3.1. 절차 중심 교수요목
3.1.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개념
3.1.2.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및 한계
3.2. 내용 중심 교수요목
3.2.1.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개념
3.2.2.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유형
3.2.3.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및 한계
4.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4.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한국어 교육 적용
4.2.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한국어 교육 적용
4.2.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4.2.2.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교수요목(syllabus)이란 무엇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의 설계도로서, 교육과 교재 구성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다. 전통적 의미의 교수요목에는 단순히 교육내용만이 포함되었으나 교육에서 과정이 중시되면서 교육 방법이나 평가가 교수요목에 포함되게 되었다. 과정 중심 교수 요목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 요목으로서 학습 과정 및 교수 절차에 따른 방법론에 초점을 둔다. 학습자의 학습 전략상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이 교수요목은 내용이 미리 선정되어 있지 않고, 배열 또한 되어 있지 않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조정 및 결정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 중심 교수 요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교수요목의 개념
2.1. 교수요목의 정의
교수요목(syllabus)이란 무엇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의 설계도로서, 교육과 교재 구성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다."교수요목의 정의란 학습을 통해 달성되어야 하는 계획, 즉 학습자들에게 노출되어야 하는 내용의 요약을 말한다. 즉 무엇을 가르치는가(What to be taught)와 어떤 순서로 가르치는가(In what order)를 더하면 교수요목(syllabus)이 된다."라고 할 수 있다."
2.2. 교수요목의 유형
교수요목의 유형은 크게 결과 중심적 교수요목과 과정 중심적 교수요목으로 나눌 수 있다"." 결과 중심적 교수요목은 학습의 결과인 내용, 기능을 중시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문법 중심 교수요목, 상황 중심 교수요목,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 등이 있다"." 반면 과정 중심적 교수요목은 내용, 기능을 얻는 과정, 즉 학습 경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과정 중심 교수요목, 과제 중심 교수요목 등이 그 유형에 속한다".
3. 과정 중심 교수요목
3.1. 절차 중심 교수요목
3.1.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개념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 내용보다는 학습 과정의 측면에서 목표어를 사용해 달성해야 할 과제를 상세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내용을 조직하는 교수요목이다. 즉, 목표언어의 언어요소보다는 목표언어를 사용해 해결할 과제를 부여함으로써 그 과제 해결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목표 언어를 배우도록 하는 방법으로 의미 이해 중심의 학습을 통해서 목표언어의 습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1.2.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및 한계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및 한계는 다음과 같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언어의 구조나 체계보다 의미에 초점을 두고자 하면서 과제를 완성시키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과제와 활동이 구체화되는 과정으로 교수요목의 내용이 결정되는 것이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에서는 과제의 완성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가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면서 의미 중심의 목표어를 이해하고 언어체계를 무의식적으로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문법체계의 발달을 이루게 된다고 보았다.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의미를 중심으로 목표언어를 이...
참고 자료
박선옥 / 201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설계 교안(9주차-14주차) 교안 / 배론원격평생교육원
김지영 / 2008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내용 보호 교수 모형을 중심으로
박은지. "주한 미군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015. 인천.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중심 교수요목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서울.
김경훤,·신영지 (2014),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2014. 12, Vol. 8, No. 6, PP. 169~196.
김정숙(2003),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제14권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영일(2015), 내용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독해능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이미혜(2008), 국내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교육. 제19권 3호
이샛별(2016),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 과제 선정 연구: 요구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