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학농민운동의 개념과 배경
1.1. 동학의 등장과 발전
1.2.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상황
1.3. 농민들의 의식 변화와 동학의 확산
2.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2.1. 고부농민봉기
2.2. 제1차 농민봉기
2.3. 집강소 설치와 폐정개혁안
2.4. 제2차 농민봉기
3. 동학농민운동의 성격
3.1. 반봉건 운동
3.2. 반외세 운동
4. 동학농민운동의 영향과 한계
4.1. 동학농민운동의 영향
4.2. 동학농민운동의 한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학농민운동의 개념과 배경
1.1. 동학의 등장과 발전
동학은 1860년 경주의 최제우가 창건한 조선 말엽의 신흥 종교로, 동학농민혁명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은 인간의 존엄성 존중을 바탕으로 한다. 당시 조선 말기 세도정치와 탐관오리들의 수탈에 시달리던 가난한 농민들은 새로운 세계를 찾아 나서듯 자연스럽게 동학에 매료되었다. 동학은 조선인들이 세상의 중심이라 믿어왔던 중국이 서방의 영국에게 패한 것을 보고, 조선의 사회적 모순을 기존의 지배 이념이었던 유교만으로 해결하기 힘들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동학은 서학(천주교)에 대항하는 민족적 종교로 창시되었으며, 인내천 사상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업성을 강조하였다. 동학은 농민들의 많은 지지를 받았으며, 후천개벽 사상을 통해 평등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1.2.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상황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상황이다.
조선 후기에는 지배층의 부패와 외세의 침략에 대한 대응책 부족으로 인해 농민들의 삶이 어려워졌다. 일본의 경제적 침투로 농촌 경제가 파탄에 이르게 되었으며, 동학은 인간 평등 사상과 사회 개혁 사상을 제시하여 농민들의 변혁 요구에 부합하며 대규모 농민 세력을 규합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 시대 말기에는 농민들이 과도한 세금 부담과 부당한 노동 요구로 억압을 받았다. 땅 소유와 세금 부과에 대한 불만이 농민들 사이에서 증가했다. 부자들이 대규모 토지를 소유하면서 농민들은 빈곤하고 작은 땅을 소유하게 되었다. 조선 정부는 부패가 심했고, 특권층이 부당한 방식으로 권력을 행사했으며, 이로 인해 농민과 하층민들은 정부에 대한 불만을 품게 되었다.
19세기 중반, 조선은 서양 국가들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서양 문화와 기술 등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변화는 조선 사회에 혼란을 불러왔고, 농민들의 불만을 더 강화시켰다. 19세기 중반에는 조선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했고, 이로 인해 땅 부족 문제와 식량 부족 문제가 더 심화되었다. ""
1.3. 농민들의 의식 변화와 동학의 확산
동학교는 조선 시대 중반에 시작하여 농민 사회에서 빠르게 확산했다. 동학교의 지도자와 신도들은 농촌 지역에서 교리를 전파하고 농민들과 접촉하며 민중들의 관심을 끌었다. 동학교의 인간 평등 사상과 사회 개혁 사상은 농민들의 변혁 요구에 부합하였고, 포접제를 통해 대규모 농민 세력을 규합할 수 있었다.
동학교 신도들은 조선의 정부와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채택하며, 농민들에게 억압을 견뎌내는 힘을 부여했다. 동학교는 농민들에게 새로운 종교적 정체성을 부여했으며, 이를 토대로 정부의 부당함과 불공평을 비판하였다. 동학교는 농민들에게 희망을 제공했으며, 농민들은 미래에 땅의 재분배와 정부의 개혁을 희망하면서 이를 위해 노력했다. 또한 동학교는 농민들 사이에서 단합을 촉진하며, 무장 저항과 대규모 민중운동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즉, 동학은 농민들에게 새로운 종교적 믿음과 가르침을 제공했고, 이를 통해 농민들의 의식이 강화되어 정부의 부당함과 불공평을 비판하고 사회 변혁을 요구하는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동학은 민중의 자주 의식을 성장시키고 역사의 주체로 나아가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2.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2.1. 고부농민봉기
고부농민봉기는 1894년 1월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격분한 고부의 동학접주 전봉준이 농민들을 규합하여 일으킨 농민 봉기이다. 전라도 고부 ...
참고 자료
오지영, 『동학사』, 영창서관, 1940
장봉선, 『전봉준실기(全琫準實記)』 이로재, 1936
무쓰 무네미쓰, 『건건록 : 일본의 청일전쟁』, 논형, 2021
성주현, 「동학혁명 참여자의 혁명 이후 활동(1900-1919),『문명연지 6-1』, 2005.
조성운, 「황토현전투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술대회 정읍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재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정읍시, 2013
「沙鉢通文」,『나라사랑15』, 외솔회, 1974.
조성운, 「동학과 동학농민운동의 관계 - 포접제와 관련하여 -」, 『역사와교육 제19집』, 2014.
박대길, 「동학농민혁명 초기 전개 과정에서 백산대회의 위상」, 『동학학보 제 62호』, 2022.
전일욱, 「동학농민운동과정에서 나타난 집강소(執綱所)의 지방자치 기능」, 『한국행정사학지 57권』, 한국행정사학회, 2023.
안외순,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 『동방학 제 42집』,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김양식, 「목천지역 동학농민군 활동과 세성산전투」, 『군사』 제70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9.
이희근, 「1894년 동학지도부의 제 2차 起兵 추진과 그 성격」, 『동학연구』 제6집, 한국동학학회, 2000.
신용하, 「갑오농민전쟁의 제2차 농민전쟁」, 『한국문화』 14권, 1993.
김의환, 「갑오 동학 농민 항쟁과 남ㆍ북접 문제」, 『나라사랑 제 15집』 , 외솔회, 1974.
정선원,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공주전투 시기 남접과 북접농민군의 동향」, 『동학학보 제 56호』 , 동학학회, 2020
김혜승, 「동학농민운동의 민족주의적 평가에 기초한 ‘한국민족주의의 민중화’에 대한 검토」, 『동양정치사상사』 제2권 2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3
김한종, 「동학농민전쟁의 명칭과 그 의미」, 『청람사학 11권』, 청림사학회, 2005
윤석산, 「해월 최시형의 호남 포덕과 부안의 동학」, 『한국종교 제41집』, 한국종교, 2017
학위논문
정선원, 「동학농민혁명 시기 공주전투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3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n405200&code=kc_age_40
국사편찬위원회,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jh_003r_0020_047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6610
국사편찬위원회,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jh_003r_0040_0060
디지털천안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cheonan/toc/GC04500999
디지털공주문화대전, http://gongju.grandculture.net/gongju/toc/GC01700486
군산근대역사박물관, https://museum.gunsan.go.kr/jsp/board/index.do;jsessionid=Om7U7xKDzQWSFX1VFD5iPF3yjSgIL3VmcY1Ja6qz5CmajD8xp2L4PR37NpwP1rJK.museum_servlet_engine1?id=833&bbs_id=2&page=5&search=&searchDiv=&type=main&act=view.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943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591
동학 [東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부민란 [古阜民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제1차 동학농민운동 (두산백과)
제2차 동학농민운동 (두산백과)
전한길, 전한길 한국사 2.0All in one, ST&BOOKS,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내재적 접근, 역사비평 2015년 봄호(통권 110호), 2015